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국 칼리지에 대해 여쭤볼게요.

미국 조회수 : 2,322
작성일 : 2014-02-25 14:30:33

친구 아들이 재수를 하다가 군대를 갔고 제대해서 미국으로 가서 공부하고 싶다는 뜻을 비췄나봐요.  넉넉하게 보태줄 형편은 안되고 그냥 일반적인 서민 수준인데, 아이는 되도록이면 그곳에서 정착하고도 싶다 하나봐요.  친구는 아는 정보가 없으니 무조건 아이말만 듣고 판단 할 수도 없으니 좀 고민이 되나보더라구요.

우선 서부쪽 칼리지를 알아볼 모양인데 아이가 생활영어는 외국인과 큰 불편없이 대화할 정도라 하구요.  기숙사에 쉽게 들어갈 수 있는지 안된다면 숙소도 알아봐야 할텐데 어느정도 드는지, 아르바이트를 할 수 있는지, 자가용이 있어야 하는지 등등...

두서가 없지만  조언좀 부탁드려요.

IP : 112.149.xxx.41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ㅁㅁ
    '14.2.25 2:32 PM (175.209.xxx.70)

    이렇게 하나도 정보가 없는분은 일단 유학원으로 가세요 요즘은 수속비 안받고 해주는 유학원 많아요

  • 2. ㅏㅏ
    '14.2.25 2:37 PM (68.49.xxx.129)

    가서 혼자 공부하고 타지생활할 정도면 학교 지역등 관련정보 혼자 알아볼수준은 돼어야죠. 유학원은 돈낭지입니다. 그리고 전공이 뭔진 모르겟으나 이공계 아니라면 유학 비추요. 영어가 네이티브만큼 잘해야하고 그렇다하더라도 유학생비자에서 opt로 옮기는 과정에서 현지취업 하늘별따기에요. 요즘엔 점점어려워서 웬만한 명문대 석박 나와도 유학생은 현지취업 어렵습니다

  • 3. ..
    '14.2.25 2:52 PM (58.225.xxx.25)

    고해커스닷컴 같은데 가서 유학준비 Q&A 이런거 좀 읽어보시면 기본적으로 뭘 준비해야 하는지 아실 겁니다.
    일단 영어시험부터 준비하시구요. 한국에서 외국인과 불편함없이 생활영어 하는거랑 현지랑은 또 다릅니다. 여기야 외국인이 소수니까 한국인이 영어하면 이거저거 다 감안하며 이해해주지만 현지애들은 그런거 없습니다.
    서부는 대체로 차 없으면 생활하기 힘듭니다.
    학부 유학은 돈 많이 듭니다. 대학원 유학은 조교 장학금이라도 받을 수 있는데 학부 유학은 그런게 거의 없어서..하지만 탑클래스 학교 가는 애들은 국비 장학금 따서라도 가더군요.
    학비는 아마 non-resident fee로 내야하니까 비싸긴 비싸구요. 거긴 학점 당 등록금을 냅니다.
    F1비자(학생비자) 유학생들은 법적으로는 학교내에서 주당 20시간인가?만 알바가 허용됩니다. 법적으로는 학교밖에서 알바하는거 불법입니다만, 사람에 따라서는 요령껏 하기도 합니다. 원칙적으론 불법입니다.
    학부유학은 아이비리그나 스탠포드 같은데 붙어서 학교 장학금 받고 가거나 외부 장학금 본인이 따내서 가는거 아니면 대부분 집안에서 경제적으로 뒷받침 해줘야 합니다. 대학원 유학이랑 또 달라요. 경제적으로 자신 없으시면 안하시는게 낫습니다. 차라리 한국에서 학부 졸업하고 직장생활 하며 돈 좀 모았다가 대학원 유학을 가는게(조교 장학금 받고) 나을 수도 있습니다.

  • 4. ...
    '14.2.25 3:04 PM (119.148.xxx.181)

    일단 서민가정에서 미국 유학 보내려면...정말 힘들어요.
    학부부터 시작해야 되고.알바가 허용도 잘 안되거니와..공부하기도 바쁜데 알바 할 시간이 어딨나요.
    그리고 외국인하고 회화 잘 되는거 하고, 영어로 책 읽고 강의 듣고 페이퍼 쓰고..이런 건 또 별개.
    결국 학부 졸업하는데 5~6년 걸리테고. 최소한 1억, 까딱하면 2억은 깨질껄요. 학부 졸업하는데.

    그 다음 문제,
    학부 졸업만 해 갖고 미국에서 자리 못 잡죠.
    지금 미국도 불황이라 미국인도 취업 어려운데 외국인이야 뭐.
    박사과정 까지 마친 숱한 유학생들이 자리 잡아볼라고 발버둥 치다가 못 잡고 한국 돌아와요.
    이공계 박사과정까지 하거나, 약대 들어가는것 정도가 미국에서 자리 잡을 수 있는 경우더라구요.

  • 5. ㅇㅇ
    '14.2.25 3:06 PM (71.197.xxx.123)

    성인이 유학가는 건데 본인이 충분히 알아볼 능력이 될 거에요.
    학교에서 학비 외에 드는 생활비까지 정보 제공을 다 하고요, 요즘은 인터넷이 있어 차가 없을 경우 그 지역 버스 노선과 지역 그로서리 등 모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6. @@@
    '14.2.25 3:08 PM (108.23.xxx.142)

    꿈을 가지신 것으로 보아 긍정적인 정보가 많으신 것 같아, 저는 부정적인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미국 유학? 미국 정착?
    미국입국은 무비자 입국이니 가능합니다만 이는 관광에 한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공부를 하고 싶으면, 유학 비자를 받아야 합니다.
    유학생경우 대학 학비가 학교 마다 틀리겠지만 년간 거의 $50,000 이 상회합니다.
    한국에서 학비 조달공급이 가능하시겠습니까?

    일하면서 공부?
    유학생은 경우 법적으로 허용된 시간이내의 파트타임( 무제한 시간으로 일할수 없습니다 )으로 일할수 있습니다만....
    미국 평균 국민소득이 $40,000.-( 대충 아는 내용입니다. 정확치 안습니다....)인데, 제한된 시간만의 알바로 평균 국민소득 이상을 벌수 있을까요?
    (한국 국민 소득 $20,000 - 하루 3시간(정확치 않음) 알바로 년 3,000천만원 수입이 가능할까요? 더구나 외국인이..)

    장학금으로 ???
    미국내 연고도 없는 외국인에게 장학금 주는 학교 많치 않다고 들었습니다.....
    능력이 아주 우수하다면.... 재수하다 군입대?

    공부 대충하다가 정착 = 영주권 없이 눌러 않는... 불법체류로..

  • 7. ..
    '14.2.25 3:14 PM (58.225.xxx.25)

    미국에서 외국인이 취업하기 "그나마" 나은 전공이
    이공계, 사회복지, 간호학...이라고 알고 있어요.

  • 8. 부모
    '14.2.25 3:28 PM (112.153.xxx.137)

    재수하다가 군대 그러면 아예 고졸인거잖아요

    울아들이 거의 같아요
    지금 미국 서부 칼리지에 다니고 있어요
    일단 알바 못합니다
    자동차 필요합니다
    기숙사?? 칼리지는 그런거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희는 한달 세후 소득이 천만원이 넘는데요
    아들에게 한 달에 보통 350
    학비를 제외하고 그렇게 보냅니다

  • 9. ..
    '14.2.25 3:30 PM (1.224.xxx.197)

    비자 받기가 힘들거 같아요
    그정도 공백기있으면 비자에서 거절 많이 받나 보더라두요
    저 아는 사람은 미국에서 대학 나와서 미국 육군 지원해서 간다는 얘긴 들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7869 아침부터 힘이 쭉 빠지네요... 7 행운보다행복.. 2014/03/05 1,691
357868 독립해 사는 40 다된 미혼녀 생일때 본가에서 얼마나 관심 가져.. 13 독립해 사는.. 2014/03/05 2,399
357867 로라메르시에 프라이머 써보신분~ 2 호라 2014/03/05 2,227
357866 밀양 '할매'들, ‘올해의 여성운동상’ 수상 5 손전등 2014/03/05 414
357865 아이학교에 답례 할일이 있는데 품목 추천 부탁드려요. 5 좋은일 2014/03/05 662
357864 유리창엔 비 너무 좋지않나요? 2 ... 2014/03/05 2,415
357863 선배님들 지혜를 나눠주세요.... .. 2014/03/05 368
357862 튼튼한 베이비체어 사려는데요? 1 푸무클 2014/03/05 263
357861 이보영 쌍꺼풀이 많이 커진(넓어진) 건가요? 6 탈렌트 이보.. 2014/03/05 11,261
357860 천가방 튼튼하고 방수되는 것 어디서 살까요? 3 ..... 2014/03/05 1,302
357859 요즘 뭐에 젤 관심이 많으신가요? 5 질문 2014/03/05 985
357858 영화 "하녀"의 끝 7 영화 2014/03/05 2,774
357857 공무원 휴직체계 도움절실요 5 궁금이 2014/03/05 16,003
357856 금융거래 처음에만 주민번호 사용한다 세우실 2014/03/05 385
357855 냉장고는 삼성과 lg중 어디께 튼튼하고 좋을까요? 46 베란다냉장고.. 2014/03/05 20,405
357854 윤진숙 다음으로 오는 해수부 장관은 해수부폐지론자 3 참맛 2014/03/05 784
357853 (연아) 아디오스 노니노 동영상 필요하신분들 7 .. 2014/03/05 958
357852 순금이가 고백한건가요?. 1 ㅇㅇ 2014/03/05 543
357851 왜 제 글<김연아의 소치 올림픽, 그리고 심판판정 논란&g.. 15 길벗1 2014/03/05 2,272
357850 실컷 울고 싶은데 8 울음 2014/03/05 891
357849 교육비 지원 신청 하려는데,,재산 전산으로 다 검색되나요? 5 중학교 2014/03/05 1,444
357848 곤드레밥 사이트 기억하시는 분요~ 2 곤드레밥 2014/03/05 634
357847 딱딱해진 곶감 어떡해야 말랑해질까요? 5 곶감 2014/03/05 3,536
357846 <부동산급질>계약후 불법건물을 알았다면 계약금의 행방.. 3 해결완료 2014/03/05 717
357845 아동용 운동화 신으면 이상할까요? 8 ... 2014/03/05 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