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이의 작년 교과서 버리시나요?

Moon 조회수 : 2,236
작성일 : 2014-02-20 10:00:21
이제 일학년이 지나가고 2학년이네요 
나 어릴적엔 다 버렸는데 이번 아이때는 망설여지네요 
여러분들은 지난해 아이가 쓰던 공책과 교과거들이 어떻게 하시나요?
IP : 121.160.xxx.53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한마디
    '14.2.20 10:01 AM (118.222.xxx.204)

    학교에서 일괄수거

  • 2. 멍키
    '14.2.20 10:02 AM (110.12.xxx.152)

    가지고 있다가, 짐만 되서 이제는 그냥 버려요. 작년 교과서 볼일 거의 없더군요.

  • 3. 요즘
    '14.2.20 10:04 AM (116.36.xxx.132)

    요즘 세대는
    지식의 폐기도 즁요하다네요

    저도 애가 쓴 글자 보면
    아련해서 갖고 있는데
    쏟아지는 방대한 책들 보며
    버려야지 하고 있어요

  • 4. 버려요
    '14.2.20 10:09 AM (180.65.xxx.29)

    가지고 있을 팔요 없어요 새학년에 전년도 책가져오라 안해요

  • 5.
    '14.2.20 10:17 AM (112.217.xxx.67)

    현재 중2 엄마인데 아이 초등 때 전학 3번이나 했는데 한 번도 작년 책 가지고 오라고 한 학교는 없었습니다.

  • 6. 6학년엄마
    '14.2.20 10:22 AM (121.167.xxx.82)

    초등학교는 다 버리세요!
    절대 절대 필요한 일 없습니다.

  • 7. ...
    '14.2.20 10:24 AM (121.167.xxx.82)

    저희 아이 학교에서는 아예 학교에서 일괄적으로 모아서 폐기 하더군요.

  • 8. 그럼
    '14.2.20 10:27 AM (115.136.xxx.7)

    혹시 올해 7살인 조카가 있는데 그 애 초등들어가긴 전에 엄마가 한번 훑어보면 도움이 될까요?
    책은 대부분 학교에 놔두니까 집에서 가끔 답답하더라구요.
    동생 줄까 물어볼까요? 아님 아예 필요없을까요? 작년에 바뀐거니 내년에 바로 바뀌진 않겠죠?

  • 9. 봄날아와라
    '14.2.20 10:27 AM (223.62.xxx.97)

    우리집딸도 2학년되는데
    어제 교과서 전부 선생님드렸다하더라고요..
    재활용? 뭐 이렇게 말씀하셨던거 같다네요.
    전 다시볼일 있을 줄 알고 아쉽던데..
    괜찮은거군요~~^^

  • 10. 한번에 모았다
    '14.2.20 11:22 AM (118.32.xxx.208)

    버리니 한짐이더군요. 다시볼것 같지만 정말 안보게 되긴 해요. 그냥 버려도 될듯

  • 11. moon
    '14.2.21 2:53 PM (121.160.xxx.164)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7081 과연 나이가 들면 보수화 될까? 28 허상 2014/06/06 3,373
387080 덧글 감사하며 알아보는 이 있을까 덧글 그대로 두고 내용 펑합니.. 44 의아 2014/06/06 9,331
387079 남한강변따라 자전거길 정말 환상적이네요. 4 자전거 2014/06/06 2,737
387078 며칠방황하다 여기오니 힐링돼요 5 힘내자 2014/06/06 1,327
387077 무효표가 많은 이유중 하나 알았어요! 7 bluebe.. 2014/06/06 3,479
387076 김어준 kfc11회 박원순 조희연은 출연안했나요? 3 kfc 2014/06/06 3,261
387075 미디어 토크(6/6) - "朴 대통령, KBS 김용진.. lowsim.. 2014/06/06 1,390
387074 글 내렸습니다. 10 ... 2014/06/06 1,524
387073 요즘 안희정님이 hot!하네요 3 2014/06/06 3,196
387072 일본은 앞으로 얼마나많은 소아암환자가 발생하길레... 8 。。 2014/06/06 3,165
387071 저 몽즙 분류기 멈추게 한 여자에요. 80 //// 2014/06/06 12,459
387070 이윤성..홍지호 29 질문 2014/06/06 22,040
387069 댓글에 가슴이 벌렁벌렁 합니다. 34 ... 2014/06/06 6,890
387068 내가 아는 이광재에 대해... 18 어느가을날 2014/06/06 3,710
387067 지갑잃어버린꿈 그것도 연달아 3 겨울 2014/06/06 2,565
387066 이럴 경우 어떻게 하는게 현명할까요. 4 ㅊ초5 2014/06/06 1,347
387065 결혼 정보회사의 재혼남? 7 고민 2014/06/06 3,596
387064 장롱(가구)에 지폐를 붙이는 행위는 어떤 이유로 하는건가요? 1 미신 2014/06/06 1,432
387063 서른 후반.. 평생을 할 운동이 뭐가 좋을까요? 17 운동 2014/06/06 6,360
387062 보수에 가까운 내가 진보교육감을 뽑은 이유 /펌 9 진짜있었을듯.. 2014/06/06 2,467
387061 언론개혁프로젝트가 많이 힘드네요... 7 추억만이 2014/06/06 1,229
387060 마른오징어 물에 몇시간 정도 불리나요? 2 부침개 2014/06/06 2,094
387059 일반글) 남편에게 맞은 기억은 지워지지 않나요? 13 언제쯤 2014/06/06 3,416
387058 전년 대비 국세 수입 실적- 법인세 2조천 , 근로소득세 +2조.. 참맛 2014/06/06 1,213
387057 마트에서 파는 자장면 맛있는거 추천요! 17 그네하야 2014/06/06 3,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