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첫 설 앞두고 어떻게 해야 하나~고민이에요 ㅠㅠ

새댁 조회수 : 725
작성일 : 2013-12-23 10:40:23

결혼 한 달 남짓한 새댁입니다.

친정은 차로 30분 거리고, 시댁은 차로 3시간 정도 되는 지방이에요.

 

어제 시댁에 다녀왔는데 가족들이 모두 모인 자리에서 아주버님(시누의 남편분)이 설 얘기 꺼내시면서 "설 당일에 올라가야 하지요?"라고 했어요.

사실 남편이 집에 오래 있고 싶어하는 거 알고 있기도 했고 아직 기차표를 예매하지 않은 상태라서 "아직 기차표를 예매 못해서요."라고 대답했고요.

그랬더니 옆에서 시어머니가 "아니 왔다갔다 시간도 오래 걸리는데 명절은 여기서 보내야지. 친정은 주말에 다녀오든가." 이러시더라고요.

지난주에 설 얘기 나누면서 남편이 '수요일에 내려가서 토요일에 올라오자'고 했었어요. 저는 별 대답 안한 상태였고.. 남편 말대로라면 설은 온전히 시댁에서 보내는 게 맞는데 어머니가 저렇게 얘기하시니 남편은 "아직 결정 못했어요" 라고 대답했어요. 맞장구 치고 싶지만 제 눈치를 보는 거 같았어요. 시어머니가 저렇게 얘기하시니까 다시 아주버님이 웃으시면서 "아이고~ 시댁 무서워졌죠?" 라고 해서 그냥 웃고 넘겼어요.

 

아무래도 친정은 가까이 살고 시댁은 멀리 살다 보니까 자주 못가는 건 사실이에요.

그래도 명절 두번, 두분 생신, 기타 연휴해서 6번은 가는 거 같아요. (결혼 전에 연애할 때 이 정도로 다녔어요)

저희 집은 이보다는 훨씬 자주 가긴 하지만(저는 1~2주에 한번, 남편은 한 달에 한 번 정도요).. 집에 머무는 시간은 절대적으로 짧아요.

예를 들면 저희집은 밖에서 만나서 밥을 먹고 집에 들어가서 과일을 좀 먹고...집에 한두시간 정도 있다가 나오지만 시댁은 한번 가면 금요일 기본으로 휴가내고..2박 3일, 3박 4일 지내다 오거든요.

결혼 전에는 시댁이 머니까, 명절은 그냥 시댁에서 보내고 오자, 라고 맘 먹었었는데.. 저렇게 대놓고 말씀하시니까 좀 뿔난 마음이 됐어요.

첫 명절이면, 저희 부모님도 저 없이 보내는 첫 명절인 셈인데 적적하실 거잖아요.

 

기본적으로는 예뻐라하시고 좋은 분이신데.. 가족 모임에 대한 애착이 좀 크세요. 저희가 내려가면 근처에 사는 형님네 두 가족 항상 불려오시고요. 전 차라리 안오시는 게 편하고 좋은데 (모이면 다 시댁에서 자기 떄문에 방이 모자라서 저희 부부가 거실에서 자거든요ㅠㅠ) 시어머님은 멀리 사는 동생 부부가 왔는데 안 오는 건 도리가 아니다 생각하세요.

다른 부분에서는 크게 터치 없으시고, 가까이 사는 처가 스트레스도 남편한테 있을테니 명절에는 그냥 시댁에서 지내다 오는 게 좋겠죠?

 

아옹...딱 먹은 마음이었는데 시어머님 말씀 한마디에 급 서운하고 흔들리네요 ㅠㅠㅠㅠ

 

IP : 118.33.xxx.40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2.23 10:50 AM (116.127.xxx.246)

    전 양가 모두 가까운데요. 무조건 공평 원칙.
    한해씩 번갈아 친정 먼저 시댁 먼저 갑니다. 내가 좀 욕 얻어먹고 내 딸부터는 당연한 일로 자리 잡길 바라며 꿋꿋히 실행 중이죠 -_-;;;

  • 2. 공평하게
    '13.12.23 11:48 AM (175.223.xxx.189)

    한달 한번가고 남편혼자 1-2주에 한번 시댁 가라 하고
    애낳으면 친정에서 애보고 싶다오면 시댁도 오라 하세요 님부모 딸기다리듯 남편 부모도 아들 기다라고 1-2주에 한번 보고 싶지 않을까요?

  • 3. ,,,
    '13.12.23 4:31 PM (203.229.xxx.62)

    원글님 하고 싶은대로 하세요.
    남편과 의논해서 결정 하고요.
    원글님은 그럴 마음이 없는데 시어머니가 원하는대로 하다가 홧병이 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75730 아. . 그럼 물대신 에어포켓이 그리 많았던 건가요 ㅠㅠㅠ 14 ᆞᆞᆞ 2014/04/28 4,520
375729 알바글은 댓글수로 돈을 버나요? 2 떡밥금지 2014/04/28 492
375728 JTBC 손석희 뉴스 보세요 1 신우 2014/04/28 828
375727 알바글에 대한 관리자의 조언 3 관리자아님 2014/04/28 569
375726 교육부, 학생들에게 세월호 '입단속' 논란 6 협박 2014/04/28 1,487
375725 朴대통령 '세월호 참사' 대국민 사과 고심 53 세우실 2014/04/28 3,889
375724 공감능력 없는 사람, 왜 그럴까? 1 .. 2014/04/28 3,012
375723 저도 이 와중에 죄송하지만 질문좀 드릴께요.. 할머님들 영어교재.. 죄송요 2014/04/28 459
375722 실종자 가족에게 분노조절 장애라니 8 ... 2014/04/28 1,896
375721 분향소갈때 옷차림에 신경 좀 썼으면 합니다. 21 콩이 2014/04/28 6,241
375720 청와대 게시판 펌) 요즘 중학생 사이에 도는 소문 7 ... 2014/04/28 3,319
375719 [국민TV] 9시 뉴스K (4.28) 뉴스특보 '세월호 침몰사고.. 1 lowsim.. 2014/04/28 614
375718 이민가고싶다는글을 보며 8 2014/04/28 1,794
375717 패스글) 손석희씨 오늘 9시 뉴스에 사과 6 파수꾼 2014/04/28 2,122
375716 해경, 단원고 교사들 시신확인 투입 논란(?) 2 점입가경 2014/04/28 3,283
375715 노무현 ----그리고 당신의 눈에 맺히는 눈물.. 6 ... 2014/04/28 1,512
375714 당신이 창밖에 있었다해서 1 ㅠㅠ 2014/04/28 598
375713 78세 노인분 대장내시경 많이 힘들까요?(이 시국에 죄송해요) 7 ㅇㅇ 2014/04/28 1,497
375712 "꽉 막힌 공무원들 국화 2만 송이 기부 날렸다&quo.. 13 나참 2014/04/28 3,547
375711 500명 탓는데 초기대응 경비정 1척 고무보트 1대가 다엿다. 7 이기대 2014/04/28 872
375710 (청와대글 삭제 의혹) 청와대 글 진짜 자삭한걸까요? 이거 보세.. 4 ... 2014/04/28 1,351
375709 오늘 안산분향소를 다녀왔습니다. 3 익명 2014/04/28 1,609
375708 아인슈타인 이후에 발전된 사상은 어떤건가요?어디를 검색해보면 될.. 3 rrr 2014/04/28 582
375707 청와대 게시판 펌) 이게 콘크리트 균열의 시작이길 바라며... 5 ... 2014/04/28 1,670
375706 윤진숙이 해수부장관질 더 못했나요 박근혜가 대통령질 더 못하나요.. 19 까놓고 말해.. 2014/04/28 2,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