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촘스키 ‘한국 국민이 투쟁해서 민주주의 되찾아야’

light7 조회수 : 1,335
작성일 : 2014-03-04 08:03:57
정상추가 외신전문번역 뉴스 매체인 '뉴스프로' 웹페이지 창간을 맞아 세계적인 석학이자 살아있는 양심으로 평가받는 노엄 촘스키 교수와의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이 인터뷰에서 노엄 촘스키교수는 한국 국민들은 민주주의를 이루어낸 자랑스런 경험을 가지고 있다며 한국국민들이 나서 퇴행하고 있는 민주주의를 투쟁으로 되찾을 것을 권고했습니다. 이뿐만이 아니라 한국의 국정원 개입이 사실이라면 이는 범죄라고도 하였습니다.

이외에도 민영화, 언론에 대한 촘스키 교수의 의견도 생생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노엄 촘스키 교수의 인터뷰 기사는 '뉴스프로'에 가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뉴스프로에 방문하셔서 촘스키 교수의 인터뷰 기사와 함께 '뉴스프로'의 창간을 많이 축하해주십시오.

http://thenewspro.org/?p=2073


촘스키 ‘한국 국민이 투쟁해서 민주주의 되찾아야’
-‘정상추’ 외신 번역 뉴스 사이트 ‘뉴스프로’ 창간 기념 인터뷰
-한국 민주주의 퇴보, 조직화된 대중의 정의와 평화를 위한 투쟁이 해결책
-쌍용자동차 노동자 손배소 노란봉투 동참, $47 담긴 봉투 전달
IP : 134.68.xxx.18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촘스키는
    '14.3.4 8:12 AM (76.99.xxx.223)

    아시아에 대해선 잘모르죠.
    촘스키는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했던 덕분에 발전했다고 하는 사람이구요. 알면서 일부러 그러는건 아닐테고, 아시아쪽은 잘 모르는거 같은데 노란봉투 후원하는걸 폄하할 생각은 없지만, 촘스키가 후원했다고 큰 의미를 둘것도 없다고 봅니다.

    -촘스키,세상의 물음에 답하다 中에서-

    사실 세계의 선진국들을 살펴보면 아주 명백한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그건 5분만 관찰해도 알 수 있는 것인데,미국에선 그것을 말해주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그 사실이란 무엇이냐 하면 경제 선진국들은 서방에 의해 식민지가 되었던 경험이 없는 나라들입니다.이에 비해 서방에 의해 식민지가 되었던 나라들은 총체적인 실패작으로 끝났습니다.서방의 식민지 정책을 물리친 나라는 일본인데,경제 발전을 이룩한 전통적 제 3세계의 유일한 지역입니다.그러니까 유럽은 일본을 제외한 모든 지역을 정복했고 일본은 경제적으로 발전했습니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 합니까??아프리카의 역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에 따르면,일본이 산업화 과정을 시작했을 때(1870년대),서아프리카의 아산테 왕국은 가용 천원자원,국가 형성의 수준,기술 발전의 단계 등에 있어서 일본과 대등한 수준이었습니다.그런데 오늘날 이 두 지역을 비교해 보십시오.물론 역사적으로 볼 때 두 나라 사이에는 많은 차이점이 있습니다.하지만 가장 근본적인 차이점은 일본에 서방에 의해 정복되지 않았던데 비해,아산테 왕국은 영국에 의해 정복되었다는 사실입니다.그래서 오늘날 서아프리카는 경제적으로 낙후된 서아프리카 그대로이고 일본은 경제 선진국이 된 것입니다.


    물론 일본도 그들 나름이 식민제도를 운영했습니다.하지만 일본의 식민지들 역시 발전했습니다.일본의 식민지 운영 방식은,식민지에서 일방적으로 빼앗기만 한 서방국가들의 방식과는 달랐기 때문입니다.물론 일본도 잔인한 식민지 수탈 국가였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민지들을 경제적으로 발적시켰던 겁니다.이들 식민지는 산업화되었고,사회 기반 시설을 확충하고,교육 수준을 높이고,농업 생산을 증대하고 있었던 겁니다.한국과 타이완의 성장률은 20세기 초반 내내 일본의 성장률과 비슷했습니다.사실 1930년대에 이르러 포모사(현재의 타이완)은 아시아의 상업적 센터 중 하나였습니다.


    2차대전 종전과 함께 일본의 식민 시스템은 분쇄되엇습니다.하지만 1960년에 이르러 한국과 타이완은 예전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전후 시대에 이들 두 나라가 일본식 발전 모델을 따랐기 때문이었습니다.이들은 외국의 착취에 노출되지 않았고,국제적 수준으로 볼 때 상당히 평등주의적이었고,교육과 보건에 상당한 자원을 투자했습니다.아무튼 이들은 성공적인 발전 모델이 되었습니다.물론 이들 아시아 국가들은 무자비합니다.지독히 권위주의적이고 여성의 역할은 이렇다 할 게 없습니다.이 밖에도 불쾌한 사항들이 많습니다.하지만 이들은 성공적인 경제 발전 정책을 수행했습니다.국가는 산업 정책을 조정했고,자본의 해외 유출은 엄격하게 통제되었으며,수입 물량은 아주 낮았습니다.


    아무튼 중요한 것은,일본 스타일의 경제개발 모델이 성공했다는 겁니다.실제로 그것은 전 세계의 성공한 나라들이 채택한 방식이었습니다.높은 수준의 보호주의를 채택하고 자유시장의 원칙으로부터 자국 경제를 보호했기 때문에 성공한 겁니다

  • 2. 위에 인용된 글은
    '14.3.4 8:21 AM (98.217.xxx.116)

    자유시장경제, 자유무역에 대한 환상을 비판하는 것 같네요.

    "국가는 산업 정책을 조정했고,자본의 해외 유출은 엄격하게 통제" . . . "실제로 그것은 전 세계의 성공한 나라들이 채택한 방식이었습니다." . .

  • 3. 박정희의 성장 정책 역시
    '14.3.4 8:25 AM (98.217.xxx.116)

    우파들이 좋아하는 "자본주의 체제"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경제 발전 계획의 이름부터가 조선인인민주주의공화국 것하고 비슷했고요, 실제로 여러 사회주의 국가들이 박정희 모델을 본받아 볼까 고려했다던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6749 뭐라도 합시다 2 2014/05/02 806
376748 청와대 게시판 공지 가만히 있으라 가두행진 내용 펌 3 2014/05/02 1,683
376747 나는 MB정부의 여론조작 행동대장이었다” 4 슬픔보다분노.. 2014/05/02 1,843
376746 끌어 올립니다. 송옥숙씨가 CF 찍으면... 3 위트 2014/05/02 2,222
376745 지금 제 심정..입니다;; 2 주절주절무식.. 2014/05/02 920
376744 연합뉴스와이. 황장수발언ㅡ다이빙벨 8 녹색 2014/05/02 1,836
376743 이 울화를.. 1 지나가다 2014/05/02 795
376742 [서화숙 칼럼]살릴 수 있었던 3시간47분 3 세월호참사 2014/05/02 1,409
376741 박 대통령 ”대안 마련 뒤 대국민 사과하는 게 도리” 24 세우실 2014/05/02 3,121
376740 정말 몰랐네요.ㅠ 1 이거 2014/05/02 1,532
376739 충격, 해경헬기엔 해경특공대가 타고 있었다!!! 12 ..... 2014/05/02 4,756
376738 저 정말이지.. 이 기사보고 가슴이 메어서 미칠것같아요... 14 ..... 2014/05/02 4,852
376737 네이버 탈퇴 어떻게 하죠? 3 --- 2014/05/02 994
376736 애완의 시대 - 우리가 잘못한 것을 되집어 보는 책. .... 2014/05/02 663
376735 대국민사과하고 그냥 넘어가려나 보네요.. 9 .. 2014/05/02 1,819
376734 전국 촛불 집회 안내 집회 공지 2014/05/02 1,452
376733 윤리 이현 선생님의 - 언론이 어떻게 조작되는가 강의 18 (펌) 동영.. 2014/05/02 3,047
376732 패스- 밑에 이종인씨 실체 2 우제승제가온.. 2014/05/02 1,043
376731 퍼옴) 청와대 게시판에 가장 위험한 글이된 게시물입니다 16 막장나라 2014/05/02 9,113
376730 최덕하요한을 위해 기도해주세요 17 ㅠㅠ 2014/05/02 2,551
376729 유족 두번 울리는 장례비 깎기. 어제 박그네가 수의 싼거 언급.. 2 이기대 2014/05/02 2,057
376728 중학생이 쓴 질타글 '청와대는 어디소속인가' 6 컨트롤타워는.. 2014/05/02 2,113
376727 대한민국 언론은 어쩌다 이 지경이 됐나 샬랄라 2014/05/02 856
376726 고1아들과 세월호에 대해 얘기해봤는데 1 ... 2014/05/02 2,354
376725 촛불집회 일정 알려주세요 3 호수 2014/05/02 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