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가 열흘 됐는데 아직도 안익었어요.

김치초보 조회수 : 1,787
작성일 : 2013-12-10 06:35:22
지난 주에 김치를 담가서 추운 베란다에 두고 열흘 남짓 지났어요. 냉장고가 작아서..
근데 오늘 열어보니 익은 맛이 하나도 없고 아직도 겉절이 같아요. ㅠㅠ
색깔은 정상 김치 색인데 줄기쪽은 너무 싱겁고 이거 어쩌죠? 

원래 김치 익는데 더 오래 걸리나요? 제대로 안절여진걸까요? 

분명 배추가 살아있진 않았고 맛도 슴슴했는데 왜 이렇게 싱거워진걸까요? 

양념 맛도 싱겁게 하지 않았는데..? 물이 생겨서 싱거워진건가?

그냥 기다려보는 수 밖에 없죠? 이게 김치가 미친 상태인건가요? 김치통을 집안에 둘까요?

IP : 92.74.xxx.123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겨울이라
    '13.12.10 6:47 AM (110.47.xxx.109)

    추운베란다에있으니 서서히 익는거예요
    익은김치가 필요하면 실내로 들여다익히고 늦게익혀도되면 그대로 두면 천천히 익을겁니다

  • 2. ...
    '13.12.10 7:35 AM (203.226.xxx.58)

    국물이나 다른쪽은 간이 맞는데 줄기만
    싱거운거라면 익으면 괜찮아져요.
    하지만 다 싱겁다고 느껴지면
    아직 익지 않았다니 국물을 따라서 소금이나 액젓으로 간을 맞춰서
    다시 부어주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김장김치니 싱거우면 오래 두고 먹을수가 없을꺼예요.
    그리고 김치를 무르게하는 이유중에 하나라고 하더라구요.

  • 3. 원래
    '13.12.10 8:19 AM (125.177.xxx.34) - 삭제된댓글

    갓 담갔을때보다 익으면서 좀 싱거워져요.
    왜냐면 배추나 무. 채소들에서 물이 나오니까요.
    간을 잘 보시고 그래도 싱겁다 싶으면
    윗분 말씀처럼 국물을 조금 퍼서 액젓을 섞은 후
    군데 군데 넣어주세요.
    소금은 나중에 넣으면 써지는 경향이 있다고 들어서
    저는 액젓을 넣거든요.

  • 4. ㅇㅇ
    '13.12.10 8:56 AM (1.247.xxx.83)

    요즘 날씨에 베란다에 두면 10일 지나도 안 익어요
    빨리 익게 하고 싶으면 실내에 들여 놓으세요

  • 5. 초보
    '13.12.10 9:40 AM (92.74.xxx.123)

    조언해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역시 82. 김치 안으로 들여놨어요. 저는 김치는 겨울에도 3일이면 다 익는 줄 알았어요 ㅎㅎ

  • 6. 아이고
    '13.12.10 10:03 AM (121.200.xxx.136)

    양이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지만, 김치는 시원한곳에서 익혀야합니다.
    베란다에 놓고 익히세요.
    사공이 많아서 김치가 산으로 가겠어요. ㅎ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2654 오늘저녁메뉴적어보아요~^^ 19 장미 2014/02/18 2,727
352653 유방초음파 또 해야 할까요? 4 질문 2014/02/18 2,274
352652 사용하던 한샘 시스템 책장을 판매하고 싶은데요. 시스템 책꽂.. 2014/02/18 1,026
352651 김연아 당신은 대한민국 입니다..이광고 재수없어요 8 김연아 2014/02/18 1,539
352650 4만 7천원담은 이효리 손편지 15 예쁘네요 2014/02/18 3,391
352649 독일어 공부하는데 독일방송 들을 수 있는방법 3 독일 방송 2014/02/18 1,761
352648 한국 페널티 4번 받은 날,, 그거 더티한 게임이었다고 여기서 .. 3 쇼트 스케이.. 2014/02/18 1,826
352647 혹시 이런 경험 있으세요? 3 나는야 2014/02/18 577
352646 정보 플리즈~~스펜인 이민 2 Endtns.. 2014/02/18 1,076
352645 건미역 보관법은.. 3 초보 2014/02/18 6,611
352644 여자 피코트(pea coat) 브랜드좀 부탁드려도 될까요?? 5 mikki 2014/02/18 2,082
352643 고등학교 공립, 사립 어떤 차이가 있나요? 3 학교분위기 2014/02/18 9,301
352642 오리발정권이 꼭 김영샘때와 비스므리하게 가네요. 4 참맛 2014/02/18 602
352641 김희선도 이젠 후덕한 맛이 나네요 39 111 2014/02/18 23,189
352640 학원수업시간에 잡담하는 선생님 어쩜 좋을까요?^^ 1 잡담 2014/02/18 769
352639 혹시 고사리전 이라고 아세요? 1 혹시 고사리.. 2014/02/18 948
352638 도자기 (토비) 2 도자기 2014/02/18 584
352637 김어준의 "나는국정원이다" (이거 예고편인가.. 1 우리는 2014/02/18 1,643
352636 속옷 안삶죠???? 14 2014/02/18 3,553
352635 아프신 친정아버지 생신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5 생신 2014/02/18 758
352634 이건 어디서 사야되나요? 3 딸맘 2014/02/18 694
352633 대백프라자 건너편에 낡은집 하나 있는데 개발 될까요? 4 40년된집 2014/02/18 1,233
352632 구로구 과잉진료 없는 치과 추천 부탁드려요. 5 썩은니 2014/02/18 2,301
352631 애들 크고 나면 언제 쯤 집 정리하세요? 1 티비도없어요.. 2014/02/18 1,021
352630 토욜 선릉역에서 구리까지 길 엄청 막힐까요? 1 . . 2014/02/18 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