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파트 중대형 3~4억 전세 주느니 소형평수 월세주는게 낫지 않나요?

... 조회수 : 2,658
작성일 : 2013-12-06 02:01:14
서울에 6억 아파트 반전세로 3억에 30받고있는데요. 전세가 폭등 전에 계약해서 시세에 비해 좀 낮죠. 그래도 대출이 없으니 전세값 더 받아봤자 이자 얼마 나오지도 않는데 월세 조금 받으니 은행이자보단 몇만원 나은것 같단 생각하고 있어요.
그러니 저 집에서 제돈은 3억 밖에 없는건데요
이제 매매가가 오를지 내릴지도 모르는데 차라리 변두리 아파트 소형평수 급매 1억~1억3천 하는거 세채사서 임대업으로 신고 하고 월세 받으면 못해도 한채당 5~70은 받을수 있는데.. 그럼 최소 월 150만원 들어오구요.
이게 더 나은 투자가 아닌가 하지만 막상 팔려고 맘 먹기가 어렵네요..
그냥 잠이 안와서 이런생각 저런 생각 듭니다.
IP : 112.144.xxx.23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12.6 7:03 AM (59.187.xxx.2)

    저 위에 전세 관련 글에 댓글 달았는데요.

    제가 비슷한 이유로 경기도 모처에 아파트를 째려만 보고 있는데...
    소형이고 입지가 괜찮아서 그런지 전세가가 많이 올랐더군요.

    그러니 전세가가 매매가를 밀어올렸다 할까요?
    12월5일에 실거래 두건 올라 있는 게 최근 매매가 중 최고가더군요.
    최근 몇달 사이에 거래 건수도 제법되고요.

    월세 안정적으로 받으려면 최소한 그 정도 동네는 돼야 할 듯 한데요.

    아무리 경기도 소형이지만 6억이면 두채 사기에도 빠듯할 듯 하고요...
    저런 입지 아닌 더 저렴한 아파트들은 단편적인 수익성은 좋아보일 지 몰라도 월세받기 애먹을 수 있고, 집값도 그렇고 하니 잘 생각해서 결정하세요.

  • 2.
    '13.12.6 7:29 AM (175.223.xxx.71)

    좋은 생각입니다.
    그리고 윗분 경기도 신도시에 6억이면 소형 두채 사고도 남습니다.

  • 3. 당연히
    '13.12.6 8:17 AM (211.234.xxx.19)

    임대 목적이면 소형이 낫죠

  • 4.
    '13.12.6 9:43 AM (59.187.xxx.2)

    당연히 동네에 따라 소형 두채 사고도 남는 곳이 있겠죠.

    서울인들 없겠나요?
    동네에 따라, 집 따라 서울에서도 두세채 살 수도 있는 곳도 있을 테지죠.

    다만, 제가 드리는 말씀은 집을 사도 어느 정도 괜찮은 입지의 집을 사야 폭락이니 뭐니 하는 것에 큰 영향을 안 받는다는 겁니다.
    만약 누구들 말마따나 폭락기가 오더라도 소폭정도나 내릴만한 그런 입지의 집을 찾아야 한다는 거죠.
    이 불확실한 시절에요.

    산 집값이 푹 주저앉으면 당장은 앞으로 남는 듯 보여도 뒤로는 밑지는 게 되는 거잖아요.

    제가 위에 말씀드린 경기도 이십평대는 6억으로 급매 정도 찾으면 두채 살까말까 그렇습니다.
    저 곳은 집값이 폭등기에도 크게 오르진 않았지만, 떨어질 때도 별 영향 없었고요.
    현재 예전 폭등기 대비 물가상승분 정도랄까...아무튼 소폭 올랐어요.
    살려면 그런 지역을 사는 게 좋지 않을까 하는 얘기인 겁니다.

  • 5. .......
    '13.12.7 12:42 PM (121.136.xxx.27)

    고수들앞에서 이런 댓글다는 게 우습기도 하지만요...
    부동산에 투자하신다면...시세차익이 목적인지, 월세가 목적인지를 정해야지요.
    시세차익을 노린다면 서울이나 수도권에 사시고요...물론 수익률은 떨어지지만요.
    월세 목적이면 지방소형아파트를 여러 채 사서 월세 받는 게 최상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9372 어둡고 불행한 느낌의 사람 2 ㅎㅎ 2014/02/08 2,388
349371 결혼하려는 여자의 부모님께 선 뵈러 갈 때 옷차림은 어떤게 좋을.. 8 정장 2014/02/08 1,785
349370 예전에 82에서 이슈?였던 설거지할때 큰 냄비에 물 끓여서 하는.. 4 멋쟁이호빵 2014/02/08 2,576
349369 한달에500버는집은그돈 어디에 쓰나요? 41 쪼들려 2014/02/08 17,203
349368 마사코비 6 정말정말 2014/02/08 2,549
349367 처음으로 족발을 했네요~~ 16 ... 2014/02/08 2,857
349366 28개월. 이마에 혹 엄청크게 났는데요. ㅠ 4 2014/02/08 1,947
349365 방송통역에 대해서 할말많은 사람들 6 ..... 2014/02/08 1,159
349364 백화점쇼핑몰 반품때문에 속상합니다 18 모나카 2014/02/08 4,539
349363 궁금한이야기y 건희사건 대질심문서보니.. 14 동글동글 2014/02/08 5,593
349362 카톡 어떤상황 일까요 3 이런경우 2014/02/08 1,486
349361 '엄지의 제왕'에 나왔던 한의사 해독프로그램 비용... 혹시 2014/02/08 1,581
349360 볼만한 한국영화 뭐가 있을까요? 개봉작들 말고요 9 미소 2014/02/08 1,470
349359 선남의 이런행동 요즘 은 다그런가요?? 5 여자임 2014/02/08 3,135
349358 도와주세요 씽크대가 막혔어요 ㅠㅠㅠㅠ 12 ... 2014/02/08 2,704
349357 기운빠지는 주말이네요 1 에휴‥ 2014/02/08 947
349356 알바영웅 이종룡 젊은나이에 이 세상을 하직하다 6 호박덩쿨 2014/02/08 3,033
349355 지금 평창에도 소치 올림픽 개막식 했던 그런 스타디움 짓고 있나.. 1 .. 2014/02/08 1,876
349354 집나간 아들 어떻게 해야할까요? 15 슬픈엄마 2014/02/08 9,590
349353 찌개/ 전골용으로도 무쇠제품 괜찮은가요? 4 .. 2014/02/08 1,433
349352 지금은 귀여운 맛으로 봐준다... 5 이럴날도얼마.. 2014/02/08 1,612
349351 통역사 분들께 질문이요. 1 핫뮤지션 2014/02/08 1,409
349350 귀찮은 일들과 깡패고양이 7 .... 2014/02/08 1,282
349349 나박김치 많은데 어떻게 처리할 방법없나요? 5 소리 2014/02/08 1,007
349348 뉴욕 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동시에 변호인 주목 기사 2 ... 2014/02/08 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