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출산후 찬음식 언제부터 드셨나요?

출산후 찬물 조회수 : 20,582
작성일 : 2013-11-08 15:22:10

출산한지 한달이 좀 넘었습니다

원래 찬음식을 그리 좋아는하지 않지만 모든걸 데워 먹을려니 언제까지 이리해야 하나 싶어서요

보통 출산후 찬음식( 냉장고 음식)은 언제부터 드셨나요?

그리고 찬물엔 언제부터 손을 담그셨는지..  궁금합니다..

 

 

 

 

IP : 68.150.xxx.151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11.8 3:23 PM (223.62.xxx.64)

    7주정도까지는 조심했던것 같아요

  • 2. 바로 먹었어요
    '13.11.8 3:26 PM (180.65.xxx.29)

    음료수도 먹고 애낳고 10년 아직 치아도 튼튼하고 괜찮네요

  • 3. 그게
    '13.11.8 3:31 PM (61.82.xxx.136)

    저는 되려 출산 전엔 찬 거 좋아했는데 출산 이후엔 그냥 찬 음식이 안 땡기던데요.
    이후로 쭉~~~~~~~~~ 물도 미직지근하게 먹어요.

    되도록 안 드시는 게 좋아요.
    이가 시려지고 이런 거랑 상관없이 출산 후 살도 빼고 하시려면 속안이 차가우면 안좋다네요.

    그 덕인지는 몰라도 제가 6개월 무렵 임신 전 몸무게로 되돌아왔어요.
    모유가 잘 안돌아서 모유수유 별로 하지도 않았는데도요.

  • 4. 잘못된 산후조리의 예
    '13.11.8 3:38 PM (223.33.xxx.9)

    일주일 뒤부터 일부러 따뜻하게 해먹지 않았으며
    과일 냉장고에서 바로꺼내먹거나 그런거
    삼주 뒤부터 아이스크림을 먹었습니다 ㅜㅜ
    근데 개인차인거 같아요
    전 아직은 괜찮아요

  • 5. **
    '13.11.8 3:45 PM (119.67.xxx.75)

    저는 9월에 출산했어요. 당일 병실에 올라오자마자 갈증이 나서 남편 졸라서 아이스크림 사달라고 했어요. 남편 안심시키고 저녁먹으러 간 사이 베스킨 파인트 하나 다 먹었어요.
    10년 지난 지금까지 건강해요.
    사람 나름인가봐요.
    서양 사람들 산후 조리 안 하잖아요.
    저도 두 아이 낳고 며칠 좀 조심한거 말고 내 몸 움직일만 할 때 부터 평소하던 대로 했어요.
    이런 사람도 있다고요.

  • 6. 저도 바로
    '13.11.8 3:49 PM (222.112.xxx.192)

    애 낳고 목 말라서 시원한 음료수 먹고 저녁에 아이스크림 먹었어요..
    찬거는 그 후로 쭉 먹은 듯. ㅎㅎㅎ

    애 낳은지는 육년째고, 이가 시리다거나 그런건 없어요

  • 7. 바로 먹음
    '13.11.8 3:51 PM (203.226.xxx.244)

    전 애 둘 낳았는데, 한놈은 한겨울, 한놈은 한 여름에 낳았어요. 출산후라고 그리 꽁꽁 싸매고 있진 않았구요. 둘째 한여름에 낳을때는 집에 오자마자 시원한 음료 막 마셨어요..둘째가 초등인데 아직 몸 이상없어요..

  • 8. 케러셀
    '13.11.8 5:10 PM (124.5.xxx.87)

    그런거 너무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저도 윗분들처럼 출산한날 바로 먹었어요. 2월달인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8013 이혼숙려기간내에요 .. 2013/11/11 1,167
318012 불어불문과 vs 중국통상 어디가좋을까요? 12 언어 2013/11/11 1,433
318011 굽 높은 구두,,,필요할까요? 2 전업 2013/11/11 1,278
318010 악쓰고 우는7살아들.. 뭐가 문제일까요? 15 .. 2013/11/11 3,375
318009 아래 귀지 이야기 읽고 질문드려요 6 가나다 2013/11/11 2,016
318008 단독]선관위 "수검표가 틀렸다"..지난대선 최.. /// 2013/11/11 927
318007 하시모토 ”한국군도 성폭력 문제 있었다…한국 반성하면 일본도 반.. 6 세우실 2013/11/11 760
318006 다시 합가하고 싶어요 시댁이랑.. 13 2013/11/11 5,514
318005 해커스 토익 리스닝 (개정판) 2012년도에 산 책 관련 mp3.. 1 ... 2013/11/11 1,650
318004 효자 남편 20 적반하장 2013/11/11 4,233
318003 암 수술은 서울에서 받아야 하는지... 6 아내... 2013/11/11 1,946
318002 미술사,세계사,음악사(?) 재미있는 야화식으로 술술 넘어가는 책.. 4 신기한서프라.. 2013/11/11 1,160
318001 담주부터 제주도 한달 묵을 곳 소개해주세요 5 인딸기 2013/11/11 1,834
318000 출산 3주남은 산모입니다. ^^ 8 노노노 2013/11/11 1,085
317999 응답하라94에서 해태가 쓰는 말중에 6 -- 2013/11/11 2,127
317998 부산인데 일본도 조금 환전 하려고 하는데 어디가 제일 많이 쳐줄.. ,,, 2013/11/11 499
317997 응답하라 1994에서 4 궁금 2013/11/11 1,400
317996 가사도우미 어디서 구하시나요? 1 궁금맘 2013/11/11 858
317995 [알려주세요]정보처리기능사,, 학원에서 배울려고 하는데 2 궁금 2013/11/11 965
317994 이비인후과가서 귀지제거 해보신분 계세요? 22 이발관 2013/11/11 60,391
317993 [단독]선관위 "수검표가 틀렸다"…지난대선 최.. 16 ........ 2013/11/11 1,524
317992 둘째 동생 생기는 아이 어떻게 더 잘해줘야 할까요 8 추워요 2013/11/11 732
317991 미혼인데 아기 위탁해주는 거 가능할까요? 11 샴냥집사 2013/11/11 2,024
317990 재수학원 한달 학원비가 얼마인가요? 5 고3 2013/11/11 3,720
317989 절임 배추로 김장 할 때 4 아이돈노 2013/11/11 1,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