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노무현의 요리와 글쓰기

참맛 조회수 : 1,693
작성일 : 2014-01-14 12:00:53

노무현 전 대통령의 글쓰기 원칙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issue&no=124038

관저 식탁에서의 2시간 강의
- 노무현 대통령의 글쓰기 지침
2003년 3월 중순, 대통령이 4월에 있을 국회 연설문을 준비할 사람을 찾았다.

노무현 대통령은 늘 ‘직접 쓸 사람’을 보자고 했다. 윤태영 연설비서관과 함께 관저로 올라갔다.

김대중 대통령을 모실 때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었다. 대통령과 독대하다시피 하면서 저녁식사를 같이 하다니.

이전 대통령은 비서실장 혹은 공보수석과 얘기하고, 그 지시내용을 비서실장이 수석에게, 수석은 비서관에게,

비서관은 행정관에게 줄줄이 내려 보내면, 그 내용을 들은 행정관이 연설문 초안을 작성했다.

그에 반해 노무현 대통령은 단도직입적이었다고나 할까?

아무튼 일을 효율적으로 하기를 원했다.

“앞으로 자네와 연설문 작업을 해야 한다 이거지? 당신 고생 좀 하겠네. 연설문에 관한한 내가 좀 눈이 높거든.”

식사까지 하면서 2시간 가까이 ‘연설문을 어떻게 써야 하는가?’ 특강이 이어졌다.

밥이 입으로 넘어가는지 코로 들어가는지 몰랐다. 열심히 받아쓰기를 했다.

이후에도 연설문 관련 회의 도중에 간간이 글쓰기에 관한 지침을 줬다.

다음은 그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1. 자네 글이 아닌 내 글을 써주게. 나만의 표현방식이 있네. 그걸 존중해주게. 그런 표현방식은 차차 알게 될 걸세.
2. 자신 없고 힘이 빠지는 말투는 싫네.
‘~ 같다’는 표현은 삼가 해주게.
3. ‘부족한 제갗와 같이 형식적이고 과도한 겸양도 예의가 아니네.
4. 굳이 다 말하려고 할 필요 없네. 경우에 따라서는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도 연설문이 될 수 있네.
5. 비유는 너무 많아도 좋지 않네.
6. 쉽고 친근하게 쓰게.
7. 글의 목적이 무엇인지 잘 생각해보고 쓰게. 설득인지, 설명인지, 반박인지, 감동인지
8. 연설문에는 ‘~등’이란 표현은 쓰지 말게. 연설의 힘을 떨어뜨리네.
9. 때로는 같은 말을 되풀이하는 것도 방법이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는 킹 목사의 연설처럼.
10. 짧고 간결하게 쓰게. 군더더기야말로 글쓰기의 최대 적이네.
11. 수식어는 최대한 줄이게. 진정성을 해칠 수 있네.
12. 기왕이면 스케일 크게 그리게.
13. 일반론은 싫네. 누구나 하는 얘기 말고 내 얘기를 하고 싶네.
14. 추켜세울 일이 있으면 아낌없이 추켜세우게. 돈 드는 거 아니네.
15. 문장은 자를 수 있으면 최대한 잘라서 단문으로 써주게.
탁탁 치고 가야 힘이 있네.
16. 접속사를 꼭 넣어야 된다고 생각하지 말게.
없어도 사람들은 전체 흐름으로 이해하네.
17. 통계 수치는 글을 신뢰를 높일 수 있네.
18. 상징적이고 압축적으로 머리에 콕 박히는 말을 찾아보게.
19. 글은 자연스러운 게 좋네. 인위적으로 고치려고 하지 말게.
20. 중언부언하는 것은 절대 용납 못하네.
21. 반복은 좋지만 중복은 안 되네.
22. 책임질 수 없는 말은 넣지 말게.
23. 중요한 것을 앞에 배치하게. 뒤는 잘 안 보네. 문단의 맨 앞에 명제를 던지고, 그 뒤에 설명하는 식으로 서술하는 것을 좋아하네.
24. 사례는 많이 들어도 상관없네.
25. 한 문장 안에서는 한 가지 사실만을 언급해주게. 헷갈리네.
26. 나열을 하는 것도 방법이네. ‘북핵 문제, 이라크 파병, 대선자금 수사…’ 나열만으로도 당시 상황의 어려움을 전달할 수 있지 않나?
27. 같은 메시지는 한 곳으로 몰아주게. 이곳저곳에 출몰하지 않도록
28. 백화점식 나열보다는 강조할 것은 강조하고 줄일 것은 과감히 줄여서 입체적으로 구성했으면 좋겠네.
29. 평소에 우리가 쓰는 말이 쓰는 것이 좋네. 영토 보다는 땅, 치하 보다는 칭찬이 낫지 않을까?
30. 글은 논리가 기본이네. 좋은 쓰려다가 논리가 틀어지면 아무 것도 안 되네.
31. 이전에 한 말들과 일관성을 유지해야 하네.
32.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는 표현은 쓰지 말게. 모호한 것은 때로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지금 이 시대가 가는 방향과 맞지 않네.;
33. 단 한 줄로 표현할 수 있는 주제가 생각나지 않으면, 그 글은 써서는 안 되는 글이네.
대통령은 생각나는 대로 얘기했지만, 이 얘기 속에 글쓰기의 모든 답이 들어있다.

지금 봐도 놀라울 따름이다.

언젠가는 음식에 비유해서 글쓰기에 대해 얘기한 적이 있다.
1. 요리사는 자신감이 있어야 해. 너무 욕심 부려서도 안 되겠지만.
글 쓰는 사람도 마찬가지야.
2. 맛있는 음식을 만들려면 무엇보다 재료가 좋아야 하지. 싱싱하고 색다르고 풍성할수록 좋지. 글쓰기도 재료가 좋아야 해.
3. 먹지도 않는 음식이 상만 채우지 않도록 군더더기는 다 빼도록 하게.
4. 글의 시작은 에피타이저, 글의 끝은 디저트에 해당하지. 이게 중요해.
5. 핵심 요리는 앞에 나와야 해. 두괄식으로 써야 한단 말이지. 다른 요리로 미리 배를 불려놓으면 정작 메인 요리는 맛있게 못 먹는 법이거든.
6. 메인요리는 일품요리가 되어야 해. 해장국이면 해장국, 아구찜이면 아구찜. 한정식 같이 이것저것 다 나오는 게 아니라 하나의 메시지에 집중해서 써야 하지.
7. 양념이 많이 들어가면 느끼하잖아. 과다한 수식어나 현학적 표현은 피하는 게 좋지.
8. 음식 서빙에도 순서가 있잖아. 글도 오락가락, 중구난방으로 쓰면 안 돼. 다 순서가 있지.
9. 음식 먹으러 갈 때 식당 분위기 파악이 필수이듯이, 그 글의 대상에 대해 잘 파악해야 해. 사람들이 일식당인줄 알고 갔는데 짜장면이 나오면 얼마나 황당하겠어.
10 요리마다 다른 요리법이 있듯이 글마다 다른 전개방식이 있는 법이지.
11. 요리사가 장식이나 기교로 승부하려고 하면 곤란하지. 글도 진정성 있는 내용으로 승부해야 해.
12. 간이 맞는지 보는 게 글로 치면 퇴고의 과정이라 할 수 있지.
13. 어머니가 해주는 집밥이 최고지 않나? 글도 그렇게 편안하고 자연스러워야 해.
이날 대통령의 얘기를 들으면서 눈앞이 캄캄했다.

이런 분을 어떻게 모시나.

실제로 대통령은 대단히 높은 수준의 글을 요구했다. 대통령은 또한 스스로 그런 글을 써서 모범답안을 보여주었다.

나는 마음을 비우고 다짐했다. 대통령을 보좌하는 참모가 아니라 대통령에게 배우는 학생이 되겠다고.

대통령은 깐깐한 선생님처럼 임기 5년 동안 단 한 번도 연설비서실에서 쓴 초안에 대해 단번에 오케이 한 적이 없다.
이런 분을 무능하고 부패했다는 미명을 씌워 내치고 죽음으로 몬 나라가 바로 대한민국입니다.


IP : 121.182.xxx.150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1.14 12:29 PM (203.249.xxx.21)

    와...........
    정말 감동적이네요.....

    이런 분을.............................못알아보고 놓친 바보들.
    그리고 그런 바보들로 만든 저 친일수구잔챙이들.

  • 2. ..
    '14.1.14 12:30 PM (121.166.xxx.219)

    제가 보는 눈이 있어요. ㄴ
    많은 이들이 그를 격의없고 소탈한 분이라 했지만
    첫눈에 여태 티비건 사석이건 본 사람중에 가장 품위있고
    무서운 분이셨어요. 뇌를 관통하는 한줄기 서늘한 빛때문에
    그를 그냥 바라보던 시선조차 피할 수 없었죠.
    그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네요.

  • 3. ㅇㅇ
    '14.1.14 12:41 PM (220.117.xxx.106)

    뇌를 관통하는 한줄기 서늘한 빛때문에
    그를 그냥 바라보던 시선조차 피할 수 없었죠.
    그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네요.22222222222222222222

  • 4. ㅠㅠ 눈물 또 나요
    '14.1.14 1:01 PM (121.143.xxx.17)

    대통령님 욕하신 분들 다들 가슴에 손 얹어보세요. 그분이 욕먹을만한 인물이셨는지....

  • 5. ㅠㅠ
    '14.1.14 4:52 PM (211.235.xxx.253)

    그분이 보고프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0163 삼성이 보상한다네요 6 ㅇㅇ 2014/05/14 2,500
380162 82 세월호 자원봉사 문의글 끌어올리기 3 .... 2014/05/14 798
380161 (박근혜 하야) 그네 방송나와서 울까요? 8 날나리 날다.. 2014/05/14 1,502
380160 와....이거 소름 무섭네요 ㄷㄷㄷ 28 기득권세력 2014/05/14 17,869
380159 세월호 아픔을 함께하는 용인 엄마들의 행진 1 깨어나자 2014/05/14 1,244
380158 와 대다나다. 911 보고서 끌어들여 문제 희석시키기. 7 팩트 2014/05/14 1,131
380157 연세대교수 131명이 세월호 관련 선언문 올려주세요 9 선언 2014/05/14 1,690
380156 찌질이와 구완와사 둘이 합쳐 미개한 싸가지 //////.. 2014/05/14 742
380155 (박근혜하야)정의가 강물처럼 흐르게 하라 1 .. 2014/05/14 1,029
380154 NYT, 세월호 학부모 청와대행 보도 light7.. 2014/05/14 835
380153 팽목항에는 이런분들도 계시네요. 수제버거집 아저씨요 17 고마우셔라 2014/05/14 3,301
380152 겨드랑ㅇ 부유방 제거수술 해보신분 계세요? 1 dd 2014/05/14 2,938
380151 국민티비 라디오 생방송으로 들으세요-하루종일 합니다(밤 12시까.. 8 ... 2014/05/14 1,093
380150 고기보다 비싼 과자 매출 하락세 이어져 10 참맛 2014/05/14 3,765
380149 밑에 글 보고 가정폭력 1 기회 2014/05/14 957
380148 [끌어올림] 82 모금 계좌 입니다. 7 불굴 2014/05/14 980
380147 의료민영화반대 서명사이트입니다. 10 민영화반대 2014/05/14 1,800
380146 [박근혜처벌] 저는 내용있습니다.^^ 7 조중동 아웃.. 2014/05/14 1,208
380145 진선미 의원 "세월호 구조 골든타임에 의전 관련 교신만.. 11 lowsim.. 2014/05/14 2,343
380144 (박근혜 하야) 내용없어요. 써보고싶어서 ^^;; 8 날나리 날다.. 2014/05/14 1,100
380143 박그네하야) 질문인데 좀 가르쳐주세요 9 ㅡㅡ 2014/05/14 630
380142 TV방송, 라디오, 신문... 추천해주세요. 7 지란 2014/05/14 597
380141 (박근혜아웃) 후원하고 싶은 곳이 하나 생겼네요 2 ㅇㅇ 2014/05/14 1,096
380140 (짝사랑)이제서야 현실을 알겠네요. 5 리베라 2014/05/14 3,381
380139 오늘자 82신문 4 ... 2014/05/14 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