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민영화논란게임끝.현 코레일사장 논문-독일식은 민영화!

논문의 정직성 조회수 : 1,586
작성일 : 2013-12-26 04:24:32

최연혜 현 코레일 사장이

자기 논문(2001년 4월 교통연구원이 발간하는 <월간 교통>에 ‘독일연방철도청의 철도구조개혁’이라는 논문)에서

직접

"정부가 100프로 주식 가진 공사 형태"도.. 민영화라고 못 박았다네요..

정부가 지향하는 독일식 체제가 바로 그 민영화로 이야기하고 있구요..

이제 게임 끝났네요...

현 코레일 사장이 지난 논문에서.. 현재의 방식을 "민영화"라고 규정햇으니...

앞으로 새누리와 박근혜의 대응이 궁금해 집니다...

국민들에게 사죄하고

얼른 민영화 철회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지난 6월 트위터에서 민영화 반대를 확실히 천명했군요..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436584

6. 정부와 코레일 측은 자신들이 추진하는 철도개편이 독일식 경쟁체제를 지향하는 것으로 민영화와는 무관하다고 주장합니다. 이런 주장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합니까?
⇨ 정부와 코레일 측이 추진하는 철도개편은 최연혜 코레일 사장이 1990년대 중반 이후 발표한 몇 편의 논문 내용과 매우 흡사합니다. 이들 논문을 보면 그가 독일식 철도 개편에 관심이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최 사장이 자신의 논문에서 독일식 철도 개편에 대해 ‘민영화’라고 명확하게 못을 박고 있다는 겁니다. 그는 2001년 4월 교통연구원이 발간하는 <월간 교통>에 ‘독일연방철도청의 철도구조개혁’이라는 논문을 기고했는데요. 이 논문을 보면 ‘독일철도청 민영화의 주요 특징’이라는 구절이 나옵니다. 황당한 것은 최 사장이 독일의 철도개편을 흉내내겠다고 하면서 또 이와 같은 철도개편이 민영화라면 철길에서 드러눕겠다고 공언하면서, 자신의 논문에서는 독일의 철도개편이 ‘민영화’라고 명확히 규정했다는 것입니다. 최 사장에게 지식인으로서 일말의 양심이 있다면 반드시 약속을 지켜야 할 겁니다. 즉 철길에 누워 정부의 독일식 민영화 철도개편에 반대하는 의사를 반드시 표현해야 할 겁니다.
 
7. 최 사장 논문 내용이 무척 궁금한데요. 그가 말하는 ‘독일철도청 민영화의 주요 특징’은 어떤 것입니까?
⇨ 그는 논문에서 독일철도청 민영화의 주요 특징으로 여덟 가지를 거론했습니다. 그 내용을 일부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관청 형태에서 주식회사 형태로, 주식은 100% 정부가 보유한 공사형태로 전환되었다. 둘째, 부채탕감이 이루어졌다. 셋째, 근거리여객수송 부문의 공공서비스 의무를 면제해주었다. 넷째, 상하분리원칙이 적용되었다. 다섯째, 동독철도의 복구 및 개량비용은 연방정부가 부담한다. 여섯째, 기업회계제도를 채택하였다. 일곱째, 신설노선의 건설 및 기존설비 개량을 위해 연방정부가 재정을 지원한다. 여덟째, 철도공무원을 연방철도자산단에 귀속시킴으로써 철도주식회사에 대해 공무원의 인건비 부담을 경감시키고, 인사정책상의 경직성을 완화시켰다.”

8. 최 사장은 정부가 주식의 100%를 보유했다 하더라도 그 회사가 주식회사 형태이면 그것을 민영화로 보았군요?
⇨ 그렇습니다. 최 사장은 논문에서 정부의 보유 지분 비율이 아니라 그 회사의 성격을 기준으로 민영화 여부를 판단했습니다. 즉 그 회사가 주식회사이기 때문에 민영화라는 겁니다. 최근 이철 전 코레일 사장도 모 방송사와의 인터뷰에서 이와 비슷한 논리를 편 적이 있습니다. 

---

IP : 59.2.xxx.155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토사구팽
    '13.12.26 5:17 AM (203.226.xxx.107) - 삭제된댓글

    일순위 최연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68016 밀회.. 김희애가 넘 느끼해서 몰입이 안돼요 19 어휴 2014/04/06 9,085
368015 19-경주 리조트 붕괴 참사의 희생자를 생전에 성폭행했다는 놈 3 이런 2014/04/06 3,476
368014 친구가 제게 기대했다 삐지는게 부담이되요 5 기대 2014/04/06 1,999
368013 지금까지 가장 힘들었던 일이 무엇이었나요? 6 라쿠카 2014/04/06 4,169
368012 식약청에서 MSG 무해하다 평생 먹어도 된다고 또 발표했나보네요.. 27 루나틱 2014/04/06 6,095
368011 SLR club 회원가입 도와주세요 9 재외동포 2014/04/06 1,893
368010 아마존 소녀 한국 방문기 '집으로'에서 나왔던 1 휴가에 2014/04/06 965
368009 싱가폴 라벤더호텔 조식 포함 해야할까요~? 8 차니맘 2014/04/06 2,720
368008 에스프레소 머신 쓰시는 분 2 2014/04/06 1,150
368007 보테가 가방 8 fool 2014/04/06 3,639
368006 5학년 딸아이의 친구.. 조언 주세요 6 참참 2014/04/06 1,867
368005 두집 좀 봐주세요... 4 뭐가 더 나.. 2014/04/06 1,279
368004 떨어져 살면 진짜 멀어지나요? 2 부부 2014/04/06 2,205
368003 볼륨 매직...? 웨이브 펌...? 5 ... 2014/04/06 3,277
368002 수학과외샘 상담해주나요?? 12 나무꽃 2014/04/06 1,871
368001 어른들 탕평채 많이들 좋아하시나요? 3 무지개 2014/04/06 960
368000 힘든일이 생기면 어찌 버티시는지요 50 2014/04/06 11,538
367999 지간신경종 아시는분.. 7 발바닥퍼 2014/04/06 2,250
367998 곧 40인데 원래 입맛 도나요...살 찌려는 건가요;; 5 ---- 2014/04/06 1,662
367997 아기 엄마한테 무슨 선물이 좋을까요? 3 선물 고민 2014/04/06 826
367996 초6딸 경주 수학여행 가방 싸는 거 조언 부탁 드려요. 1 초등맘 2014/04/06 1,129
367995 키친에이드 있으신분 어떠세요? 6 schnuf.. 2014/04/06 2,591
367994 당신의 이름을 써보세요. 5 지나가다가 2014/04/06 1,794
367993 저같은 사람은 결혼 하지 않는 게 낫겠죠? 34 ........ 2014/04/06 11,849
367992 발을 접질렀어요 6 아야 2014/04/06 5,6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