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입시에 고등학교 내신이 많이 좌우되나요?

고민맘 조회수 : 7,582
작성일 : 2013-11-13 00:06:05

저는  중3아들맘인데요

 

아들의 고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고민이 되어 원서쓰기전에  글 올려봅니다.

아들은 현재 공부열심히 안하는데 열심히 하게 되리라 기대하며 어떤게 더 최선일까 생각합니다.

 

 

남자고등학교를 보내고 싶은데 여기는 잘하는아이들이 너무 많아서 내신받기가 쉽지않다고해요.

 

그러나 분위기는 다 공부하자는 분위기라서 3년동안 열심히만 한다면 정시로 가기가 더 낫지않을까 싶어요.

 

저는 이 남자고등학교를 1순위로 쓰고싶은데

주위에서 다 만류하네요.

 

내신 잘받기고 너무 힘이들고 아이들이 선행을 많이하고 와서 수학따라잡기도 힘들거라구요(이과로 갈 계획입니다)

 

 

그다음 선택할 수 있는 학교는 집 가까운 학교입니다. 남녀 공학인데  위에 쓴 남고보다는 실력이 다소못한 분위기입니다.

그렇지만 최상위층은 단단하리라 여겨지고

최상위아이들은 잘 관리해주지만 그나머지 학생들의 관리는 그냥 학교차원에서  별로 해주는게 없다보니

야자분위기 않좋고 또 공학이다 보니 이성교제도 걱정되는 부분이 있고 그렇습니다.

 

여기서 고민은 제목처럼

 

내신이 대입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냥 소수의 이야기인지

 

결국 다  수능을 잘봐야된다면 정시를 내신보다는 수능을 염두에 둬야하는지요?

 

경험하신 선배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려요. 아이가 다르고 상황이 조금씩 다르기에 100%의 정답은 없어도

 

꼭 의견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IP : 112.152.xxx.145
8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수능이 가장 중요
    '13.11.13 12:44 AM (1.244.xxx.166)

    내신 반영비율이 학교마다 다 달라요. 가장 확실한건 수능 실력을 배양하기 더 유리한 학교를 선택하는거죠.

  • 2. 아휴
    '13.11.13 12:51 AM (220.120.xxx.223)

    수능 잘하는게 최고입니다
    내신이 최고라고 하시는 분들
    그 최고의 내신가치가 있으려면 내신이 1.5등급이내여야합니다

    그리고도 내신전형으로 들어가는 학교 떨어지면

    수능이 뒷받침 안되면 학교레벨이 급락합니다

    내신과 수능 다 잡으면 금상첨화이지만
    모든 수시가 내신이 되어야하는게 아니고
    가장 많이뽑는 일반전형의 경우 실제 내신반영비율은 많이 낮습니다

    고등설명회 몇번만 다녀보시면 제가 하는이야기를 다 알수있을 거예요

  • 3. 엥???
    '13.11.13 12:52 AM (1.244.xxx.166)

    수시에서도 가장 중요한건 수능 등급컷이에요. 그 조건이 충족되어야만 수시 논술도 , 내신 반영도
    의미있어요. 그리고 수시에서 수능 점수 계산 합니다. 우선선발도 수능 점수로 기준하는거에요.

  • 4. 대체
    '13.11.13 12:58 AM (175.223.xxx.108)

    대체 윗님들은 무슨 소리하세요?
    수시 지원할때 내신 등급별로 지원하는데...
    내신컷으로 지원하고
    학생부.면접.서류 계산하고... 줄세워놓고 예비합격생발표
    수능보고..
    수능컷 확인하고 줄선대로 합격됨

    면접과 예비합격자발표는 수능 전후 대학맘대로임

  • 5. 학생부 전형을
    '13.11.13 1:03 AM (1.244.xxx.166)

    말씀하시는거군요...... 수시 전형이 정말 다양하게 많아요. 골치 아플정도로요.
    요즘 여기저기 수시 논술 시험보러 다니는 아들 땜에 쬐금 알거든요....

  • 6. 대체
    '13.11.13 1:06 AM (175.223.xxx.108)

    수시에서 수능 총점이 계산안함

  • 7. 아니에요
    '13.11.13 1:07 AM (1.244.xxx.166)

    지금 수시2차 지원기간이에요. 수능전에 판가름 나는 전형이 따로 있구요.

  • 8. 대체
    '13.11.13 1:09 AM (175.223.xxx.108)

    1차도 아직 안끝났어요~ 수능발표해야 끝나죠~

  • 9. 대체
    '13.11.13 1:10 AM (175.223.xxx.108)

    2차도 총점계산안하는 학교가 대부분 아닌가요?

  • 10. 수능 입시
    '13.11.13 1:12 AM (1.244.xxx.166)

    한번쯤 치뤄봐야 이해할수 있어요. 저도 애들 어릴땐, 수시=내신, 정시=수능 요렇게 되는줄만 알고 있었어요. ㅎㅎ

  • 11. 대체
    '13.11.13 1:15 AM (175.223.xxx.108)

    내신 관리 잘하세요
    내신 나쁘면 수시 지원도 못해요

  • 12. 이그
    '13.11.13 1:19 AM (223.62.xxx.123)

    수능이 젤 중요해요

    내신반영비율 생각보다 낮아요

  • 13. 남의 인생
    '13.11.13 1:21 AM (14.52.xxx.59)

    어쩌자고 틀린 정보를 저리 자신만만하게 ㅠㅠㅠ

  • 14. 나참
    '13.11.13 1:25 AM (110.70.xxx.222)

    말을 똑바로 하고 수능이 중요하다해야 알아듣죠~
    "정시"에서는 수능이 중요하고
    "수시"에서는 내신이 중요하고

    수시인원이 70프로나 되니까 ... 수시로 가는게 유리하니 내신 준비하란 말이죠?

  • 15. 에효
    '13.11.13 1:26 AM (223.62.xxx.123)

    수시도 수능이 중요해요

  • 16. 나참
    '13.11.13 1:28 AM (110.70.xxx.222)

    정시로 가면 내신 반영비율이 낮고 수능 총점 계산하고.. 정시 인원 30프로고

    수시로 가면 내신 및 면점 등 보고 수능 총점 계산을 안하고 , 등급컷만 본다고.. 수시 인원 70프로라고

  • 17. 수시 인원의
    '13.11.13 1:30 AM (14.52.xxx.59)

    절대다수는 논술보는데
    논술은 내신 별로 안봐요
    내신 면접까지 가는 애들은 전교에서 몇명입니다

  • 18. ㅋㅋㅋ
    '13.11.13 1:32 AM (223.62.xxx.123)

    같은분이신것 같은데
    그리 자신있게 잘못된 정보주심 어떡해요
    수신전형도 여러가지고
    수시대부분 젤중요한게 수능이어요
    논술 잘쓰는것도 중요하구오

  • 19. 나참
    '13.11.13 1:32 AM (110.70.xxx.222)

    수시에서
    수능 중요하단 분들은 근거나 뭐 계산법이라도 알려주고 중요하다고 말해주세요 이해나하게.. 이해가 안가요

    정시는 뭔소린지 알아요..

  • 20.
    '13.11.13 1:35 AM (14.52.xxx.59)

    이해가 안가면 외우세요
    전교1~2등 아니면 수능이 중요하다,라구요

  • 21. 나참
    '13.11.13 1:36 AM (110.70.xxx.222)

    논술 전형도 수능총점 계산 안하고 컷만 보잖아요

    어째서 수능이 중요하나요????

  • 22. 수시가
    '13.11.13 1:44 AM (14.52.xxx.59)

    70이건 90이건 대부분 아이들은 학생부전형과 거리가 멀어요
    보통 논술이나 적성 봅니다
    논술은 상당수를 우선선발로 뽑는데 이건 수능으로 걸러서 내신영향력이 적고
    일반선발은 경쟁률이 천문학적으로 올라가요

    입시는 행간 읽으셔야하고
    대학은 내신/수능 뭐 하나라도 잘해야 데려갑니다
    그 잘하는 내신의 기준은 1.2에요
    1.3부터는 전국적으로 줄을 선답니다 ㅠ

  • 23. 등급컷 통과하는
    '13.11.13 1:45 AM (223.33.xxx.23)

    애들이 얼마나 많은데요. 30, 40명 뽑는데 컷 통과하고 논술 보러오는 인원만 천명이 넘는 학과가 수두룩해요. 수능 점수가 중요할수밖에요

  • 24. 그 중
    '13.11.13 1:47 AM (14.52.xxx.59)

    우선선발 경쟁률은 5:1~7:1정도구요
    나머지가 일반선발 그리고 상당수는 컷 못맞추고 온애들입니다

  • 25. 오스칼
    '13.11.13 1:52 AM (59.7.xxx.10) - 삭제된댓글

    입시 전문가 민소장 말로는 외고 애들은 내신 따려고 죽도록 공부 하다 보니 공부량이 많아서 자연히 수능도 잘본다. 내신으로 대박 나려면 농어촌에서 전교 1등 해라. 서울대는 한 학교당 두명만 받고 어중간한 애들은 내신이든 재수든 해봤자다.

  • 26.
    '13.11.13 1:52 AM (223.62.xxx.123)

    업계에 있거나 수험생부모 아니면
    이해 잘 못할듯한데
    일단 전형이여러가지고
    계속 어느님이 주장하는 그런전형도 있지만
    수시의 대부분에서 내신 영향력은 적다
    수능중요하다 요렇게 이해하고 계세요

  • 27. 너무
    '13.11.13 2:26 AM (110.70.xxx.189)

    학생부100프로 전형도 엄연히 있고 다양한 전형이 있는데 논술전형만 가지고 내신보다 수능이라 하시면 안되죠~ 사실 대부분의 상위권 아닌 대학 가려면 학생부 전형이 유리하지요 너무 최상위 밑에 학생들은 염두에 두시질 않네요 교대도 논술전형이 없다던가 하던데..

  • 28. 너무
    '13.11.13 2:29 AM (110.70.xxx.189)

    최상위 아니면 내신잘해놓고 수능 최저 등급만 맞고 문닫고 대학 들어가는게 유리할거예요

  • 29. 중위권 대학도
    '13.11.13 2:36 AM (223.62.xxx.99)

    내신보다 수능 비중이 훨씬 중요해요
    대표적인 내신전형으로는 서울대 지균선발이죠
    그런데 이젠 서울대도 내신을 축소했다는 이야기도
    나오더군요. 의치한의대는 말할것도 없이 수능 우선이고요.

  • 30. 너무
    '13.11.13 2:36 AM (110.70.xxx.189)

    그리고..논술전형도 논술이 중요한거지 수능은 최저등급인건 변함없는 사실이구요

  • 31. 너무
    '13.11.13 2:42 AM (110.70.xxx.189)

    계속 상위권만 말씀하시네요
    수능 최저컷이 너무 중요한건 상위권 대학이면 당연하죠 합이 4이러니까..
    하지만 그런데 못쓰고 논술할 실력 안되면 내신할 기회가 되면 내신으로 가야죠.. 합이 10 .12 이런학교 쓰며.... 교대도 합이 10이고 논술 없는거 같아요 내신 위주.. 아이에 따라 다른것 같아요 찾아보니 내신전형으로 가는게 유리하다네요 논술 변수 많고 힘들다고

  • 32. 중요
    '13.11.13 2:44 AM (49.1.xxx.55)

    내신,수능 다 중요하죠..
    내신 잘받는애가 수능도 잘보고요
    근데,,,,,,내신이 최소 2등급이하면 수능에 매달리는게 유리하죠
    내신받기 쉽다는 학교도 상위 1,2등급은 잘하는애가 포진하고 있어요
    어중간한 아이라면 좋은학교가서 분위기 받는것도 좋아요

  • 33. 너무
    '13.11.13 2:45 AM (110.70.xxx.189)

    솔직히 옛날엔 수능 4프로가 서울대 꿈도 못 꾸는데 수능 최저컷이래야 4 등급..
    그거 못 맞고 sky 바라면 안되죠..

  • 34. 너무
    '13.11.13 2:47 AM (110.70.xxx.189)

    합이 4 이예요.. 수능점수계산도 안하는 시험 웃긴것같아요 ..

  • 35. ㅇㅇ
    '13.11.13 6:11 AM (220.89.xxx.20)

    내신이 중요한것은 1.8이내는 되어야 어디 비빌데가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하로는 수능이 중요합니다
    수시 최저등급 못맞춘 애들이 수두룩합니다
    그리고 수시 원서낼때 최저조건이 학교선정의 큰 기준점이 됩니다

  • 36. ㅇㅇ
    '13.11.13 6:13 AM (220.89.xxx.20)

    1.8이내의 내신도 수능최저조건이 있어서 내신만 좋다고 수시합격 절대 못합니다
    하지만 워낙 전형이 다양하여 내신만보고 수능최저 없는 전형도 있긴합니다
    요즘 학생부전형은 정량적평가가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 37. ㅇㅇ
    '13.11.13 6:23 AM (220.89.xxx.20)

    입시는 직접 겪어본분들과 겪어보지 못한 분들의 기준치가 좀 다른것같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2학년까진 만만하던 수능최저조건이 입시를 치루면서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됩니다
    그리고 내신 1점의 소중함도 피를 토하며 깨닫게 되지요
    하지만 어쩌겠어요
    내아이가 제일 잘하는ㄱ뭔지
    내아이에게 제일 유리한게 뭔지 빨리 깨닫고 최선을 다하는수밖에요
    전교10등내에 들면서 주요과목이 우수한 아이면 내신잘받는 학교 진학이 유리하고
    그이하의 내신이면 차라리 수능성적이 잘 나올수있는 학교진학이 유리한것같습니다

  • 38. 일단
    '13.11.13 7:23 AM (59.187.xxx.195)

    현재 아이 수준과 성향은요?

    이런 논의가 무의미한 것이요... 지금 고등 선택해야 하 는데 아이 현재 수준이 중요한 거 죠.

    최상위나 교대 노리는 거 아니면 수능 잡는 게 낫고...
    분위기 따라 크게 좌우되는 아이라면 내신 버리고 수능 잡는 빡쎈 분위기 학교 가야 하는 것도 일면 맞는 말인데요...

    중하위권이라면 괜히 경쟁 치열한 아이들 틈에서 내신,수능 다 버리게 될 수도 있어요.

    흔히들 남자 아이들 뒷심 받고 차고 올라가는 경우 많다 하지만...
    실지로는 그런 아이들 극소수입니다.

    현재 아이 위치는 누구보다 어머니께서 잘 아시겠죠.

    그리고 이 글 지우지 마시길 부탁드려요.

  • 39. .....
    '13.11.13 8:16 AM (220.89.xxx.245)

    윗말들이 다 맞지도 다 틀리지도 않아요.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수시는 내신이라고 절대 말 못하는 전형도 많아요. 하지만 분명히 학생부전형으로 내신만으로 가는 최상위 좋은대학이나 어중띤 대학 어지간한 내신으로 가기도 해요.
    원글님 아이가 앞으로 어떤 상황일지는 모릅니다. 하지만 목표가 인서울 중위권 이상을 노린다면 수능이 유리합니다. 내신으로 가기는 훨씬 힘듭니다. 논술 볼때도 수능 우선선발에 드는게 유리하고요. 일반선발 드는 성적일경우 논술 안되면 정시가야는데 그땐 닥치고 수능이죠.
    지방하위권 대학은 어중띤 내신으로 갑니다. 하지만 거기는 솔직히 정시에서도 어지간한 수능으로 가고도 남으니 그얘긴 할 필요가 없는거죠.

  • 40. 그럼
    '13.11.13 8:18 AM (1.240.xxx.237)

    주요과목위주로 잘하는 2등급의
    남학생이면 어느학교가 나은가요?
    일어, 기가, 예체능에서 점수를 말아먹네요.ㅠ
    머리는 좋고, 노력은 별로, 분위기는 보통인
    이런 학생은 어디로 가라고 해야 되는지?
    참고로 여기는 비평준화 인데
    한곳은 반에서 2등은 되야들어가고,
    한곳은 10등정도면 들어 가네요.
    둘 중 어디로 선택해야 될지 도움 부탁 드려요.

  • 41. 댓글달고보니
    '13.11.13 8:25 AM (220.89.xxx.245)

    울엄니들은 이런거 저런거 다들 모르시고도 우리들 국립대 척척가고 했는데 지금 이시절은 우째들 다들 이러고들 엄마들이 준전문가들이 된건지 참 씁쓸하네요.
    윗댓글 단 분들이나 저나 입시 해본 분들이면 솔직히 어지간한 학부모모임서 입시강의도 가능할겁니다. 자기 겪은 분야에 한해서는요. 이게 참 씁쓸하네요.

    내새끼는 내가 챙겨서 나름 잘 갔지만 이럴수 있는 부모 없는 애들은 정말 탁월하지 않으면 참 힘든 세상이예요.

    원글님 정신 똑바로 차리시고 아이 잘 이끄셔서 3년뒤에 웃으시길 빌어드립니다.
    화이팅하셔요.

  • 42. 그럼님
    '13.11.13 8:30 AM (220.89.xxx.245)

    자제분이 맘바꾸고 내신 따기는 힘들겁니다. 수능 본다 생각하셔요. 수능 본다는게 절대 정시본다 소리가 아닙니다. 이건 수시 해봐야 알아듣습니다.
    저라면 잘하는 학교 보냅니다. 결코 못 하는 학교 보낸다고 내신 잘따지 못합니다. 수능이라도 건져야해요.

  • 43. ㅇㅇ
    '13.11.13 8:30 AM (39.7.xxx.177)

    수능 2등급이 11프로예요 그것도 못 맞으면서 레벨 높은 학교 바라면 눈이 너무 높은거죠 ~
    수능 등급이 안되 떨어지는 애들은 원래 떨어지게 되어있는거고.. 주요과목 안정적으로 2등급 나오면 내신 열심히 챙기세요 ~
    학교 선택은 중학생이니.. 뭐라 말 못하겠네요
    단, 좋은 학교가서 내신 중간 이하일거면 ..즉 5등급..가지마세요..

  • 44. 늦둥이맘
    '13.11.13 8:34 AM (113.131.xxx.251)

    ..... 님 말씀이 제일 답에 가깝네요. 내 아이의 수준에따라
    내신이 중요할 수도, 수능이 중요할수도 있어요. 지방하위권은 수시 90% 내신 전형이고 예체능 과목 빼고 국영수 기가 한문 도덕 같은 과목들도 시수 무시하고 동일하게 계산합디다. 수능 최저등급도없고...인서울 상위10개대학 수시 60% 정도 논술 전형은 내신보다 수능 성적 중요합니다. 중위권 내신 수능 모두 중요, 극상위권 내신,수능모두중요해요

  • 45. 입시
    '13.11.13 8:35 AM (220.76.xxx.244)

    올해만 수시70%뽑습니다
    선택형 수능에다 수시인원 이리 많이 뽑은 적 없었어요.
    해마다 전형이 조금씩 바뀌는데 어디다 촛점을 맞춰야할지..
    저도 전교10%이내에 들면 내신 잘 챙길수있는 고등학교 가는게 낫고
    아니면 수능 대비 잘 해줄수 있는 학교가는게 낫다고 생각해요.
    수능 4점짜리 수학문제 한문제 더 맞는게 내신성적 두학기랑 맞먹는다고 생각해요.
    쉽게 내신대비할수 있는 학교에서 공부하다보면 수준이 점점 떨어져서
    수능 점수 안 나옵니다,
    전교권은 목표가 있어 쉬운 내신에도 더 열심히 공부하지만
    나머지 학생은 자기 수준 잘 모르고 점수에 만족하고 점점 공부를 덜하게 됩니다.
    그러니 수능점수 안나오지요.
    3년 잘 견딜수 있는 고등학교보내세요

  • 46. ㅇㅇ
    '13.11.13 8:36 AM (39.7.xxx.177)

    모의고사 1등급 ~1.5등급 정도 안정적으로 찍고 일반고면 내신 열심히 챙겨요.. 정시로 가면 수시에 비해 손해예요 같은 대학을 월등한 실력으로 들어간단말..

  • 47.
    '13.11.13 8:36 AM (112.169.xxx.212)

    대입전형이 수도없이 많으니 윗님들 말씀이 거의다 맞아요. 그렇지만 내신으로만 가는전형도 있고
    수능으로가는 정시도 있고, 균형을 맞춰가는 전형도
    있어요. 내아이에 맞게 선택해서 미리 정하는게
    좋아요. 고1때부터 미리 정해놓으면 금상 첨화죠.
    경험자로 한말씀 드리자면 내신이 엉망인 아이가
    수능이 잘나오는건 극히 드물어요. 그래서 재수생들이
    정시도전을 많이 하는거구요. 수능에 정말 자신있다면 모를까 골고루 준비하시는게 나아요.
    수시에 미리 합격해놓으니 너무 좋더라구요.
    대학생활도 미리 선배들 만나 친해놓으니 편하고..

  • 48. ,,
    '13.11.13 8:53 AM (1.224.xxx.195)

    어려워요
    내년 입시는 어떨지..

  • 49. .............
    '13.11.13 9:02 AM (121.131.xxx.103)

    공부 열심히 시키는 학교, 면학분위기가 되어 있는 학교로 보내세요.
    공부 분위기 엉망인 곳은 내신이고 뭐고 말할 기회도 없습니다.

  • 50. 빵빵부
    '13.11.13 9:12 AM (113.216.xxx.180)

    저랑같은고민중이시네요.ㅠㅠ

  • 51. 아님
    '13.11.13 9:27 AM (39.7.xxx.74)

    무슨 내신이 무용지물인가요?
    내신 안나오면 수시 지원도 못하는데..

  • 52. 아님
    '13.11.13 9:28 AM (39.7.xxx.74)

    수시를 왜 이렇게 많이 뽑나 모르겠네요
    그리고 2년 뒤부터는 수능 등급컷제한 없앤다고 하지ㅇ않았나요?

  • 53. 입시 치러보세요
    '13.11.13 9:44 AM (211.114.xxx.233)

    내신 0. 1 이 피와 같은 경우가 많네요. 저희 아이 교대 보내고 싶어서 내신 따기 좋은 일반고 보냈는데, 교대는 아니지만 내신으로 1차를 거르는 전형 통과로 수시로 갔어요. 자기 실력보다 잘 갔어요. 물론 1차에 같이 합격했던 친구들은 많이 떨어지고, 얘는 붙었지만..그게 일반고로 가서 그만한 내신을 받았기에 가능했던 거에요. 내신 무용지물 이란 것은 그냥 입시 안 치뤄본 사람들이 하는 소리에요. 전형따라 다르지만 입시 치러보면 내신이 필요없는 전형도 있고,,,내신이 된다면 덜 힘들게 똑같은 대학에 갈 기회가 생기는 거에요.

  • 54. ㅇㅇ
    '13.11.13 10:00 AM (175.223.xxx.16)

    장수하늘님 정확히 옮기는거 맞아요? 괜히 사람들 오해하게하지마세요
    하위권은 내신 백퍼 전형이 더 많아요
    무슨 말도 안되는소리..

    내신중요해요 괜히 안하다가 피보지 마시고 준비하세요

  • 55. ..
    '13.11.13 10:01 AM (121.157.xxx.2)

    아이 성적이 제일 중요하죠.
    내신이 좋아도 주요 과목을 잘 하는지 못하는지
    주요과목을 잘 한다면 중학교 내신이 최상위 아니더라도 잘하는 아이 모인곳으로
    보내세요.

    어중간한 학교가서 내신 잘 받아도 수능 등급 제대로 안 나오면 무슨 소용인가요?

  • 56. ㅇㅇ
    '13.11.13 10:02 AM (175.223.xxx.16)

    둘다 준비해야해요 나중에 후회말고.. 아이가 어느정도 될지 아무도 모르는거니까요

  • 57. 논술폐지에요
    '13.11.13 10:46 AM (211.114.xxx.89)

    지난 대입발표있던 내용보면
    올해까진 수시 70%지만 지금 고1되는 학생이라면 수능이 대세입니다

    또 서울 몇 대학 2015년 입학예정 발표가 수시30% 수능 70%로 발표났어요
    지방대로 아마 이 대학발표에 영향을 받겠죠

  • 58. 논술폐지에요
    '13.11.13 10:48 AM (211.114.xxx.89)

    참 또한 내신좋은 아인 수능성적도 좋아요..
    그러니 내신잘 잡고 수능도 대비해야죠

  • 59. 올해까지는
    '13.11.13 10:50 AM (211.114.xxx.233)

    둘 다 해야 해요. 내신 전혀 안보는 논술 전형은 수능 최저도 맞춰야 하지만, 우선 선발 되어도 논술로 또 거르기 때문에 장난이 아니라니까요. 전형이 엄청 많아요. 내신을 버리면 수능과 논술로만 승부해야 되지만, 내신이 어느 정도 되면 더 다양한 전형을 노릴 수 있어요. 경쟁이 덜 한 전형으로..
    나는 수능과 논술로만 간다하고 그냥 내신 버리면 정말 수능과 논술을 잘해야 하지만..
    나는 학생부도 놓지 않는다 하면 더 선택이 많구요. 결과적으로 논술전형으로 간 것보다 잘가는 경우가 적지 않아요.

    입시가 바뀌는 이제부터는 모르겠어요. 아무튼 올해까지 상황은 이랬어요.

  • 60.
    '13.11.13 11:00 AM (39.113.xxx.77)

    막상 고3이 되어 원서를 써 보면 아이들이 내신관리 안한 것 많이 후회 합니다.
    선택의 폭이 좁아 지니까요.
    1년 중 8개월은 꾸준히 수능 대비 열심히 하시고 나머지 4개월은 하던 공부 잠시 접어 두고 학교 시험을 위한 공부를 해야 합니다.
    내신 우습게 보면 수시 1단계에서 탈락해 버릴 가능성이 큽니다.
    그럼 최저고 뭐고 다 소용 없고 오로지 정시를 노려야 하는데 그게 쉽습니까?
    주요과목 내신 수능 못지않게 중요합니다.

  • 61. 그럼님
    '13.11.13 11:11 AM (114.204.xxx.42)

    성적이면 국영수 탐구 주요과목만 잘하면 되요..
    암기로 애 잡을 필요 없구요..
    서울대 교대 아님 기타과목 쓰는 학교는 몇 안되니 상위권 노리시는 분 아니라면 기타는 필요없구요
    상위권은 내신 수능 다 열심히..
    내신이 좋으면 수능은 비례하나 재수생들은 내신 안하고 수능 유형만 공부하면 수능에 유리한걸 보면
    수능에만 강한 소수의 아이들도 있음..
    내신 딴다고 후진 학교 가는건 망하는 길..
    내신이 조금 떨어져도 일반고는 분위기.
    떨어지는 내신을 수능이 보완해줌..
    수능 3등급 바깥은 논술전형 할 필요없음..
    인서울 바깥 대학은 내신이 좋으면 유리한 전형 많음..
    내신의 등급차는 1에서 4,5등급까지 급간 차이 점수 얼마 안되어 수능 한문제로 따라잡을 수 있음..(촘촘한 상위권 제외..)
    학생부 100프로 전형은 전교권도 가기 힘드므로 중요도 따지자면..
    수능>>내신..이 보편적 기준임..
    수능 전형 간단함..
    수능 내신 논술로 반영비율에 따라 달라지나
    특히 이과 논술은 그냥 수학 과학 시험이므로 오히려 간단함..
    대체로 상위권>중위권>하위권> 대학 등급별로 전형은 비슷함..
    여기서 헤매지 말고 각 대학 전형 보시면 제일 확실..
    학교 홍보실에 문의하면 전형 자료집 집으로 보내줌..

  • 62. 그럼님
    '13.11.13 11:17 AM (114.204.xxx.42)

    스펙으로 어쩌다 가는 아이들 보며 봉사나 기타 활동으로 시간 낭비할 필요없음..
    오로지 수능..
    인서울 노린다면 수능 내신 둘 다 2등급 안이어야 수월하나 3등급 까지는 가능함..
    문과는 특히나 2등급안..
    수시는 내 아이가 갈 수 있는 대학을 보험으로 두 개 정도는 써야
    무조건 상향했다 수시 떨어지면 정시에선 고난의 길..

  • 63. 그럼님
    '13.11.13 11:20 AM (114.204.xxx.42)

    1,2차가 있는 수시 전형의 경우
    내신은 1차 컷 통과의 중요기준이기에 이때 중요..
    2차에선 대게 수능 최저를 요하므로 이땐 수능이 중요

  • 64. 그럼님
    '13.11.13 11:25 AM (114.204.xxx.42)

    자꾸 생각나서....
    내신의 경우 연대 홍대 등 여러 대학이 각 고교별 내신의 차를 반영..
    Z등급이란 것을 적용..
    그러니 내가 강남 휘문고 3등급이지만 그저그런 학교 3등급이랑은 절대 다르다는거..

    그러나 일반적으로 그저그런 학교의 내신 좋은게 대입엔 유리하나
    이런 학교에선 수능최저를 못맞추는게 문제...

  • 65. ..
    '13.11.13 11:34 AM (107.200.xxx.172)

    일단 저장하고 찬찬히 읽어봐야겠어요.

  • 66. ...
    '13.11.13 11:40 AM (58.145.xxx.175)

    서울대 지균 학교당 2명은 넣는데 입결엔 서울대 0인 학교들이 많네요...이건 단지 수능최저등급을 못 맞춘건가요?아님 서류나 면접등에서 당락이 결정되는 경우일 수도 있는 건가요?

  • 67. 아이입장
    '13.11.13 11:42 AM (203.226.xxx.95)

    소위 "좋은" 고등학교의 상위권 경쟁이 얼마나 치열한지 아시죠? 학교 공부분위기가 좋다고 아이가 성적이 떨어졌을 경우' 좀더 열심히 해서 성적 올려야지' 하는 경우 드뭅니다. 대부분 지나친 경쟁이 아이들 실력발휘를 힘들게 합니다.

  • 68. ***
    '13.11.13 12:04 PM (58.102.xxx.46)

    아...대입 어려워요ㅠㅠ

  • 69. ....
    '13.11.13 1:17 PM (116.38.xxx.201)

    ㅠㅠ 대입 너무 어렵다..

  • 70. missingU
    '13.11.13 1:30 PM (14.52.xxx.187)

    저장합니다^^

  • 71. 너무 어렵죠
    '13.11.13 1:47 PM (223.33.xxx.108)

    학교장 추천 전형같은거 제외하고는 정말
    수능 잘 봐야해요. 내신 1등급이나 4등급이나
    실질반영률이 아마 거의 동일할거에요.
    그런데 이런것도 모든 대학들이 똑같이 적용하는건
    아니구요. 아, 정말 쓰면서도 머리 아프긴 하네요.
    가고싶은 대학의 전형을 뒤져보시고, 요구하는 자격
    요건을 중심으로 고등학교를 결정하세요.

  • 72. 모.
    '13.11.13 3:39 PM (39.115.xxx.143)

    저장합니다어렵네뇨

  • 73. 마를린곤로
    '13.11.13 6:52 PM (121.147.xxx.203)

    아주 어려워요

  • 74.
    '13.11.13 7:21 PM (39.7.xxx.187)

    내신 실질 반영률 낮은건 논술과 정시고
    학생부는 높아요
    그리고 내신 컷이 있어서 4등급은 좋은 학교 수시 지원도 못해요

  • 75. 소중한
    '13.11.13 11:30 PM (39.7.xxx.92)

    아이의.성향파악이 먼저 입니다. 좋은곳에 가서 자극받으면서 열심히 할.수.있는 기질이면 좋은학교. 잘하는아이들 틈에서 기죽어서 오히려.학습의욕이 저하 될 수 있는 쪽이면 일반학교이지요...

  • 76. 아이가
    '13.11.14 7:55 AM (119.203.xxx.117)

    승부근성이 있는 아이면 성적 좋은학교,
    그렇지 않다면 일반학교가 정답이기는 한데...
    우리나라 대입, 너~~무 어려워요.

  • 77. 제겐
    '13.11.14 12:49 PM (124.51.xxx.83)

    금쪽같은 정보입니다,감사해요^^

  • 78. gks
    '13.11.15 2:27 PM (218.39.xxx.127)

    대입 정말 힘드네요.

  • 79. 프리지아
    '13.12.15 8:10 PM (61.98.xxx.21)

    감사합니다

  • 80. 젠2
    '13.12.23 1:26 PM (1.237.xxx.66)

    감사합니다

  • 81. 아녜스
    '14.3.4 4:59 PM (183.99.xxx.98)

    대학입시정보..저장합니다

  • 82. ....
    '15.1.8 10:32 PM (112.149.xxx.152)

    어렵네요,저도...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0624 소피마르소 라붐 재개봉 한다는데 보러 안 가시나요? 15 ... 2013/11/18 1,395
320623 2014 탁상달력 8 .. 2013/11/18 3,393
320622 만약 야당의원이나 인사가 포함돼있었다면 8 분노 2013/11/18 636
320621 십만원대 남자머플러 마구마구 추천부탁드려요.^^ 11 선물 2013/11/18 1,375
320620 중계동 영신여고? 1 여고. 2013/11/18 3,098
320619 박근혜 시정연설에 '특검·특위' 없을 듯, 경색정국 예상 6 세우실 2013/11/18 724
320618 배추가 넘넘 좋아요~~~ 1 마시쪙 2013/11/18 994
320617 유방암 걸리면 가슴이 욱신거리며 아플 수있나요? 9 한달째 2013/11/18 7,424
320616 정말 이런사람...좀 이상하지 않나요? 12 ... 2013/11/18 3,327
320615 양재코스코 주차 초보한테 무리일까요? 5 기억이 가물.. 2013/11/18 1,478
320614 저는 김을동 같은 사람을 국회의원으로 왜 뽑는지 도무지 이해가 .. 17 인상도별론데.. 2013/11/18 3,037
320613 서울날씨에 코트와 패딩중 뭐가 더 낫나요 3 그린tea 2013/11/18 1,320
320612 무스탕을 사러 어디로 갈까요? 2 행복한아짐 2013/11/18 1,317
320611 세번걸혼하는여자 ...세번째남자는? 2 쭈니 2013/11/18 1,878
320610 아랫배밑에 무언가 뼈같은게 만져져요 2 고민 2013/11/18 1,937
320609 패딩과 파카의 차이점이 뭔가요? 1 시대유감 2013/11/18 1,955
320608 남편이 야동을 봤는데 그 과정이.. 9 야동 2013/11/18 5,637
320607 급]자고일어났는데 오른쪽갈비뼈아래가 아파요 4 질문 2013/11/18 4,948
320606 유신체제로 가기 위한 준비과정 1 모든국민이졸.. 2013/11/18 656
320605 김수현식 어투는 어느 지방 사투리인가요? 씹지도 않고 꿀꺽하는.. 10 김수현식 어.. 2013/11/18 2,353
320604 실비보험으로 운동치료 받는중에 병원을 옮기면... 3 실비 2013/11/18 1,421
320603 0 를 한국말로 영 이라고 읽나요, 공 이라고 했었나요? 7 황당 2013/11/18 1,084
320602 [조선] 박원순,삼성동 아이파크 헬기 사고 현장서 ”불행 중 다.. 29 세우실 2013/11/18 8,246
320601 아이허브 무료배송일때 무게상관없나요? 3 ᆞᆞ 2013/11/18 2,590
320600 가끔 남을 부러워한다는글. 7 저는이렇게... 2013/11/18 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