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주택사시는분 또는 주택살아보신분 장단점 한가지씩만 알려주세요

주택살아보기 조회수 : 2,188
작성일 : 2013-11-26 10:41:27
내후년 마흔쯔음에 은퇴후 제주도 생활을 계획하고 있는 직장인 입니다.

아주 어렸을때 빼고는 초등때부터는 주로 도시에서 아파트 생활을 해왔고 , 결혼후에도 서울에서 아파트에서만 살아봤어요.
1,2년 사이에 서울 생활 정리하고 제주도에서 은퇴후 생활을 계획하고 있는데요...

제주도까지 가서 서울처럼 아파트에서 생활할려니 왠지 손해보는 기분도 들고, 마당있는 주택이 은퇴후 생활과 잘맞을거 같아 고민중인데.. 
문제는 제가 주택에 살아본 경험이 없어서 당췌 계산이 나오지 않네요.

은퇴하면 남편은 마흔다섯, 저는 마흔.. 
딩크족이라 비교적 빨리 은퇴후 말 그대로 백수로 생활할 계획입니다.

둘다 일을 할게 아니기 때문에 아파트에서 둘만 있으면 더 심심할거 같기도 하구요..

문제는 제가 벌레포비아가 있어서 길가다 벌레가 내쪽으로 오면 도로에 뛰어들 정도라서 주택에 벌레가 자주 출몰한다면 좀 고려해봐야 할거 같기도 합니다.

주택사시는분들 어떠신가요?
아파트 생활에 비해 조금은 불편하지만 이런 장점이 있다싶은게 있으면 좀 알려주세요~


IP : 112.216.xxx.178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콩콩
    '13.11.26 10:45 AM (123.228.xxx.124)

    아파트만살다초딩남매4인가족주택으로이사왔어요. 여름에벌레들은정말다양하게많았어요.마당에감나무.마당쓸고가꾸고뛰어노는아이들보며행복해요.

  • 2. 바나나똥
    '13.11.26 10:55 AM (223.62.xxx.98)

    채광과 우풍 말고는 주택에살고싶어요

  • 3.
    '13.11.26 11:13 AM (14.45.xxx.33)

    제주도처럼 바닷가는 습기가 엄청많아요
    바람도 많이불구요
    도시에서 느끼는거랑 전혀 다른 습기와 바람입니다
    무조건 내려가지마시고 1년이든 2년이든 잘보고 결정하세요

  • 4. 가장
    '13.11.26 11:17 AM (211.114.xxx.82)

    힘들어 보이는거 벌레와 잡초(풀자라는거)요.방범도 그렇고 난방비도 많이 나오고...

  • 5. 잡초
    '13.11.26 11:19 AM (112.216.xxx.178)

    둘다 백수라 잡초는 죙일이라도 뜯을수 있는데.. 벌레가 좀 겁나긴하네요..

    전 1년정도 월세로 살아본후 고르자인데 남편이 맘에드는 집이 나올때마다 사고싶어해서 고민이네요..
    사진으로 봐서는 멋져보이긴 하는데 집 나올때마다 제주로 가볼수도 없고..

  • 6. 별헤는밤
    '13.11.26 11:20 AM (180.229.xxx.57)

    다른 질문인데... 마흔 다섯에 은퇴를 하고 아무 일 인하고 살수 있다는게 부럽네요
    어느 정도 자산이면 그렇게 일을 내려놓을 수 있는걸까요?
    마흔 한살의 딩크족이 질문 드립니다

  • 7. 벌레는
    '13.11.26 11:22 AM (175.113.xxx.237)

    정말 장난 아닌데.. 벌레 포비아시라면 다시 생각하시라고 권하고 싶어요.

    저도 벌레포비아인데...
    친정은 서울에 있는 낡은 주택이에요. 바퀴벌레가 없애도 없애도 나와요.
    요즘은 실제 눈에 보이지는 않으니까 그냥 넘어가지지만...
    어릴때는 정말 장난 아니었어요.

    시댁은 저희 데리고 3년 사시고 시골에 전원주택 지어서 이사 하셨어요.
    저 진~짜 시댁 가기 싫어요. 시부모님 좋으시고 공기좋고 다 좋은데...
    별의 별 종류의 벌레들이 나타납니다.
    지난주에도 갔는데... 티슈 한장 뺄려고 하다 비명 지르고 난리... 티슈통 근처에 거미가 뙇~
    천정에 나방이며, 처마 밑에 말벌집은 또 어떻구요...
    겨울이 그나마 전 좋더라구요. 눈에 보이는 벌레가 확 줄어드니까...

  • 8. 별헤는밤님..
    '13.11.26 11:30 AM (112.216.xxx.178)

    자산은 그닥 많지는 않아요.
    대신 저희는 물려줄 자식이 없으니,, 다 연금상품에 가입했어요.
    마흔다섯이면 연금이 다달이 나오는 형태고 원금도 까먹는 계약이라 둘이 사치하지 않고 검소하게 살만큼 딱 생활비가 나오도록 설계했구요.
    그거 다 소진될때 되면 국민연금이랑 남은 원금 까먹고 살다가 죽을려구요..
    것도 다까먹으면 살고있는 집 역모기지를 할 생각이구요..

    좀 대책없나요 ㅎㅎㅎ

  • 9. 벌레가 큰문제
    '13.11.26 11:32 AM (112.216.xxx.178)

    제가 남들보다 벌레에 좀 민감해서 그부분이 제일 걸리네요..
    돈이많으면 방역업체 불러다 어찌 해결은 하겠지만.. 방역에 쓸만큼 생활비가 많지도 않고..
    외부에서 불빛보고 들어오는 벌레들은 해결이 안될테니 참.. 고민입니다..

  • 10. 별헤는밤
    '13.11.26 11:40 AM (180.229.xxx.57)

    그런 결단을 할수 있는 것 자체가
    가장 큰 능력이라고 생각해요
    저희 부부도 은퇴후 제주생활에 대한 로망을 갖고 있답니다
    우리에겐 그게 너무 먼 일처럼 느껴지지만...
    암튼 님의 선택과 새로운 생활을 응원합니다^^

  • 11. 주택
    '13.11.26 11:49 AM (182.213.xxx.191)

    아무도 사생활에 관심가져주지않는거 장점이구요. 단점은 난방비.

    벌레는 주기적으로 방역하면 없어요.
    저는 마당이 제법되는 주택 살이 11년차 입니다

  • 12. 헤헤
    '13.11.26 11:54 AM (112.216.xxx.178)

    감사합니다.
    저도 평생 도시에서 직장생활하다가 갑자기 일도 없어지고 , 사는곳도 생소한 주거환경이 되버릴거 같아 겁이 좀 납니다만.. 어떻게든 살아가겠지 싶어요.

    여름엔 벌레,, 겨울엔 난방비와 전쟁이군요..
    벌레도 경기하지만 추위도 못참는데 참.. 이래저래 고민이 듭니다.

    그 모든 불편을 상쇄하고도 남을 만큼의 장점이 있겠지요?? 있어야만 해 ㅠ_ㅠ

  • 13. ...
    '13.11.26 12:01 PM (24.209.xxx.75)

    부모님 전원주택 사시고 첫해 벌에 자주 쏘이시더라구요.
    벌레는 풀이 많으면 더 많고 큰 편이죠.
    정원일도 적응하시는데 꽤 오래 걸리시더라구요.
    (당신들이 할수 있는 이상으로 일 벌리시고 힘들어서 부부싸움 ㅎㅎㅎ)
    단열 잘 안됀 집이면 겨울엔 무지 추운가봐요.

  • 14. 40이면
    '13.11.26 12:27 PM (14.52.xxx.59)

    솔직히 젊다못해 어린데 ㅎㅎㅎ어떻게 일 안하고 남편하고 둘이서만 지내시려구요 ㅠㅠ
    주택의 벌레는 벌레 수준이 아니구요
    쥐,다람쥐,뱀도 나옵니다요 ㅠㅠ
    제주도에서 꼭 전세나 월세로 살아보시고 결정하세요
    거기 기후도 서울과 다르고,사람들도 좀 별난 구석이 있어요
    퐁광이 문제가 아니라 오래 살려면 사람들하고 맞아야 하거든요
    섣불리 결정하지 마시고 꼭!!3-4년 살아보고 자리잡으세요

  • 15. 제주
    '13.11.26 1:12 PM (112.216.xxx.178)

    제주 특성이 또 있군요..

    습해서 지네나온다는건 알았는데.. 의외로 쥐나 뱀은 괜찮은데 벌레가 더 겁나서요. ㅎㅎ
    무턱대고 집 사지말고 좀 살아봐야겠네요.
    나중에 울면서 집에서 뛰쳐나와서 리조트로 피신할지도 --;;

  • 16. 전 김포
    '13.11.26 1:26 PM (59.17.xxx.30)

    조용하고 한적해서 좋은데 돈벌레만 아니면 살거 같아요. 새집인데 좀 추워서 창고도 짓고 화장실 증축하며 보온에 신경써서 보완했더니 많이 따뜻해졌어요. 도시가스가 없어서 기름보일러에 벽난로 석유난로로 겸용합니다.

  • 17. 돈벌레가
    '13.11.26 1:30 PM (112.216.xxx.178)

    그리마라는 그 다리많은 벌레 말씀하시는거죠?

    제주도도 도시가스가 없어서 겨울엔 거의 난방 포기하고 산다고 하더라구요.
    벽난로라.. 운치있네요..
    추워서 어쩔수 없이 선택한 거라도 벽난로는 참 멋진거 같아요.

  • 18. ㅎㅎ
    '13.11.26 2:58 PM (183.96.xxx.126)

    아무 일 없이 심심하다못해 무료할 거 같은데요
    무자식상팔자라고 부럽기도 하구요
    저같음 애완견이나 고양이 데려다 키울거 같은데
    동물은 싫어하세요?

  • 19.
    '13.11.26 3:04 PM (112.216.xxx.178)

    안그래도 주택 고려하는게 개들때문에..
    둘다 개를 좋아해서 주택가면 소만한 개를 키우는게 소원이예요. ㅎㅎ
    아파트에서는 민폐같아서 너무 큰개는 곤란할거 같고..

  • 20. ...
    '13.11.26 4:56 PM (110.8.xxx.155) - 삭제된댓글

    주택도 전원주택처럼 왠만큼 넓은 집 아니면 소음 큽니다.
    층간소음은 없어도 아파트 만큼이나 옆집 소리 잘 들리더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5106 (급질문)남편입니다 <패딩 관련 ㅠㅠ > 13 망각 2013/11/26 2,311
325105 박근혜 또 사고쳤네요 38 /// 2013/11/26 9,921
325104 신부님 우리들의 신부님!! 함세웅 신부님이 드디어 개표부정 언급.. 7 아마 2013/11/26 2,101
325103 노원쪽 허리잘보는 병원이나 한의원 알려주세요 panini.. 2013/11/26 964
325102 홍콩 잘 아시는분 도와주세요~ 6 씩이 2013/11/26 1,408
325101 경기남부에서 목동까지 가장 빠른 길은..? 8 .. 2013/11/26 986
325100 아빠 어디가 지금 보는데 충격먹었어요. 펑합니다.. 52 ... 2013/11/26 19,340
325099 패딩없으면 안되나요? 10 2013/11/26 2,241
325098 집에서 쓰는 세탁기는 몇kg 이 유용할까요?^^; 6 .. 2013/11/26 2,432
325097 발가락이 저리는데 풀어지지가 않아요. 2 겨울 2013/11/26 1,193
325096 친구 찾아요 3 친구 2013/11/26 1,382
325095 또 패딩이지만 우리 같이 안목 길러요~~ 13 패딩^^ 2013/11/26 3,728
325094 폐지 주우시는 어르신께 돈을 드리고 싶은데요.. 30 .. 2013/11/26 4,019
325093 광파오븐하단 살균서랍장은 어떤용도인가요?? 2 네스퀵 2013/11/26 969
325092 영안실에 가야하는데 검은코트가없을땐 5 에혀 2013/11/26 1,553
325091 빈폴레이디 패딩 살수없네요. 11 돈이있어도 2013/11/26 5,858
325090 위암환자이신 어머니 비타민 뭘 사드려야하나요? 9 비타민 2013/11/26 2,922
325089 해외체류중일때 통화가 불가능한가요? 6 하하 2013/11/26 996
325088 옷걸이 녹슨 게 옷에 배었어요ㅠ 빼는 방법 아시는 분?? 1 씬씬 2013/11/26 2,073
325087 초등고학년 아이 있는 집...아이혼자두고 외출시에 , 컴퓨터 티.. 6 대중매체 관.. 2013/11/26 1,846
325086 온수매트 사려구요 4 김파래 2013/11/26 1,922
325085 송파파크 하비오 오피스텔....투자가치 어떨까요? ? 2013/11/26 2,110
325084 SNS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트윗 하나 13 ... 2013/11/26 3,305
325083 영호감독 이규형씨에 대해서 알고싶어요. 아시는거 아무거나 다 알.. 11 84 2013/11/26 3,398
325082 화장실 휴지걸이 어디에서 팔까요? 2 휴지걸이 2013/11/26 1,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