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장기체류 예정이면 면세한도 초과해서 사도 되는 거지요?

조회수 : 5,155
작성일 : 2014-02-28 11:51:59
사 가지고 나가서 사용하면 문제없을 듯 한데, 혹시 일이년 있다 입국할 때 발각(?)되고 그런 일도 있나요?
친구가 자꾸 그런 일도 있다 해서요.

아니죠?
IP : 59.187.xxx.56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2.28 11:59 AM (1.238.xxx.103)

    있어요... 해외에서 귀국시에 2~3년전에 면세에서 구입한 프라다 지방시 다 세금 내고 들어왔습니다.
    너덜너덜해요. 중고인데... 해외에서 가지고 오는건 선물이든 뭐든 400불 넘으면 모두 내야한다고 합니다.
    울며겨자먹기로 다 냈습니다.

    제 친구는 외국에 계신 부모님이 주신 샤넬 출국 때 신고 안해서 올 때 역시 세금 냈습니다.

  • 2. 외국에계신
    '14.2.28 12:00 PM (203.233.xxx.130)

    부모님이 사주신 샤넬도 세금 내야 하나요???????????

  • 3. ....
    '14.2.28 12:04 PM (1.238.xxx.103)

    출처가 어쨌든... 출국시에 신고하지 않은 물품에 대해서는 귀국시에 잡히면 무조건 내야 합니다.
    제 주변에 엄청 많아요.

  • 4. 원글이
    '14.2.28 12:06 PM (59.187.xxx.56)

    오호, 친구 말이 맞군요.
    복불복이군요.

    그런데, ...님,
    "...외국에 계신 부모님이 주신 샤넬 출국 때 신고 안해서..."
    이 부분은 무슨 말씀이신가요?

    쓰신 글로만으로는 이해가 잘 안 돼서요.

  • 5. 원글이
    '14.2.28 12:16 PM (59.187.xxx.56)

    그러니까 사용한 오래된 물건들이라 하더라도 무조건 입국시 면세한도 400 달러만 넘으면 신고해야 된다는 말씀이지요?
    가전제품이든 주방용품이든 뭐든...관계없이요. 맞지요?

    그 수많은 사람들은 고가 그릇이나 뭐나 다 잘만 사오던데, 세관 신고는 하고들 가지고 오는 걸까요?

    와, 그럼 장기체류시에는 살림살이며뭐며 이삿짐까지 일일이 체크해서 신고해야 된다 얘기인데, 너무 복잡할 듯 해요.
    친구가 그냥 한국서 다 사서 나가는 게 낫다...고 하더니, 그 말이 그 말인 거군요.

  • 6. ..
    '14.2.28 12:17 PM (58.225.xxx.25)

    저는 8년전쯤엔 약 900불어치 화장품 면세점에서 사갖고 나갔다가 1년 있다가 들어왔고 7년전쯤엔 약 1000불쯤 하는 가방 면세점에서 사갖고 나가서 1년 있다가 들어왔는데 둘 다 안잡혔어요. 저는 해외 백화점에서 산 1500불짜리 가방과 1200불짜리 가방, 해외 면세점에서 산 약 1100불짜리 가방 등등 한 번도 걸린적은 없는데..대신 저는 해외에 오래 살았어서 거의 해마다 한국 다녀가긴 했지만..주로 한국에서 나가서 단기체류하고 돌아오는 여행객을 주로 잡는거 같더라구요. 저희 엄마는 8년전에 열흘쯤 여행가셨다가 뉴욕 면세점에서 불가리 백 사갖고 오셨는데도 안잡히셨어요.

    그리고 이게 해외 어느 도시에서 출발한 비행기냐도 영향을 주는거 같아요. 제가 늘 출발하던 곳은 여행, 쇼핑으로 유명한 곳이 아니었거든요. 홍콩, 파리, 하와이, 뉴욕 등에서 들어오는 비행기는 쇼핑을, 중국 쪽에서 들어오는 비행기는 보신제품을 많이 잡는다는 소문을 들었는데 잘 모르겠네요.

    공항에서 주력으로 잡는 샤넬, 에르메스, 루이비통 고급라인 등등 이런거 아니면 상관없는거 같았는데 요즘은 또 모르겠네요. 일단 단일 상품으로 너무 고가를 면세점에서 사는건(예를 들어 4000불짜리 샤넬백 1개) 확실히 좀 위험하긴 해요. 타깃이 됩니다. 제 친구는 그래서 샤넬은 해외 백화점에서 현금으로 사오던데요.

  • 7. ....
    '14.2.28 12:20 PM (1.238.xxx.103)

    외국에 계신 부모님의 샤넬을 들고 친구에게 서울에서 선물을 하셨어요. 그 친구는 후에 그 가방을 매고 여행을 갑니다. 고가품은 원래 출국시에 나 이거 가지고 간다 올 때 뭐라고 하지마! 이렇게 신고를 합니다. 골프채니 시계니 가방이니... 보통 잘 안하죠. 그래서 그 친구는 룰루랄라 여행을 갑니다. 샤넬을 매고서 여행을 잘 합니다. 귀국길에 역시나 샤넬을 매고 귀국을 하는데 아저씨가 이리오세요. 합니다. 그래서 갔더니 이거 샤넬 돈내세요 합니다. 어 이거 가지고 갔던거에요!! 아저씨 저 이거 산거아니에요. 무조건 내셔야해요 합니다. 냅니다.

  • 8. ..
    '14.2.28 12:24 PM (58.225.xxx.25)

    제 주변에 귀국이사 한 사람들, 해외에서 오래 살면서 한국올때마다 뭐 사갖고와서 놓고가는 사람들 천진데 걸려서 돈냈다는 사람은 못봤어요. 제 주변만 이렇게 운이 좋은건가요...? 아닐텐데..귀국이사 하면서 돈내는 사람은 자동차 갖고오는 사람외엔 못봤는데...그건 가서 서류작업하고 픽업해야하거든요. 일반 귀국이삿짐(그릇, 가구 등등)은 한국 집앞까지 배달해줘요. 그 과정에서 인천세관에 걸려 돈을 물었네 어쨌네 하는건 없거든요.

    그리고 해외 백화점에서 사는게 때로는 국내 면세점보다도 쌀 때가 많아요. 가방, 화장품, 구두, 악세사리 등등...저는 그래서 초반에만 면세점에서 샀고 이후부터는 그냥 해외 백화점에서 사요. 국내 면세점에서는 간단한 것만 사고 나머지는 해외 백화점이나 아울렛에서. 어차피 님도 장기체류 하실거라면서요. 해외 백화점이 더 나아요.

  • 9. 원글이
    '14.2.28 12:45 PM (59.187.xxx.56)

    헉, 가방 신고들 많이 하고 나가시나요?
    전 한 번도 한 적이 없는데...샤넬이 아니라서 안 잡혔나...

    아무튼 일테면 그게 그럴 수 있단 말씀이군요.
    좋은 참고 됐습니다. 고맙습니다.

    아, 제가 아니라, 제 친구가 곧 가는데, 살림을 여기서 사 가지고 나가려고 한참 바쁘더군요.
    그래서 아울렛도 많고 싸다던데 가서 사지...그랬더니, 저런 얘기를 해서 궁금해서요.

  • 10. ..
    '14.2.28 12:57 PM (58.225.xxx.25)

    부엌살림이요??? 그걸 왜 사서 가요???? 저 미국 살았었는데 1년에 2번씩 (semi) annual sale 할때 명품그릇이 얼마나 싸게 파는데요;;; 미국에서 사는 기혼자들 대부분 귀국할때 그릇, 냄비세트 등등 각종 부엌살림 싹 다 마련해서 들어와요. 오래 살거면 세일 할때마다 틈틈히 사모으면 되거든요. 부엌살림 가서 사세요. 훨씬 쌉니다. 레녹스, 웨지우드, 포트메리온, 빌레로이, 코펜하겐 등등 그릇도 각종 세일이 많아서 그때 사면 되요. 르쿠르제 등등도 마찬가지. 남들은 일부러 사오는걸 왜...

  • 11. ...
    '14.2.28 1:16 PM (118.221.xxx.32)

    100이상하는 백. 시계귀중품은 걸린다고 보는게 맞고요. 자질구레한 용품 합친건 괜찮고요
    미국이면 가서 사는게 훨씬 저렴해요 말리세요

  • 12. 원글이
    '14.2.28 1:52 PM (59.187.xxx.56)

    미국은 아니고요.

    아무튼 쓰던 가방도 그렇고 누구는 사용했던 악기도 걸렸다고 들었다고...그래서 그냥 나중에 골치 안 아프려고 필요한 물품들 속편하게 사간다 하면서 나온 얘기거든요.
    전 금시초문이라...하지만, 댓글들 보니, 영 없는 경우는 아닌 듯 보이는군요.

    이삿짐에 넣으면 상관없을 듯 한데...

    아무튼 답변 주신 여러 분들 고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2523 다이어트앱 보면서 칼로리쟀더니.. 4 ... 2014/06/26 2,494
392522 檢, '댓글 제보' 국정원 前직원에 징역 2년6월 구형 7 샬랄라 2014/06/26 1,139
392521 pt 두 달 만에 12킬로 줄었어요. 67 몸짱되고싶다.. 2014/06/26 21,933
392520 일하게 될거 같은데 ...역시나 아이들이 걸리네요.;; 4 2014/06/26 1,576
392519 빠꾸미뜻이 뭔가요? ㅡㅡ 17 사랑스러움 2014/06/26 9,622
392518 에어컨 온도를 높게설정했을때 냄새나는 이유 multi 2014/06/26 1,641
392517 집에서 옷 갖춰입는분 계세요? 4 강철 2014/06/26 2,409
392516 흠집많은 차 몰기가 속상해요 4 2014/06/26 1,524
392515 운전면허 분실, 갱신기간 지났을때요~~ 3 장롱면허 2014/06/26 2,665
392514 신발장 냄새 어떻게 잡나요? 1 /// 2014/06/26 1,938
392513 육개장이 신맛이 나요 ㅜㅜ 5 아아 2014/06/26 7,559
392512 오늘 목이 칼칼하고 아프네요 1 땡땡 2014/06/26 1,459
392511 시사통 김종배입니다[06/26pm]생각통 - 언행의 미덕 lowsim.. 2014/06/26 954
392510 단거 안 좋아하는 사람인데 꿀을 선물 받았어요 14 어떻게 먹죠.. 2014/06/26 2,581
392509 재활용 되는 비닐 종류 알려주세요ㅠㅠ!!! 2 구동 2014/06/26 3,361
392508 아들 죽인 임병장 끌어안은 아버지.. 한번쯤 생각해봐요... 13 remy 2014/06/26 14,744
392507 광대가 두드러진 얼굴의 경우... 12 교정 2014/06/26 3,715
392506 다른집들은 안녕하신지ㅜ 바퀴관련 질문이요ㅜㅜ 4 에후~~ 2014/06/26 1,277
392505 형부의 아버님(언니의 시아버지) 상에 부조금은 얼마정도가 적당 .. 7 높은숲 2014/06/26 3,821
392504 손해 사정사 시험 어렵나요? 3 이웃 2014/06/26 2,352
392503 ‘세월호 망각’이 자초한 정권의 참사 1 샬랄라 2014/06/26 1,282
392502 젖먹이 안은 편의점 여주인 살해 30대 항소심서 무기징역 gis.. 6 참맛 2014/06/26 2,368
392501 봐도봐도 질리지 않는 영화 95 푸른하늘 2014/06/26 11,041
392500 군 내부 문건 입수 /kbs 1 kbs 2014/06/26 2,112
392499 지금의 국정원이 아쉽답니다. 미친것이 1 빨리하야하라.. 2014/06/26 1,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