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자녀진로 간호학과 생각하는어머니들 꼭읽어보세요-현장 폭력왕따

꼭읽어보세요 조회수 : 5,713
작성일 : 2013-11-11 12:00:05

때가 때인지라 자녀진로얘기 많이 올라오잖아요..

몇일전에 경영학과와 간호학과 고민하는 어느님 댓글에 다들 간호학과가 당연히 비젼이 낫지 라는 내용이

많았고 저도 그렇게 생각했어요.

근데 실상을 보니 정말 심각하네요... 네이버에 '간호 태움' 이렇게 연관검색어로 다른 기사내용도 많아요.

특수한 예외적인 사례가 아니라 전반적인 문화가 이런가봐요.

지난번 간호학과 진로문의 댓글중에 어느님이 친언니가 간호사인데 맨날울고출근했다는 의미가 뭔지

알꺼같아요..

엄마들께서 무조건 전문직 진로 이런것만 생각하지마시고 다음과 같은 한국적 실상도 염두에 두고

자녀진로 참고하시기 바래요~

===================================================================================

군대보다 심한 간호사 폭력 `태움`///왕따에 차트로 머리찍고

 

2005~2006년 전남대병원에서 2명의 간호사가 잇따라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한 간호사는 자신의 팔에 직접 독극물을 주사했다. 유족들은 "선배 간호사의 폭언 등으로 인한 업무 스트레스 때문에 그동안 힘들다는 말을 자주 했다"고 주장했다.

당시 보건의료노조, 대한간호협회 등은 간호사들의 열악한 근무환경과 그로 인한 스트레스에 대해 하루빨리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두 간호사의 자살 이후 7년이 흐른 2013년, 일부 병원 간호사들의 업무 환경과 문화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두 간호사 자살 후 7년… 여전한 '태움'
최근 일부 간호사들 사이에 '태움'으로 불리는 폭력적인 문화가 다시 논란이 되고 있다. 태움은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뜻으로 병원 내 선배 간호사들의 후배를 상대로 한 폭언, 폭행 또는 따돌림(왕따) 등을 뜻한다. 유명 대학병원이나 사설병원을 가리지 않고 발생한다.

태움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이뤄진다. 폭행과 폭언은 다반사다. 따돌림 당하는 간호사가 나타나는 순간 모든 간호사들이 대화를 멈추고 뿔뿔이 흩어지기도 한다. 개인 사물함에서 물건을 꺼내 바닥에 늘어놓고 "일 그만두라"고 하거나 새내기 간호사가 잠시도 쉬지 못하게 소모품 수량을 일부러 잘못 체크해놓고 정리를 지시하기도 한다.

서울의 한 유명 대학병원 간호사로 일하다 최근 퇴사한 A씨(26·여)는 "여자가 대부분인데도 집단 얼차려를 시키고 차트로 머리를 찍는 등의 폭력은 마치 옛날 군대를 방불케 했다"며 "수간호사들은 혹시라도 환자들이 원무과에 일러바칠까봐 환자들이 비교적 기력이 없는 중환자실로 들어가서 괴롭히는 일이 잦았다"고 고백했다.

올해 처음 간호사가 돼 한 대학병원에서 근무를 시작한 B씨(24·여)는 "폭행보다 더 견디기 힘든 것은 폭언과 뒷담화, 왕따의 대상이 되는 스트레스였다"며 "마치 내가 숨쉬는 것조차 용납하기 힘들다는 눈빛으로 날 쳐다볼 때마다 죽고 싶었다"고 토로했다.

◇태우는 간호사의 항변 "우린 생명을 다룬다"
'태우는' 선배 간호사들도 할 말은 있다. 이들은 생명을 다루는 의료 현장에서 일한다는 특성 탓에 엄격한 규율이 필요하고, 규율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태움은 필수적이라고 항변했다. 일부 '철 없는' 간호사들이 업무상 과실을 지적한 것을 인격모독으로만 느끼고 개선하지 못하는 점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한 수간호사는 "1년차 간호사가 환자에게 수액 놔주는데 기포가 발생한 상태로 그대로 놔주려고 해 중지시킨 뒤 호되게 혼낸 적이 있다"며 "퇴근 전 그 친구 통화내용이 들리는데 '나를 미워해 괴롭힌다'는 말만 반복해 황당했던 적이 있다"고 말했다.

이 수간호사는 "주사 한번, 진료 한번 잘못되면 환자들의 목숨이 위태로워질 가능성이 있는 곳이 병원"이라며 "가뜩이나 사람이 부족해 열악한 간호 업무 환경에서 긴장감을 늦추지 않기 위한 기강 확립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다만 일부 병원에서 간호사들 사이에 폭언이나 폭행이 무리하게 이뤄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군대를 경험했던 남성 간호사들조차 과도하다고 지적한다. 한 남성 간호사는 "군대에서의 '갈굼'이 좀 더 노골적이고 직접적인 방식이라면 '태움'은 약간 간접적이면서도 더 교묘하게 드러난다"며 "군대 내무반에서 느끼던 부조리가 좀 더 비열한 방식으로 옮겨온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군대보다 심한 간호사 폭력 '태움'-下] 인구 1천명당 간호사 수, 일본의 절반도 안 돼]

본문 이미지 영역 지난해 9월 사랑의 실천을 다짐하는 '나이팅게일 선서'를 하고 있는 국군간호사관생도들. 전문 간호인들이 사랑의 실천을 할 수 있도록 간호수가 정상화 등 처우 개선이 우선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사진=뉴스1

# S대 간호학과 졸업반인 A씨(22·여)는 지난달 17일 마감인 간호사시험 원서를 내지 않았다. 재학 중 의료인으로서의 사명감과 보람에 대해 배우면서 '백의의 천사'를 꿈꿨지만, 현직에 있는 선배들에게 듣는 현장의 분위기는 상상을 초월했다. 매일 같이 이어지는 초과근무와 병실 내 폭언, 폭행 등의 군기 잡기를 A씨는 견뎌낼 자신이 없었다. 결국 A씨는 휴학계를 내고 일반기업 '취업스터디'를 알아보는 중이다.

2005~2006년 두 간호사의 연이은 자살의 원인으로 불거진 간호사 사이 군기잡기, 이른바 '태움'은 10여년이 지난 지금도 크게 바뀌지 않았다. 여전히 새내기 간호사에게는 예전 군대를 방불케 하는 폭언과 폭행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신입 간호사의 이직도 모자라 간호대 졸업생들까지도 간호사 시험을 기피할 정도다.

의료업계 관계자들은 이 같은 현상의 원인 가운데 하나로 고질적인 간호사 인력 부족을 지목했다. 전세계에서 대만과 한국에만 있는 '간병인 제도' 역시 간호사 인력 부족으로 인한 간호 사각지대를 메우기 위해 생긴 기형적으로 제도라는 분석이다.

본문 이미지 영역 1997~2012년 간호사 수와 1000명당 간호사 수. /자료=국가통계포털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1997년(연말기준) 12만5710명이던 간호사는 지난해 24만2249명으로 늘었다. 같은 시기 인구 1000명당 간호사수는 2.7명에서 4.8명으로 소폭 증가했다. 그러나 여전히 선진국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일본과 독일은 2010년 간호사 수가 1000명당 10.0명, 11.2명에 달했다.

중소병원의 경우 인력난은 더욱 심각하다. 병상수 대비 간호사 수에 따라 간호관리료를 차등 지급하는 '간호관리료 차등제'를 적용하면 1~5등급 병원은 입원료의 10~15%가 가산되며 7등급은 5% 감산된다. 지난 7월 전국중소병원회가 135곳의 중소병원을 조사한 결과 1등급 병원은 단 한 곳도 없었다. 2등급 역시 6.7%에 불과했다. 최하등급인 7등급은 40.7%에 달했다.

한 간호사는 "200만원이 안 되는 임금을 받으면서 하루 12시간씩 근무하고, 좀 쉬려다가도 급한 콜(호출) 받으면 앉지도 못하고 달려가는 일상 속에서 따뜻한 후배 지도 등은 엄두가 안 난다"고 고백했다.

이 간호사는 "업무에 미숙한 신입을 혼내면 소심해지고 자신감이 떨어지고, 스킬이 안 늘어나니 계속 혼나다 패닉에 빠져 결국 출근을 두려워하다 '난 간호사 체질이 아닌가보다'하며 일을 그만 두는 악순환이 계속된다"고 했다.

업계에서는 최소 2020년까지 간호사 부족 현상이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건복지부는 2011년부터 3년 동안 간호대 정원을 연간 1100여명 가량 늘리는 방안을 교육부에 요청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같은 간호사 증원을 통해 처우를 개선하려는 '장기계획' 이전에 당장 간호사들의 처우를 향상시키려는 '단기계획'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열악한 현장 환경에 대해 들어 알고 있는 간호대 졸업생들이 간호사 시험을 기피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황나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 7일 '보호자 없는 병원 제도화 방향 모색과 전망' 토론회에서 "간병인에게 간호인력 공백을 메우도록 하지 않기 위해 '보호자 없는 병원' 사업을 제도화해야 한다"며 그 대책 중 하나로 "선진국 급성기병동 간호수가와 지불보상체계를 벤치마킹해 병원별로 간호관리료가 책정되는 현행 제도를 병동별로 책정되도록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IP : 220.93.xxx.6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decoration78
    '13.11.11 12:05 PM (223.62.xxx.31)

    간호학과=여자군대 라고 생각하시면 된다더군요..ㄷㄷ

    어쩌면 가혹행위나 구타 철저하게 관리하는 요새군대보다도 더 무서운 갈굼이나 가혹행위, 구타가 만연해 있다는..

    간호대 선후배간 군기도 무시무시한 수준이라 들었구요

  • 2. 선무당
    '13.11.11 12:27 PM (14.35.xxx.194)

    간호학과 나오시고들 여자군대라고 하시는건지~~
    요즘 아이들이 얼마나 자유로운 영혼인데
    군대가 가당키나 합니까???
    토요일에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동기 만났는데
    실습하는 학생들 분위기 어떠냐고 물었더니
    우리때처럼 쫄지도 긴장하지도 않고
    자유롭답니다~~~
    간호사 되고 안되고는 자유지만
    일부 사건을 일반적인 사실처럼 말하지 마시길....

  • 3. ..
    '13.11.11 12:30 PM (121.148.xxx.81)

    지방 대학병원에 올해 대학 졸업하고 취업한
    친구딸이 같이 들어간 동기들이 거의 그만 두고
    몇명 없다고,,
    우선 종합적인 여건들이 병원에서
    교대근무까지 해가면서 이겨내기는 너무 너무 힘들다고
    ...

  • 4. 모두가그렇지는않겠지만..
    '13.11.11 12:30 PM (220.93.xxx.6)

    자녀일이니 더 신중하자는겁니다.
    모르고 결정하는거랑 알고도 결정하는거랑은 다르니까요..
    더구나 우리나라는 전공이 평생에 영향을 끼치는 중차대한 선택이니까
    이런저런 상황 다 두루두루 아시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5. 간호사친구
    '13.11.11 12:58 PM (112.158.xxx.132)

    간호사친구뒀어요~
    종합병원근무하다 그만두고 일반병원근무하다 결혼하고 아이들키우다 지금 월수금 파트타임으로 근무해요~
    경력이 단절됐든 어쨌든, 국가자격증없어지지않잖아요~
    그리고, 버티는 사람들은 다 버텨요~

    좀 안타까운건 아픈사람들 상대하다보니 스트레스 장난 아닐것같고, 3교대하는것도 예삿일 아닐것같고.. 급여가 4~500은되야지않을까싶더군요~
    지난주에 퇴원했는데, 밤새 옆자리 환자분 아프다고 끙끙대니 왔다갔다 수시로 체크하고 들여다보고..
    급여랑 대우만 좀 더 나아진다면, 장기적으로봤을때, 간호사는 일반 회사원보다는 훨씬 낫다고 봐요~~

  • 6. @@
    '13.11.11 1:04 PM (124.49.xxx.19) - 삭제된댓글

    견딜 애들은 다 견딥니다, 의외로 한곳도 잇구요.
    제가 아는 친구 엄마.. 지방 전문대 출신 간호사엿는데도 한동안 집에서 잇다
    3교대 없는 병원으로 가더군요, 6시 퇴근하는곳,,
    경력 쌓이면 그뒤로부터는 참 편해지더군요.
    뭐든 돈 버는거 쉽지 않아요. 그런거 참는 애들이 수간호사 되는거구요.

  • 7. 눈사람
    '13.11.11 1:15 PM (14.40.xxx.1)

    전직 간호사 입니다. 병원이란 곳이 실수를 용납하지 않고 교대 근무이기 때문에 빠뜨린 일은 뒷 사람이 해야 하는 특성상 갈굼은 타 직장보다 많은 것이 사실이에요.. 그러나 군대식 그런 문화는 3차 병원에서는 듣도 보도 못했네요.... 늘 혼나고 일에 쫓기고 전문적인 공부 부담에 시트 정리같은 허드레일까지 일의 영역이 너무 넓어 일하는게 어렵지만 글 내용대로 일열 정대로 얼차렷 같은 건 절대 듣도 보도 못했네요...
    대학 병원에서 오래 일하다 다른 일하고 있는데 20대는 내가 왜 이전공 택했을까 후외 많이 했다 중년이 되니 면허증의 위력에 그래도 괜찮다는 생각이 드네요... 할 수 있는 일은 많다는 게 장점입니다.

  • 8. .....
    '13.11.11 1:33 PM (125.133.xxx.209)

    어느 정도 군기가 있기는 해요..
    특히나, 의료사고와 연결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호되게 혼나죠..
    그렇지만,
    요새 어디 편한 직장 있나요?
    다 마찬가지죠...
    인격적으로 모욕감을 주는 행위가 있다면 잘못이 맞지만,
    의료사고와 연결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엄한 것은, 일정부분 당연하다고 생각해요..

  • 9. 샘이슬
    '13.11.11 1:39 PM (14.54.xxx.113)

    제가 간호대 출신 간호사입니다.
    간호사와 관련된 직업은 2-3가지 해봤고 지금도 취업중이고, 다른 직업은 대학때 아르바이트 해본것이 다인지라 다른 직업군과 비교 하기는 어렵지만...

    좋은점은
    1. 취업이 잘된다. 경력단절이 되어도 나중에 일하고 싶을때 일할 수 있다. 취업할 수 있는 분야가 넓다
    2. 육아에 대해 질병지료에 대해 많이 알고 배워서 실생활에 유용하다

    나쁜점은
    1. 병원 취업의 경우 3교대 또는 2교대가 많은 직종이라 생활리듬이 깨지고 직업노동강도가 쎄다
    2. 어느 곳에 취업하든 1군이 아니고 2군인 느낌이 들어 자신감을 갖고 자아실현이 힘들 수 있다.

    결론은 공부할 때나 20-30대때는 "적성에도 안 맞게 내가 왜 간호학과를 가서 빛도 못 보고 이고생을 하나"
    싶었는데 40대인 지금은 내 능력을 객관적으로 따져 볼때 간호학과를 나와서 이만큼 살고 있고, 어는 직종이나 힘든일이 없는 곳을 없을 터이고
    간호학을 배워서 그나마 애 셋 키우면서도 나름 덜 걱정을 하고 살아왔고 아이를 들쳐업고 응급실 갈일이 별로 없었구나 싶어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 10. 추천
    '13.11.11 2:48 PM (39.7.xxx.22) - 삭제된댓글

    간호과 갈 성적되고 체력되고 남 돕는일에 흥미가 있다면 간호와 추천합니다. 정규직부터 파트타임까지 연령에 구애없이 일자리 흔하고 공무원부터 어린이집운영 공기업까지 다양한 진로가 있어서 참 좋습니다

    조카들에게도 권하고 싶은데 흥미가 없거나 성적 이 안돼서 안타깝습니다

    이상 간호사 못구해 어려움많은 oo담당자 입니다

  • 11. 먹고살기
    '14.6.16 11:33 AM (211.214.xxx.233)

    예 참고하겠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0854 드레스장 문 설치 3 옷장 2013/11/18 1,005
320853 천호선 “박대통령, 절대왕정식 국가관 버려야” 2 세우실 2013/11/18 723
320852 띠어리 m사이즈 66 인가요?? 1 ?? 2013/11/18 3,206
320851 김우빈이 뜨기는 뜨나 보네요^^ 18 우빈앓이 2013/11/18 5,347
320850 절임 배추 사신 분들 3 비율 2013/11/18 1,164
320849 대표랑 싸우고 나왔다는 글 말이에요 7 ㅇㅇ 2013/11/18 2,263
320848 삼각지 주변 가족식사 추천 부탁드려요 4 며느리 2013/11/18 1,048
320847 이 패딩좀 봐주세요 4 가을이오면 2013/11/18 1,515
320846 초간단 동치미담그기 16 셔옷느 2013/11/18 4,433
320845 여자의 헤드뱅잉을 보여주마 우꼬살자 2013/11/18 401
320844 홈쇼핑에서 브레라 패딩부츠 사신 분 있으신가요? 4 88888 2013/11/18 4,852
320843 국산 들기름 샀는데 이상해서요ㅡㅡ 8 ㅡㅡ 2013/11/18 3,004
320842 절인배춧잎을으로 배추전 해도 되나요? 12 이를어쩌지?.. 2013/11/18 2,516
320841 내가 봤던 가장 기억남는 황당한 결혼식 뭐가 있으신가요? 58 .... 2013/11/18 18,482
320840 마트에서 산 밀또르띠아. 5 방부제 2013/11/18 905
320839 스케쳐스 야상 패딩 10 패딩 2013/11/18 4,589
320838 목디스크 땜에 너무 고통스러워요 17 ㅜㅜ 2013/11/18 4,206
320837 블랙진 물빠짐 방지책 있나요? 4 에고 2013/11/18 4,323
320836 (전문) 대한민국을 망치는 새누리 권력에게 경고합니다. - 표창.. 10 참맛 2013/11/18 922
320835 너무 아무 거나 잘 먹는 아들 4 신사는 2013/11/18 1,253
320834 남친만드는 재주는 어찌갖나요? 9 ^^ 2013/11/18 2,064
320833 아이허브에서 주문한 물건 못받았을때 어떻게 해야하나요 ㅠㅠ 5 겨울 2013/11/18 1,656
320832 발신번호 0 번 전화 받아보신분~ 1 Aqua 2013/11/18 3,013
320831 코스트코 한삼인 홍삼정진 어떤가요? 1 ... 2013/11/18 6,435
320830 김치가 요리의 끝판왕일까요? 3 책을 봐도 .. 2013/11/18 8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