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어 어휘력 늘리려면...제일 빠른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40대 조회수 : 7,084
작성일 : 2013-12-11 13:07:32

40대 주부입니다.

글을 쓰거나 말을 할때, 전문용어에 관련한것이나 문장중에 고급어휘를 쓰고싶고, 앞으로 꼭 사용해야하는데요 

항상 쓰던 단어로 밖에  다른 그 상황에 맞는 어휘들이 떠오르지 않고 익숙치 않아서...난처합니다.

보고서를 쓸때나, 리포트, 논문, 수필....등등 관련한 글 쓸때나

말을 할때도...중급 어휘들만 사용하게 됩니다.

글을 쓸때,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거나 끝내는 단어나 어휘도 부족하고....

어휘력을 빨리늘릴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좀 마음이 급한 상태라서.....꾸준히 독서하고 신문 읽고 하면 되겠지만...

그러면 시간이 꽤 오래 걸리지 않을까요?

그리고 그런곳에서 나오는 어휘들은 다 이해는 하면서도..막상 사용해야할때는 전혀 머리에 떠오르지 않으니

그게 문제거든요.

알고 있는 어휘나 단어들을 그때그때 잘 사용하기 위해서, 또는 생소한 고급 어휘들을 사용하기 위해서

어떤 방법이 가장 좋을까요?

참고로...제가 책을 읽거나 글을 읽으면...그 내용이나 행간은 잘 파악하고 마음에 잘 새겨두는 편인데요

그 느낌이나 감정, 감동...이런거요

그러나, 그 문장을 이룬 단어나 어휘나 문맥들은......잘 익혀지지 않는 성향이 있는거 같아요

저에게  글 좀 매끄럽게 쓸수 있는 비법 좀 알려주세요....

IP : 1.231.xxx.83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독서
    '13.12.11 1:10 PM (121.131.xxx.250)

    본인이 따라 하고 싶은 어휘가 많이 적힌 책을 사서, 읽은 후에 필사를 합니다. 그럼 어휘 뿐 아니라 문장 사용법까지 자연 체득하게 됩니다. 소설가들이 습작시절 가장 많이 하는 방법입니다.

  • 2.
    '13.12.11 1:14 PM (58.236.xxx.74)

    앞으로 종사하실 고급어휘써야하는 직종이 뭔지요 ? 거기에 따라 조언 방향이 좀 달라지겠죠.
    필사, 늘 메모하기, 신문사설 내 관점으로 조금씩 고쳐써보기.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요.

  • 3. 원글
    '13.12.11 1:21 PM (1.231.xxx.83)

    아...상담심리 쪽이예요
    심리검사 분석한후에 평가서도 제출해야되고
    리포트나 논문같은것도....

    아...필사...저도 들어는 봤는데....
    성당에서 성경필사를 한적이 있긴한데....한번 하는걸로는 머리나 손에 남지는 않는듯한데요..
    제 경험상..^^;;;;;;;;;;;

    필사를 같은 책으로 몇번씩 하는 경우도 있나요

    필사는 손으로 직접 쓰는거지요?
    노트는 일반 노트에 하면 될까요
    아니면 원고지?

    컴퓨터 자판으로 입력하는건...필사가 아니겠지요?

  • 4.
    '13.12.11 1:25 PM (58.236.xxx.74)

    일반노트요.
    이지성 작가 보니까요, 책전체를 필사하는게 아니라 좋은 내용만 골라서 컴 자판으로 입력하고 출력해서 보고
    노트에 붙여서 정말 좋은 구절만 그옆에 다시 손으로 필사하고.
    요는, 필사는 두 번 정도 하더라도, 가까이 곁에두고 그 구절들이 스며들 수 있도록 자주 보고 사랑하는 거죠.

  • 5. 인문서적과 시사경제지를
    '13.12.11 1:28 PM (220.117.xxx.28)

    정독하세요.

  • 6. 지나가다
    '13.12.11 1:30 PM (152.149.xxx.254)

    심리학 사전 정독하세요.

  • 7. 씨네21같은
    '13.12.11 1:35 PM (58.236.xxx.74)

    영화잡지를 정기구독하세요. 인간이 처한 다양한 상황이나 심리적 딜레마를
    표현하는 어휘들을 많이 늘릴 수 있어요.
    도서관에 가서 과월호 집중구독하셔도 좋고요.

  • 8. 원글
    '13.12.11 2:17 PM (1.231.xxx.83)

    심리학 전문 용어가 문제가 아니구요
    그걸 풀어내면서, 적당히 맞는 어휘로 연결하고 연결해야하는데..
    그게 쉽지가 않아서 그래요..
    그건 심리학 용어랑 상관이 없지요

  • 9. 정 급하면
    '13.12.11 2:40 PM (125.178.xxx.140)

    고등학생들이 많이 보는 1등급 어휘력 같은 교재는 어떤가요?

  • 10. 이건
    '13.12.11 2:52 PM (115.137.xxx.107)

    내가 정답을 알고있다고 생각해요

    첫째는 폭넓고 깊이있는 독서구요
    들째는 독서한후 느낌을 글로 써보세요 또 한가지는매일같이 일기를 쓰세요 이 때에 내가 표현하고싶은 내 마음속의 이미지, 심상이 정확하게 표현될때까지 내 글을 고쳐 써보세요 그래 내가 하고싶었던것이 바로 이 말이었어..라는 생각이 안에서 올라올때까지 글을 수정하는 일을 매일하세요 이렇게 한몇년하면 글이 달라집니다
    큰 진보를 이루시기를 바랍니다

  • 11. 평이한 단어들
    '13.12.11 4:06 PM (183.102.xxx.20)

    심리 상담이라면
    말이나 글에서 전문용어들이 자주 등장하게 될텐데
    그 외의 단어들까지 원글님 스스로에게조차 익숙하지 않는 고급어휘들을 사용한다면
    읽거나 듣는 사람이 피곤해지기 쉬워요.
    그러니까 평이하고 익숙한 어휘들을 적절히 사용하는 게
    어쩌면 가장 고급스러운 문체나 말이 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도 그렇구요.

    아주 작고 사소한 어순의 차이로
    글이나 말에서 품위가 남다를 수도 있고
    평이한 언어로 듣는 사람의 마음에 쏙쏙 박히는 내용 전달이 가장 좋은 대화법이예요.

    그러기 위해서는
    말하고 글 쓰는 훈련도 중요하고
    독서도 많은 도움이 되겟지만
    무엇보다 본인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본인이 완전히 알고있어야 하고
    사고의 전개가 논리적이어야 하고
    무엇보다 듣는 사람. 읽는 사람 입장에서 전달해야 해요.
    아무리 좋은 내용이나 멋진 언어들이라 해도
    과하게 멋을 부리거나 문어체가 많으면 거부감이 들고
    듣는 사람이 받아들이지 못할 정도로 어렵게 말하면 아무 소용없어요.
    특히 상담이라고 하시니 더욱 그렇습니다.

  • 12. 오늘 팟캐스트에서 들었어요.
    '13.12.11 11:45 PM (220.124.xxx.208)

    유시민님이 말씀하시길

    '토지' 1,2부를 반복해서 읽으라고 하시더라구요.
    '토지' 전편을 반복하기는 너무 길고 지루하니까
    1,2부만이라도 여러번 읽고, 잊어버리고 다시 읽고를 반복하면
    어휘력이 좋아진다네요. 본인 경험이라면서~

    꼭 '토지'가 아니더라도
    여러권을 읽기보단 한권을 반복하는게 더 나을것 같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5670 태권도3단을 영어로 뭐라고 하나요? 2 고우 2013/12/28 6,181
335669 1994 어쩌죠 34 클로이 2013/12/28 9,788
335668 송강호 정말 연기 잘하네요 (스포싫으시면 패스요) 7 명배우 2013/12/28 2,033
335667 올림머리 1 갱스브르 2013/12/28 804
335666 '서성한''서성한'하시는분들 제발 모르면 가만계세요 45 샤론수통 2013/12/28 33,850
335665 미국인데 시차적응이 안돼요 2 ㅂㄷ 2013/12/28 1,237
335664 시댁에 와있는데 하루종일 종편 보시는 아버님... 3 미즈박 2013/12/28 1,463
335663 지금 막 집에 도착했습니다. 34 보름달 2013/12/28 7,604
335662 도시까스 요금 얼마나 나왔나요? 17 24평 2013/12/28 4,263
335661 건조해서 미추어버리겠어요 ㅠㅠㅠ 2 ㅇㅇ 2013/12/28 1,280
335660 감동 2 마리아 2013/12/28 972
335659 28살만돼도 인생은 다 결정되는것 같아요.. 35 .... 2013/12/28 12,616
335658 집회에나온국민을봐도그네는.. 5 미친닭 2013/12/28 975
335657 양산에덴벨리스키장 가보신 분&무주 비교 2 궁금이 2013/12/28 1,180
335656 <변호인> 명관람평 4 그네코 2013/12/28 2,748
335655 난방 안하는 집이 이렇게 많다니..... 76 -_- 2013/12/28 22,086
335654 우리 시엄니.. 집회 뉴스 보시면서.. 23 어휴... 2013/12/28 3,324
335653 아웃백 첨 가는데 메뉴 추천,싸게 먹는법 5 알려주세요 2013/12/28 2,075
335652 전지현이 나오는 드라마,,, 2 궁금타 2013/12/28 1,631
335651 40대 신사복 100만원대랑 40-50만원대랑 차이 많이 날까요.. 4 양복 2013/12/28 1,642
335650 전자레인지 몸에 나쁜거 아니죠? 2 전자 2013/12/28 1,314
335649 안성에 와있는데 tvN 채널이 몇번인가요? 안성 2013/12/28 1,126
335648 면역떨어지면 입에 뭐 나는거 바이러스인가요? 2 ㅇㅇ 2013/12/28 1,501
335647 써본분들~~ 시슬리 로션이 그렇게 좋던가요??? 7 악건성 2013/12/28 5,755
335646 무쇠팬 길들여놨어요. 3 높은하늘 2013/12/28 1,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