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외국 특히 유럽에서 한식과 일식 중 어느게 더 대중성이 있을까요.

고른다면 조회수 : 1,896
작성일 : 2014-02-28 00:20:20
동남아나 중국 같은 아시아 권에서는 한류도 많이 퍼지고 대중화 되서 한국 음식 인기도 올라가고 있는 걸로 알고 있거든요.
뉴욕에도 잘되는 한식당이 있다고 들었고요. 
 
궁금한 건 유럽쪽에서도 한식이 요새는 뜨는 트렌드인가요? 
유럽 여행 갔을때 영국, 프랑스, 독일... 일식집은 종종 보이는 것 같은데 한식당은 일식당에 비해서 그리 많지는 않은것 같거든요. 
최근 원전 사고도 있고, 다른 나라 문화에 대한 관심 높아지는 걸 볼때, 앞으로 유럽쪽에도 한식이 많이 대중화가 될까요? 아니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식보다는 일식이 더 대중성이 있을까요. 

 
IP : 178.59.xxx.156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2.28 12:22 AM (39.116.xxx.177)

    일식이 훨씬 대중성있죠..그리고 고급음식이라 생각하구요.

  • 2. ...
    '14.2.28 12:22 AM (121.128.xxx.92)

    파인 다이닝 쪽이라면 한식, 일식 중 한 가지 컨셉을 분명히 해야겠지만
    보통의 음식점이면 한식 일식 같이 팔죠 사실
    우리나라에서 태국음식 베트남 음식 같이 파는 것처럼요

  • 3. 99
    '14.2.28 12:26 AM (87.179.xxx.56)

    유럽 살아요.
    한식당 없는 곳은 많지만 일식당 없는 곳은 없어요. 아무리 중소도시라도 타이 베트남 중국 일본 식당은 다 있어요.

  • 4. 원글
    '14.2.28 12:54 AM (178.59.xxx.156)

    답변 감사드려요~
    한식도 일식도 워낙 범위가 넓어서 딱 뭐라고 지정하기 힘들지만 그냥 대중적 의미의 한식으로 질문드렸어요.
    대부분 외국에서 한식 이러면 김치, 불고기, 비빔밥, 잡채, 파전.. 이 정도가 대표음식이 되는것 같고,
    일식인 경우엔 스시 (요상하게도 외국에선 마끼, 스시 둘다 스시라고 하대요? ^^)와 사케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정통 한식이야 한국에서도 사실 쉽게 맛볼수는 없으니 그건 고난도 음식은 제외히고요.
    한식 제대로 만들기 힘들다는 말씀엔 정말 공감하는게 일단 재료 구하기도 힘들고, 한국인이 좋아하는 미각과 서양식 미각은 많이 다른 것 같아요. 떡 같은 저는 환장하는 쫄깃한 식감도 그렇고, 참기름 들기름의 풍미도 그렇고요.

  • 5. 하다못해
    '14.2.28 1:30 AM (61.102.xxx.34)

    태국만 가도 쇼핑센터나 길거리에 일식당이 얼마나 많은지 몰라요.

    그런데 제가 태국 자주 가기 때문에 관찰 해보면

    물론 개인적인 샵도 있지만 주로 대형 프렌차이즈가 많아요. 일식당이요.
    대표적인 예가 "후지" 랑 "젠" 이에요.
    정말 온갖 쇼핑몰이나 백화점에 거의 입점 되어 있고 규모도 커요.

    그에 비해서 한식당들은 대부분이 개인이 차린 작고 초라한 규모에요.
    당연히 위치도 좀 후미진곳에 있는 경우가 많아요. 일부러 찾아 가야 하죠.
    아니면 한국 패키지 상대 하는 스타일의 식당들 이기 때문에 아예 시내가 아니라 동떨어진 곳에 위치 하고 있어 경쟁력에서 차이가 나죠.

    요즘 방콕에서 교촌치킨인가? 이런게 나가서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하네요.

    결국 자본력 있는 회사가 나가서 좀 경쟁력 있게 그 나라의 특색에 맞게 변화를 주면서 도전해 준다면 한식당도 성공 할수 있다고 생각 해요.
    우리에겐 좀 별루라도 비비고 같은것도 괜찮을거 같고 본죽도 괜찮구요.
    뭔가 한식을 트랜드화 해서 좋은 위치에 넓고 세련된 매장이라면 앞으로는 일식당처럼 해볼만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결국 개인이 하는건 좀 어렵다는 거죠. 재료수급문제 부터 좋은 가게 위치등등이요.

  • 6. 위의님
    '14.2.28 1:32 AM (209.134.xxx.143)

    외국에서 쓰는 참기름은 우리가 먹는 참기름과 달라요.
    우리가먹는건 압착식이고 쎄사미오일은 압착식이 아니라서 암맛도 안난대요
    해바라기씨오일..뭐 이런식의 냄새안나는 오일이예요.
    이건 냄새 안나고

    외국사람들 우리식의 참기름냄새에 거부감 있는거 맞아요.

  • 7. ~~
    '14.2.28 3:08 AM (121.88.xxx.131)

    유럽에서 우리 간장과 참기름은 대부분 좋아했어요. 그 조합이 한식인 줄 아는 사람들도 꽤 있고요.
    거기 유기농 가게에서 파는 참기름은 볶지 않은 참깨에서 압착식으로 짠거라
    제 입맛에도 비려서 못 먹겠던데 고소하지도 않고요. 완전 밍밍함.
    제품카탈록에 보면 볶은 참깨로 짠 참기름도 있긴 하던데
    훨씬 작은 병에 값은 몇 배로 비싸고 해선지 안 갖다 놓더군요.

  • 8. ...
    '14.2.28 8:39 AM (118.221.xxx.32)

    태국음식이나 일식이 훨씬 더 알려지고 외국인 입맛에도 맞아요
    거기다 일식은 고급이라는 생각도 있고요
    한식은 앞으로 가능성은 있지만 아직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7608 "언론의 민낯이 모두 드러났다" 6 11 2014/05/06 2,329
377607 카톡차단했는데 다시 4 카톡 2014/05/06 4,690
377606 전세 내놓으려면 보통 어느정도 여유를 두고 내놓아야 하나요? 3 avecpi.. 2014/05/06 1,869
377605 전국 분향소, 전국 촛불집회 안내 3 독립자금 2014/05/06 1,902
377604 언딘 소속 사망 잠수사 '구조 경력 없었다' 10 .... 2014/05/06 4,297
377603 세월호 타고 제주도 도착한 단원고 애기들 14 건너 마을 .. 2014/05/06 5,082
377602 동영상을 보고, 거리의 천진한 아이들을 보고 1 치미는 분노.. 2014/05/06 1,114
377601 층간소음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4 층간 2014/05/06 1,846
377600 10시 11분.. 아이들이 보낸 또다른 8장의 사진 8 침몰한바그네.. 2014/05/06 3,710
377599 명동2시침묵행진, 팽목항 손수건, 언딘 소속 잠수사 1명 사망,.. 6 독립자금 2014/05/06 1,976
377598 정의 위해 몸던진 김영수 전 해군소령 3 .. 2014/05/06 2,934
377597 SSU 전우회 부회장의 인터뷰하네요 2 .. 2014/05/06 2,591
377596 부처님 오신날 - 법륜스님 즉문즉설 - 임신중에 돈욕심이 점점 .. 5 lowsim.. 2014/05/06 2,704
377595 다이빙벨이 있었다면 잠수사사고 예방 4 .. 2014/05/06 1,597
377594 세월호사건 개막장인거..외국계신분들 댓글 1 견딜수없는분.. 2014/05/06 1,500
377593 오늘 택배 배송하나요 3 택배궁금 2014/05/06 1,537
377592 업무시작 ? 아래 아래 글들 ↓↓ 거기 댓글 달지 마요 3 ㅇㅇ 2014/05/06 802
377591 김용민의 조간브리핑(14.5.6) - 김황식 "내 출마.. 1 lowsim.. 2014/05/06 1,088
377590 초등저학년이 볼수 있는 명화집 추천좀 해주세요... 4 부탁드려요 2014/05/06 939
377589 다시보는 대한민국의 철저한 공정 선거관리 카레라이스 2014/05/06 1,035
377588 뉴스K 5월 5일 노종면 앵커 오프닝-방송에 보도되지 않은 대통.. 6 참맛 2014/05/06 2,198
377587 생리전 대책없는 폭식욕망 어떻게 잠재울수 있나요?(죄송합니다) 6 ... 2014/05/06 5,410
377586 세월호 희생자분들을 위한 발원문 4 부처님 오신.. 2014/05/06 1,097
377585 Go발뉴스(5.5) - 누가, 왜 다이빙벨을 두려워하는가 1 lowsim.. 2014/05/06 1,206
377584 탑승자명단은 도대체 왜 공개못하는건지요? 12 .. 2014/05/06 2,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