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반찬을 잘 만들려면 자꾸 이것저것 해 보는 수 밖에

없나요? 조회수 : 1,325
작성일 : 2014-02-12 09:17:02

제가요..

반찬솜씨가 꽝이에요..

결혼 10년이 넘었는데도 아직 무채나물 조차도 무치질 못한답니다.

연금조림도 며칠전에야 제대로 했어요.

이것도 맘먹고 어디 한번 해보자 하고 했더니 다행히 흉내는 내더라구요.

할 줄 아는 거라곤 콩나물,시금치 무침, 생선 조림,콩나물국,미역국,된장찌게,김치찌게..

이러니 아직까지 제대로 손님상 한번 차려본 적도 없고

아무튼 집에 사람 온다는 소리가 제일 무섭습니다.

사람들 오면 애들 어리다는 핑게로 늘 외식을 했는데

큰액가 중딩인데 이제 그 핑게도 안먹히고..

어떻게 하면 반찬 몇가지랑 국을 척척 만들어 낼수 있을까요?

요리 선수까지는 아니더래도 보름이면 오곡밥과 몇가지 나물을 해먹고

동지면 팥죽을 하고.. 최소한 이렇게는 하고 싶어요.

신랑도 점점 제 음식솜씨에 대한 불만이 높아져 가고

먹성 좋은 두 아들은 매일 엄마 오늘 반찬 뭐야 하는데

지들끼리 어제 먹던 거.. 이러면서 ㅋㅋ 대는데 진짜 쪽 팔려 죽겠어요.

듣기를 자꾸 만들어 보는 수밖에 없다고 누가 그러시던데 정말 그런가요?

요리 잘 하는 여자가 제일 부러워요.

IP : 175.200.xxx.109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2.12 9:55 AM (114.201.xxx.19)

    맘에드는 요리책을 골라 믿고고대로 따라해보세요.
    그 생활을몇년하시다보면
    티비에서 대충 요리정보 전하는 프로그램만 봐도
    흉내내 재현하는 경지에 이를걸요. 제가 그랬어요^^
    일단 고대로 따라하는게 중요.
    이쯤 생략은 괜찮겠지,는 나중에 감을 잡은 후에^^

  • 2.
    '14.2.12 10:11 AM (1.177.xxx.116)

    그렇지요..아무래도 해 보는 수밖에요..
    그런데 약간 효율적이려면..무작정 한다기 보다는 약간 공부가 필요해요.ㅎ

    만약 무채나물을 하시고 싶으시면.
    무채나물로 검색해서 인터넷 블로그에 나와 있는 것들과 동영상을 찾아보시는거죠. ebs최고의 요리비결도 좋아요.
    그런것들을 쭈욱 살펴보면 약간씩 방법에 차이는 있는데 어느 정도 비슷한 요리방식들이 보여요.
    그리고 어느 정도의 양이면 몇인분 정도이고(몇센티짜리 접시에 몇접시가 나오나 그런거죠.)
    거기에서 특히 대체적으로 사용하는 양념의 비율이 보여요..
    그래서 그런것들로 어느 정도 학습을 하신 다음 요리를 하는거죠.

    그럼 첫번째에도 최소 70점 정도의 요리가 나와요. 가족들이 먹을만은 하다. 할 정도죠.
    그리고 원글님 상황을 보니 아마 한두번만 더 하시면 가족들 입에서 맛이 좋다는 말이 나올 겁니다.^^

  • 3. 감사합니다
    '14.2.12 10:20 AM (175.200.xxx.109)

    처녀땐 오곡밥도 하고 나물도 몇가지나 했어요.
    신혼때만 해도 반찬 좀 이것저것 만들어 먹었는데 우울증 앓고부터는 만사 귀찮아서
    대충 먹기 시작했더니 이제는 손 많이 가는 건 하기가 싫고 한동안 안하니
    할 줄 아는게 저런것 밖에 없더라구요.
    가정 주부가 되서 음식을 못하니 이것만큼 창피한 것도 없네요.
    정말 올해부터는 마음 먹고 노력하자는 다짐으로 올린 글이었습니다.
    아이들한테 제일 미안한데 부끄럽지 않는 엄마가 되어야겠어요.

  • 4.
    '14.2.12 11:21 AM (118.217.xxx.115)

    복지관 같은데서 하는 요리수업을 돌아가면서 계속 들으세요.
    원래 요리에 관심없으면혼자하다 지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66125 이지아 역할을 누가 했으면 어울렸을까? 25 세결여 2014/03/31 4,519
366124 2인가족.. 해먹는 것이 더 비싸게 드는 듯 합니다. 20 배고파 2014/03/31 4,079
366123 잠실이랑 일원동 고민입니다. 7 00 2014/03/31 3,567
366122 목동 아파트.. 사도 될까요? 16 전세 or .. 2014/03/31 5,435
366121 이혼하면 시댁과 남편관련 빚하고 상관없어 지나요?? 4 궁금이 2014/03/31 2,408
366120 트렌치 코트의 단추 바꾸고 싶어요 2 이쁜단추 2014/03/31 1,493
366119 영어유치원&어학원에 어떤 시설 어떤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 1 질문 2014/03/31 653
366118 비듬때문에 식초로 헹굴때요. 그 양을 얼마나 해야하나요 2 경험자분들 2014/03/31 1,593
366117 태양의허니블룸써보신분? 6 여인 2014/03/31 3,707
366116 '반니' 사탕 기억하시는 분 13 그렇다이면 2014/03/31 8,995
366115 남편과 동등한 상태로 결혼하신분들은 시댁간섭덜한가요 36 2014/03/31 7,832
366114 검찰, '간첩증거 조작' 국정원 직원 1명만 달랑 구속 1 샬랄라 2014/03/31 649
366113 건다시마 손질하다 2 tangja.. 2014/03/31 1,434
366112 우렁맛이랑 쌈장맛이랑 따로 놀아요.. 우렁쌈장 2014/03/31 685
366111 대치동 미도아파트 상가 잘 아시는분 계실까요? 2 도도 2014/03/31 1,881
366110 재산 보다 빚이 많은 경우 상속포기 vs 한정승인 어떤걸 해야 .. 6 궁금이 2014/03/31 3,571
366109 온라인내 운동화들 왜이렇게 싼가요? 4 운동화 2014/03/31 1,785
366108 결혼반지 늘릴수있나요? 3 나는나 2014/03/31 2,709
366107 소아 탈장 수술 해보신분 계신가요? 2 삼재인가.... 2014/03/31 1,668
366106 동물병원 피부진료 잘보는데 추천부탁드려요 ㅠ 4 동그라미 2014/03/31 792
366105 가자미는 어떻게 해먹는게 가장 맛있나요? 5 가자미 2014/03/31 1,718
366104 아파트 아짐이 이사가니 우울하네요 1 ㄱㅌㅈ 2014/03/31 2,016
366103 비행기11시간탈때 아기에게 상추삶은물 먹이는거요 4 쭈니 2014/03/31 3,163
366102 메신저 '라인'에 대해서 궁금한 게 있습니다 궁금 2014/03/31 518
366101 감사함에 대한 답례 8 .. 2014/03/31 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