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왜 우린 신호동 초록불을 파란불이라고 할까요

신호등 조회수 : 1,927
작성일 : 2013-12-05 20:38:58

저 30대 후반이고 유치원생 딸둘 키우는데요

자꾸 신호등 초록불을 저는 파란불이라고 하네요

아이들이 자꾸 고쳐줘요

왜 엄마는 초록색불을 파란색불이라고 해?

그런데 자꾸 입에서 그렇게 나오네요

IP : 119.70.xxx.201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울조상들
    '13.12.5 8:41 PM (211.238.xxx.16)

    예로부터..초록과 파랑을 구별하지 않고..
    파란으로 써왔어요..자연스럽게...

  • 2. ....
    '13.12.5 9:04 PM (180.228.xxx.117)

    파란색이라면 녹색, 청색, 하늘색, 푸르스름한 색, 코발트색 등등..노란색도 아니고 붉은 색도 검은색도 아닌
    푸른색 계통의 총칭 아닌가요? 신호등을 파란색이라고 부르는 것은 틀리지 않았다고 보는데요.
    애가 잘 몰라서 그러는 것이니까 파란색이라면 그 계통 색깔의 통칭이라고 가르쳐 주세요~
    그리고 국립국어원 해석은 안 믿어요.
    효과가 읽기에는 효꽈로 소리하는 것이 맞는데 거기 앉아서 할 짓 없으니까 실적만드느라 괜히
    기어이"효과"로 발음해야 한다고 우기는 바람에 아나운서들도 자연스럽게 나는 "효꽈"를 어거지로
    "효과"로 발음하는라, 안 틀릴려고 땀 흘리는 모습이 역력해요.

    "

  • 3. 30대 초반
    '13.12.5 9:15 PM (14.36.xxx.11)

    어릴때 파란불로 배웠지만 그게 너무 이상해서 꼬마때부터 초록불이라고 했었어요.
    제가 좀 유난스러운데 어릴때부터 그랬네요 ㅋㅋ

  • 4. .....
    '13.12.5 9:23 PM (180.228.xxx.117)

    그리고 위 국어원인가 하는 데서 낸 코멘트 중에 나뭇잎보고 푸르다고 할 수는 있어도 파랗다고는 못 한다고
    했는데 그건 자기 혼자 생각이죠. 오히려 푸른 나뭇잎보다는 파란 나뭇잎이라는 표현을 더 많이 썼으면 썼지 덜 쓰지는 않는데 말이죠. 그리고 아주 싱그렇게 짙게 우거진 나뭇잎보고 새파란 나뭇잎이라고 하지
    어디 새푸른 나뭇잎이란 표현을 쓰나요?

  • 5. 신호체계는
    '13.12.5 9:24 PM (211.202.xxx.240)

    붉거나 푸르거나 이분화 되어있죠.
    노란 불도 있지만 그건 항상 경고의 의미니 조심해야 할 사항이고...

  • 6. ..
    '13.12.5 10:18 PM (211.224.xxx.157)

    빨간불의 반대개념이니 그냥 파란불이라고 대충 애기하는거죠. 그리고 아마 파랑으로 만들려했지만 파랑불보다 초록불이 눈에 더 잘 띄이거나 그런 이유로 초록으로 만들었을것 같은데

  • 7. 안나파체스
    '13.12.6 10:23 AM (49.143.xxx.109)

    원래 일본이 파란불이라고 불렀대요..푸른색과 초록색에 대한 일본고유어에서 구분이 잘 안된 듯해요.그래서 파란불이라고 한 것을 우리나라가 그대로 답습.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8396 혹 떼려다 되레 키운 靑…어설픈 해명으로 의혹만 부풀려 1 세우실 2013/12/06 853
328395 국정원 트윗글, 무려 2천만건 더 있다 4 우리는 2013/12/06 466
328394 남자사주에선 정말 돈과여자가 같이 해석되나요? 3 궁금.. 2013/12/06 3,127
328393 사주 그래프에 "死"가 있다면? 1 사주 2013/12/06 1,124
328392 임성한 막장 남편들 동거보니... 2 글루미 2013/12/06 2,096
328391 교육부·언론이 외면한 한국 학생들의 행복도 샬랄라 2013/12/06 472
328390 그러고보면 우리 나라 부조문화는 4 2013/12/06 695
328389 직장상사께서 저녁식사 초대를 했습니다. 뭘 들고 가야 할지 팁좀.. 8 고민중 2013/12/06 1,989
328388 이 동화 찾아주실 분 있으실까요~~ 5 ..... 2013/12/06 569
328387 고사리를 충분히 우려내지 않으면 신 맛이 나나요? 1 ' 2013/12/06 6,175
328386 영화 이름 좀 알려주세요 2 삼십여년 전.. 2013/12/06 412
328385 해피콜직화오븐?자이글?뭘 사야하나요~!!! 2 하후 2013/12/06 2,155
328384 뽐뿌폰 특가는 주말새벽에 많이 올라오나요? 7 ,,,, 2013/12/06 1,241
328383 영화 ‘11시’, 삶을 피폐하게 만드는 것의 정체를 밝힌다 영화쉐킷 2013/12/06 680
328382 용기가... 1 홀로여행 2013/12/06 418
328381 이사가려고 하는데요. 4 두근두근 2013/12/06 809
328380 김석기 공항공사 사장이 일왕 생일 축하하러 간 이유는? 3 친일매판매국.. 2013/12/06 739
328379 해외인데.. 여권을 택배로 한국으로 보낼수 ... 4 yj66 2013/12/06 2,456
328378 키우기 수월한 작은 화분식물 뭐 있을까요 4 식물잘키우는.. 2013/12/06 1,569
328377 임성한의 패악질 6 갱스브르 2013/12/06 2,042
328376 뇌경색으로 인한 반신마비, 언어장애 회복 될까요? 12 희망~ 2013/12/06 9,621
328375 아이 바지 무릎구멍 주머니 떼어서 달아도 될까요? 5 구멍 2013/12/06 1,512
328374 공무원 65% “국정원 등 대선 개입” 세우실 2013/12/06 503
328373 공부에서 손을 놓은 때가 언제인가요? 5 printf.. 2013/12/06 1,053
328372 수학과외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19 학부모 2013/12/06 2,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