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수 삶을때요, 보통 삶은 다음에 국물에 넣어 먹거나 비빔으로 먹잖아요

소면 조회수 : 1,963
작성일 : 2014-01-08 23:18:44

그런데 국물 국수같은 거 먹을 때 멸치 육수에 라면 처럼 면을 바로 넣고 끓여 먹어도 되나요?

저녁에 그렇게 해서 먹어 봤는데 괜찮더라구요 ^^;;;

꼭 삶아 낸 다음에  먹어야만 하는 이유라도 있는 건가요?

IP : 1.245.xxx.92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T
    '14.1.8 11:20 PM (59.6.xxx.174) - 삭제된댓글

    국물이 맑지 못하고 뿌옇고 좀 끈적해져요.
    국물 탁하고 끈적한거 싫어해서 삶은 후 꼭 헹궈서 다시 따뜻하게 해서 먹어요.
    끈적한 칼국수류 좋아하시는 분들은 원글님처럼 많이 해드시더라구요.
    다 개취죠 뭐.. ^^;

  • 2. ㅡㅡㅡㅡ
    '14.1.8 11:22 PM (112.159.xxx.4) - 삭제된댓글

    국수공장했던사람입니다

    건면에 소금이왕창들어갑니다
    바로삶아먹는방식도있는데 대신간을 나중 에 맞추세요

  • 3. ㅇㄷ
    '14.1.8 11:22 PM (203.152.xxx.219)

    저도 늘 소면은 따로 끓여서 찬물에 헹군후, 장국을 따로 끓여 소면을 말아먹었는데요..
    저희 옆집 애기엄마는 매운탕? 식으로 얼큰하게 국물을 끓인후 거기에 직접 소면을 넣어서 그냥 먹더라고요..
    저도 한그릇 얻어먹어봤는데.. 맛이 괜찮았어요.. 맞아요 좀 국물이 탁하고끈적이죠....

  • 4. 채소
    '14.1.8 11:28 PM (119.149.xxx.232)

    전 자잘한 채소가 많이 남았을 때 가끔 끓여 먹어요.
    멸치와 다시마 그리고 남은 채소들 채 썰어서 같이 끓인 후 국수 넣어서 먹으면
    국물이 탁하지만 시원한 국물 맛에 먹을 만 합니다.
    칼국수와 약간 비스므레 하다고나 할까요.


    국수공장님! 소면에 소금이 많이 들어가는군요.
    어쩐지 별 간을 안해도 거의 간이 맞는다 싶었더니..
    제 입이 싱거운가 했었는데...ㅎㅎㅎㅎ

  • 5. 면의
    '14.1.8 11:34 PM (5.71.xxx.225)

    점성이 활발해져서 더 끈적거리고 잘 퍼지는 상태가 되죠
    찬물에 씻으면 보호막이 생겨서 면의 쫄깃함이 살아나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4105 하기스 기저귀 주로 어디서 구입하세요? 2 fdhdhf.. 2014/02/22 890
354104 연아 91% 러시아 철딱서니 6% 12 손전등 2014/02/22 3,190
354103 퍼옴 ) 초등 남교사는 진짜 노예같아요... 7 코코 2014/02/22 5,784
354102 연아 중앙 본능 1 중앙 2014/02/22 1,946
354101 팀추월 5 ... 2014/02/22 1,006
354100 피겨 잘 아시는 분들...김연아 작품 구성 객관적 난이도? 13 궁금 2014/02/22 2,945
354099 남자 팀추월 결승진출~~!! 14 * 2014/02/22 2,083
354098 동네사람이 인사해도 모른척 하네요 11 속상... 2014/02/22 3,256
354097 연아 갈라....동메달 딴 데니스텐하고 페어 맞나요?? 6 진홍주 2014/02/22 4,707
354096 색조화장품 5 메이컵 2014/02/22 1,046
354095 겨울이 끝나가는 것 같아 아쉬워요.. 13 끝나가는 겨.. 2014/02/22 1,959
354094 우크라이나에서는 친러샤 정부땜시 사람이 죽어나가는데 뻑 푸틴 2014/02/21 533
354093 혼자 소주까고 있어요 1 2014/02/21 919
354092 영어문장 해석 도움 좀 부탁드려요...(이런분위기에 죄송합니다... 1 suay 2014/02/21 476
354091 러시아 아시러 아시러 러시아 2 지인 카스에.. 2014/02/21 580
354090 우리나라가 일을 크게 벌리면 도대체 어떤 불이익이 있는 걸까요?.. 14 입다물고 있.. 2014/02/21 3,284
354089 진짜 오늘은 여기서 계속 연아 얘기뿐이네요 8 헐... 2014/02/21 1,052
354088 소트니코바 착지시 잠시 휘청...감점 대신 후한 점수 받다니 8 손전등 2014/02/21 2,162
354087 해외 오래 계신 분들. 애틋한 정드세요? 4 -- 2014/02/21 1,231
354086 이번 김연아 스캔들에서 제가 느낀건 8 질려요 2014/02/21 1,985
354085 리프니보다 소쿠리가 왜 이렇게 얄밉죠? 8 소쿠리 2014/02/21 1,565
354084 빙산연맹에서 나서서 IOC에 항의 할 수 있게 전화로 항의좀 합.. 6 2014/02/21 1,086
354083 86세 되신 친정엄마의 연아 관전기 3 ... 2014/02/21 2,756
354082 직장에서 소시오패스 만났어요 ㅜ 6 gogo 2014/02/21 8,969
354081 소트니 탈춤ㅋㅋㅋ 8 두고두고부끄.. 2014/02/21 2,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