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가 열흘 됐는데 아직도 안익었어요.

김치초보 조회수 : 1,732
작성일 : 2013-12-10 06:35:22
지난 주에 김치를 담가서 추운 베란다에 두고 열흘 남짓 지났어요. 냉장고가 작아서..
근데 오늘 열어보니 익은 맛이 하나도 없고 아직도 겉절이 같아요. ㅠㅠ
색깔은 정상 김치 색인데 줄기쪽은 너무 싱겁고 이거 어쩌죠? 

원래 김치 익는데 더 오래 걸리나요? 제대로 안절여진걸까요? 

분명 배추가 살아있진 않았고 맛도 슴슴했는데 왜 이렇게 싱거워진걸까요? 

양념 맛도 싱겁게 하지 않았는데..? 물이 생겨서 싱거워진건가?

그냥 기다려보는 수 밖에 없죠? 이게 김치가 미친 상태인건가요? 김치통을 집안에 둘까요?

IP : 92.74.xxx.123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겨울이라
    '13.12.10 6:47 AM (110.47.xxx.109)

    추운베란다에있으니 서서히 익는거예요
    익은김치가 필요하면 실내로 들여다익히고 늦게익혀도되면 그대로 두면 천천히 익을겁니다

  • 2. ...
    '13.12.10 7:35 AM (203.226.xxx.58)

    국물이나 다른쪽은 간이 맞는데 줄기만
    싱거운거라면 익으면 괜찮아져요.
    하지만 다 싱겁다고 느껴지면
    아직 익지 않았다니 국물을 따라서 소금이나 액젓으로 간을 맞춰서
    다시 부어주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김장김치니 싱거우면 오래 두고 먹을수가 없을꺼예요.
    그리고 김치를 무르게하는 이유중에 하나라고 하더라구요.

  • 3. 원래
    '13.12.10 8:19 AM (125.177.xxx.34) - 삭제된댓글

    갓 담갔을때보다 익으면서 좀 싱거워져요.
    왜냐면 배추나 무. 채소들에서 물이 나오니까요.
    간을 잘 보시고 그래도 싱겁다 싶으면
    윗분 말씀처럼 국물을 조금 퍼서 액젓을 섞은 후
    군데 군데 넣어주세요.
    소금은 나중에 넣으면 써지는 경향이 있다고 들어서
    저는 액젓을 넣거든요.

  • 4. ㅇㅇ
    '13.12.10 8:56 AM (1.247.xxx.83)

    요즘 날씨에 베란다에 두면 10일 지나도 안 익어요
    빨리 익게 하고 싶으면 실내에 들여 놓으세요

  • 5. 초보
    '13.12.10 9:40 AM (92.74.xxx.123)

    조언해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역시 82. 김치 안으로 들여놨어요. 저는 김치는 겨울에도 3일이면 다 익는 줄 알았어요 ㅎㅎ

  • 6. 아이고
    '13.12.10 10:03 AM (121.200.xxx.136)

    양이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지만, 김치는 시원한곳에서 익혀야합니다.
    베란다에 놓고 익히세요.
    사공이 많아서 김치가 산으로 가겠어요. ㅎ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1740 초딩 2학년, 6학년과 같이 볼 수 있는 연극 있을까요? 1 연극 2013/12/14 558
331739 이별 후..시간이 갈수록 더 힘드네요... 7 시간 2013/12/14 3,842
331738 변호인 수, 목- 언제 보는 것이 좋은가요? 2 영화 2013/12/14 987
331737 고대앞 ‘서울역 행진’…“서강대 학생 “지금 고통, 고대 학우들.. 7 ..... 2013/12/14 2,698
331736 안경점이 수익성이 좋은가요? 2 .. 2013/12/14 2,172
331735 배가너무아파요ㅜㅜ도와주세요 2 ... 2013/12/14 1,062
331734 설마 세수비누로 머리감는 분 없으시죠? 12 .... 2013/12/14 6,392
331733 안녕들하십니까 팬 이틀만에 6만명넘어 7 집배원 2013/12/14 1,823
331732 야한 옷차림이란 어떤 건가요? 5 40중반 2013/12/14 2,478
331731 티켓몬스터란?? 궁금 2013/12/14 609
331730 엄마표 공부로 공부잘하는 꼬마 7 2013/12/14 2,135
331729 아들 탈모 6 긴머리 2013/12/14 2,007
331728 민영화 안달병 4 ..... 2013/12/14 862
331727 총알오징어 6 급...궁금.. 2013/12/14 1,526
331726 급)골뱅이가 덜삶아진듯한데.. 1 ㅠ.ㅠ 2013/12/14 769
331725 대자보를 통한 학생들의 목소리 #외신뉴스 타전 시작 1 노지 2013/12/14 1,307
331724 운전면허증사본은 어디서 떼는 건가요? 4 ??? 2013/12/14 54,473
331723 연말-연초 가족과 홍콩가는데 숙소 어찌할까요? 5 홍콩여행 2013/12/14 1,333
331722 안녕들하십니까' 고려대 대자보, 전국 대학가로… 3 호박덩쿨 2013/12/14 1,407
331721 인간관계라는거... 4 .. 2013/12/14 1,819
331720 대한교과서 사주 며느리가 현대문학 주간. 뭔가 뒤에서 작용했을 .. 연재 중단 .. 2013/12/14 942
331719 대구시내 철도파업지지 현수막 57개등장 10 ㅁㅇㅎ 2013/12/14 1,727
331718 부산 지역 국립대 교수 ‘군사쿠데타 필요한 사태’...논란 예고.. 8 자문위원 2013/12/14 1,388
331717 니가 뭔데 국회의원인 나를! as 2013/12/14 817
331716 카스피해 유산균에 곰팡이요... 3 ... 2013/12/14 1,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