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에서 7급 승진한 이야기를 들었는데요.. 보통 관공서가면 계장..이런 분들 연세가 지긋하신데,,
30대 초반인데,,보통 5-6년만에 승진이 되는건가요?
중간에 출산+육아휴직을 1년,,정도 했다던데,, 진짜 그냥 궁금해서요..
아님 아예 다른 보직? 으로 이직처럼 옮기는 것도 가능한가요?
9급에서 7급 승진한 이야기를 들었는데요.. 보통 관공서가면 계장..이런 분들 연세가 지긋하신데,,
30대 초반인데,,보통 5-6년만에 승진이 되는건가요?
중간에 출산+육아휴직을 1년,,정도 했다던데,, 진짜 그냥 궁금해서요..
아님 아예 다른 보직? 으로 이직처럼 옮기는 것도 가능한가요?
오년만에 되던데요.
공무원 승진에는 특별승진이 있고 근속승진이 있어요.
근속승진은 일정기간을 근무해야 승진하는것이고(보통 6년, 육아휴직인 경우 1년까지만 인정) 특별승진은 정기승진시기가 아님에도 근무성적이 좋아 승진하는 거에요.
님이 말씀하신 분은 특별승진하신것 같은데, 어느 직급에서 몇 년 있다가 승진한건지 자세히 안쓰셔도 모르겠네요.
그리고 공무원들은 3~4년에 한번씩 다른 지역으로 발령납니다. 물론 보직도 바뀌구요
+위에 이어서) 그분이 30대 초반이건 뭐건 나이는 별로 중요하지 않고, 몇살에 9급을 시작했느냐가 중요하죠.
30대 초반이라도 20대에 9급으로 입사했을수도 있잖아요.
요즘은 30대 신입도 많다지만 그래도 여전히 20대 신입들이 더 많은것도 사실이죠
아, 그렇군요.. 888님 설명도 잘 해주셔서 고마워요..
그럼 9급 위에는 8급 이 아니고 7급이 되는거에요??
아뇨 9급-8급-7급 이렇게 올라가요.
근데 그분이 몇살때부터 공무원 시작 했다고 하시던가요? 관건은 그건데...
아마,, 27,8살 부터요?/ 저두 그냥 5-6년 했다구 들어서요....
직렬마다 달라요. 선관위는 9급에서 7급까지 3년 걸린다고 들었어요. 일반은 9급으로 시작하면 5급으로 끝나죠.
직렬(공무원 종류?)마다 그리고 지역마다 다 다릅니다. 거기에 당연히 개인차도 있겠죠.
아, 지금은 한 직급으로 올라가기 위한 근속기간이 6년이지만, 몇년전까지만 해도 지금보다 좀더 짧았던것 같아요. 운 좋은 케이스죠. 아마 그분도 그런게 아닌지..
2년마다 특승하면 가능해요. 이게 직렬마다 다른데 교행같은 경우는 빠르다고 들었어요. 반면 제가 근무하는 직렬은 5년이 넘었는데 8급 승진이 안된 경우도 허다해요. 정체가 심한 경우 그렇죠..
될수있어요. 9급에서 7급까지 저도 5년걸렸구요. 근데 공무원이라고 해도 국가직, 지방직, 또 소속기관별로 천차만별이기때문에...말단기관이면 계장이 6급이고 상급기관으로 갈수록 6급 5급도 실무자일수 있으니 7급 다음엔 또 어찌될지 모르구요..
윗댓글중 3년은 아닙니다. 9급에서 7급까지 최저소요연수가 5년이었는데 최근에 법이 개정되서 4년으로 줄었습니다.
티오와 대기순이 중요하죠.
티오는 있고 승진 밀린 선임이 없으면..
승진소요년수만 채우고 바로 승진하는거죠. 능력이랑 별 상관없어요.
그런데 티오없고 있어도 선임이 있다면..10년 지나도 승진못해요.
그래서 일반직 7급 12년이면 6급 근속승진되는 제도가 제작년인가 생겼어요.
그 전까지는 12년이 다 뭐에요, 15년 넘도록 같은 자리에서 7급인 경우가 허다하게 많았겠죠.
9급에서 뭔일을 하건 그밥에 그 나물이니(사실이죠), 7급까지는 승진기간에 맞춰주는 것이 관행입니다.
7급 넘어가면서 부터 승진이 갈리기 시작하는데 주변을 보니 1) 부처배치(일이 많거나, 사정상 자리가 많은 곳), 2) 능력 3) 평판(특히 기자 내지 지역사회)정도가 중요한 것 같네요.
공무원들 3,4년마다 다른지방으로 발령나는건 6급 이상 부터예요
그게 아주 골치거리더군요
새로 발령받은곳에 가면 두집살림해야하거나, 출퇴근시간 희생해야 되니까요
그래서 일부러 7급에서 6급으로 승진 안하는 사람도 있다고 들었어요
아,, 여러가지로 자세한 댓글들 고맙습니다..
3,4년마다 다른 지방 발령.. 이건 지방직 공무원인 경우 그렇구요, 국가직은 3,4년마다 다른지방 발령납니다.
제가 국가직 공무원이거든요.
뭐 이것도 부처마다 다를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