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영화 밀양 보신분

리리컬 조회수 : 2,545
작성일 : 2014-01-18 13:51:16
밀양이 5.18을 모티브로 한건가요? 
아니면 만들다보니 그렇게 된건가요? 
개봉하고 이렇게 7년이나지나서 밀양을봤는데
피해자가 그토록 고통받고 괴로워하면서
겨우 마음을 추스려 '용서'라는 말을 꺼내려 어렵게 교도소로 범인을 찾으러 갔는데
가해자는 이미 하나님한테 용서받았다고 하고
그말에 전도연은 완전히 미쳐버리고
피해자의 인생은 엉망이 되어버렸는데 가해자는 마음의 평안을 얻었다..
5.18이 자연스럽게 떠올르는데 심한 비약인건가요 너무 묘하게 비슷해요 영화가....
아 오늘 마음이 착잡하네요 ....
IP : 59.11.xxx.110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긴허리짧은치마
    '14.1.18 2:00 PM (124.54.xxx.166)

    전혀 .....
    책이건 영화건 받아들이는 사람에따라 다른건 자연스러운거죠

  • 2. 그러고 보니
    '14.1.18 2:05 PM (118.44.xxx.4)

    그렇게 볼 수도 있겠네요.

  • 3. ...
    '14.1.18 2:42 PM (116.123.xxx.233)

    개인적으로 의미를 찾아 평론할 수는 있겠지만... 그런 의미로 만든 영화는 아니죠.

  • 4. dada
    '14.1.18 2:59 PM (210.210.xxx.250)

    5.18을 모티프로 해서 만든 영화입니다.
    원작인 이청준의 벌레이야기를 이창동이 5.18에 대한 알레고리로 읽었고, 이에 맞춰서 각색을 한거죠.
    빛을 상징하는 밀양이라는 경상도의 소도시는 전라도의 가장 큰 도시 광주와 대응됩니다.
    광주의 5월은 밀양의 6월이기도 하죠.
    희생당하는 아이의 이름이 준(6월)이거든요.
    경상도의 많은 사람들이 경상도 정당에 투표하는 행위를
    전라도 사람들이 경상도 정당에 투표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변명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경상도 출신 이창동은 영화를 통해 만약 당신이 그와 같은 일을 당했을때, 용서하고 가해자에게 표를 던질수 있는지를 묻고 있는거죠. 이것의 영화적 표현이 바로 머리카락을 자르는 행위입니다.

  • 5. 원작이
    '14.1.18 3:04 PM (175.253.xxx.206)

    소설 벌레이야기라고 5.18광주항쟁 이후의 가해자와 피해자 이야기라고 들었어요
    영화 메타포가 있는거니 원글님이 이해하신부분 수긍해요

  • 6. ......
    '14.1.18 3:06 PM (175.223.xxx.208)

    머리카락 자르는거가 왜
    광주항쟁에 대한 물음인지 이해가 안가요

  • 7.
    '14.1.18 3:23 PM (1.177.xxx.116)

    전 그냥 그대로 봤어요.
    원작이 어떠했건 영화의 얘기는 5.18을 이야기 한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에 만연해있는
    " 피해자가 가해자를 용서해야 한다 "고 강요하는 분위기와 종교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해요.

    우리는 피해자가 용서하는 것이 맘이 편해진다는 말로 피해자에게 가해자에 대한 용서를 압박하고
    용서하지 못하는 피해자에게 내려 놓지 못한다고 비난하기까지 하죠.

    반면 가해자는 종교에 귀의했다며 피해자에게 용서를 구하지도 않고도 신께 용서를 얻었다고 하며 편안해지는 아이러니.

    과연 신은 있는걸까..피해자는 고통의 극한에 몰려있는데 가해자는 마음의 평온과 해탈을 얻는다..
    생각해볼 문제이고 영화는 포괄적으로 그 얘기를 한다고 생각해요.

  • 8. 종교란 무엇인가
    '14.1.18 3:35 PM (210.124.xxx.249)

    종교적인 영화죠.

    종교란 무엇인가,또 구원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깊은 의문과 질문을 던지는 영화이고

    영화 시는 김기덕 감독의 피에타의 대척점에 서는 영화인거 같아요.똑같은 주제 구원에 대해서
    애기한건데
    둘다 숭고하지만,이창동 감독님 영화는 사람을 대하는 태도에 조심스러움과 연민과 거리를 두어서
    한숨쉬고 관조할수 있게 해줘요.
    사람의 여유가 얼마나 중요한지,감독들의 태도에서도 묻어나는거 같아요.

    그래서 더 아프고 더 깊게 와닿는거 같아요.

  • 9. 트랩
    '14.1.18 3:38 PM (115.143.xxx.80)

    바탕이 된 소설이 있었군요 저는 그 면회장면서 이근안이 생각나더군요

  • 10. 00
    '14.1.18 3:41 PM (110.70.xxx.167)

    여러 해석이 가능한 영화라고 생각해요. 평론가마다 시선이 약간씩 다르더라고요. 그래서 더 대단한 영화고요

  • 11. 편안하게 본 영화
    '14.1.18 5:19 PM (122.37.xxx.51)

    몇번 봤는데, 의미를 두지않고 전도연과 송강호 두배우의 열연에 촛점을 두고 본 영화구요
    변호인이 송강호
    밀양은 전도연의 매력을 잘 이끌어낸게 아닌가 싶어요

  • 12. masterpiece
    '14.1.18 6:11 PM (223.62.xxx.44)

    한국영화 최고 걸작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 13. 자끄라깡
    '14.1.18 8:12 PM (119.192.xxx.14)

    저도 한국영화 최고 걸작중 하나라고 생각되요.

    책이건 영화건 보는 사람의 관점이 중요하지 이건 이거다 말 할 순 없겠지요.

    이창동 감독이 있어서 다행이다 싶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3432 세월호 수수께끼 정답은 세모 에 있지않을까요? 3 ... 2014/04/23 2,733
373431 여러분.이기사를 봐주십시요 29 2014/04/23 5,536
373430 강용석의 무슨 19?인가 뭔가하는데 4 꼴보기싫어 2014/04/23 2,513
373429 누가 저 아이 좀 안아주세요 ㅠㅠ 8 미안하다 2014/04/23 3,462
373428 창문으로 배안에 갇힌 애들이 보이는데 전원구조 오보라니 9 이해불가 2014/04/23 4,700
373427 시사인 현상황 촌철살인 5 1111 2014/04/23 2,887
373426 자기 지역의 새누리당, 국회의원 사무실에 각자 전화하는 겁니다... 8 우리가 할 .. 2014/04/23 1,325
373425 ㅜㅜ 4 .. 2014/04/23 846
373424 정말 정말 미치게 힘든건요... 6 미안하다.... 2014/04/23 2,367
373423 회사에서 짜증나는 사람 어찌하시나요 다들? 2 ..... 2014/04/23 1,880
373422 아이피 저격 함부로 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30 ... 2014/04/23 5,536
373421 바지선을 가족들이 사비를 들여서 했다는 말이.. 12 뭐니 2014/04/23 4,972
373420 factTV 이상호의 고발 뉴스 합동 생방송입니다. 1 무국 2014/04/23 6,782
373419 지금 피디수첩 보세요 13 포화 2014/04/22 5,124
373418 이번사건으로 하루종일 우울해요 18 우울 2014/04/22 2,428
373417 이쯤되면 내각 총사퇴해야하는거 아닌가요? 31 솔까 2014/04/22 3,828
373416 (펌) "이제 학원 안 다녀도 돼" - 모두의.. 4 2014/04/22 5,002
373415 jtbc다큐쇼. 지금보세요 1 녹색 2014/04/22 2,833
373414 팩트tv 이종인님 인터뷰영상...볼수 없을까요 9 ... 2014/04/22 2,383
373413 구조자는 무슨...탈출자죠...셀프 탈출자... 5 ... 2014/04/22 2,393
373412 개같은 현실... 4 ㅎㅎ 2014/04/22 1,571
373411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7 oops 2014/04/22 2,236
373410 해경간부 직위해제. 18 .... 2014/04/22 4,840
373409 대힌민국 어디로 가고 있나요 6 으쌰 2014/04/22 1,780
373408 부검도 해외의사에게 의뢰나 친인척/지인이 할수는 없나요ㅜㅜ 1 제발 2014/04/22 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