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 담그기에 대한 궁금증..

메론빵 조회수 : 952
작성일 : 2013-11-06 10:43:47
해외에서 홀로 살게되어
혼자 담가본적이 없던 김치를 혼자서도 척척...까지는 아니지만 한주먹씩 담가먹게 되었는데요,
이곳이나 네이버, 다음 등등 검색해서 만들어 보는데
뭔가 김치(간단히) 담그는 방법이 천편일률적이구나 라는 생각이 들어요.

주재료를 소금에 절인다.
풀(찹쌀, 밀가루..)을 쑨다->젓갈, 고춧가루, 마늘, 생강, 설탕류를 투입해서 양념장?을 만든다.
소금에 절인 주재료에 버무려서 끝낸다...

식으로
배추, 무우, 파, 부추.....대부분의 김치들을 위 방법으로 다 가능하다며
양념 한번 만들어서 냉동해두고 써도 편하다고 소개된 요리법이 많더라구요.

물론 저도...
간단한게 좋으니 위의 방법으로 하는데(제가 했지만 제법 먹을만한 김치가 되더라구요!),
김치는 다양하다고 생각했는데 양념법이 결국 다 비슷한것인가 싶어
의문아닌 의문이 생기더라구요.

원래 김치라는게...
저렇게 풀 쒀 양념 만들어서 버무리는게 보통이었는지,
다들 편하고 맛난 방법을 찾다 보니 서로 비슷비슷 해진건지...
딱히 답이 없는 궁금증이라곤 생각하는데,
요즘 제가 만든 파김치도 배추김치도 다 비슷한 맛이 되어가다보니 그냥 글 올려 봅니다..
IP : 211.10.xxx.234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김치고수
    '13.11.6 10:47 AM (118.39.xxx.140)

    김치담기 고수인데 파김치나 갓김치에는 생강을 사용하지 않아요
    자체에 향이 강해서요.되도록이면 찹쌀풀 사용해요.밀가루풀보다
    달착지근하고 밀가루향이 나지않죠...깍두기에는 반드시 새우젓
    이런걸 항상 지키면 좋은맛이 나요^^

  • 2. Turning Point
    '13.11.6 11:03 AM (124.194.xxx.222)

    저도 김치 담그기 초보정도인데요...
    3년 전에 김장 독립하면서 쭉 김치를 제가 만들어 먹고 있어요.
    김치없이 못사는 남편이랑 그 남편을 꼭 닮은 두 딸때문에....
    거의 1년 내내 김치 담고 사는데...
    첫해엔 저도 김장 할때 김치 양념을 아주 많이 만들어 냉동실에 소분해 두고..
    파김치, 열무김치, 깍두기.. 배추김치 등등.. 무조건 그양념으로 해결을 해 봤죠.
    나쁘진 않았고 재료가 주는 맛이 다 다르니 모두 신나게 먹어주긴 했는데..
    저도 원글님처럼 과연 이게 김치 담그기의 끝인가... 하는 고민에 빠져..
    강순의님의 김치 책을 한 권 샀더랬죠..

    근데... 어려워도 너무 어려워....ㅠㅠ
    다시 제 맘대로 담그기로 돌아왔지만 위에 김치고수님 말씀처럼
    재료의 맛을 잘 살려줄 수 있는 양념을 참고하기 시작했어요.
    훨씬 나아지긴 했지만... 첫해에 느꼈던 고민과는 달리... 이젠 너무 어렵게 느껴져서 고민이네요.

    그래서 저는 11월 중순부터 하는 강순의님 김치 강의 신청해 뒀어요..
    처음엔 단순한 발효만 믿었다면... 이젠 맛있는 발효를 찾아나서는 단계라고나 할까요..
    물론 친정엄마 솜씨 따라가려면 많이 멀었지만..
    딱히 친정엄마 솜씨를 닮기보다는 저희 가족들의 입맛에 맞는 김치를 찾아야 할 것 같아서요..

    뭐 횡설수설이었지만...
    어쨌든 김치 담글때마다 선택 가능한 몇 가지의 옵션들을 잘 바꿔가며 시도해 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7341 자잘한 고민 큰고민..실컷 웃고 싶은신 분들 ㅁㄴ 2013/11/06 749
317340 날아라 슈퍼보드 좋아하셨나요? 5 ,,, 2013/11/06 648
317339 바리스타 수업 하려는데 새드립포트 어떻게 세척해서 사용하나요? 1 왕초보 2013/11/06 1,107
317338 우리 아이 원어민 교사 자국에선 어떤 사람? 21 영어쌤 2013/11/06 4,216
317337 [펌] 5년 후 6 로맨스™ 2013/11/06 2,168
317336 오로라도 어지간 하데요. 2 ~.~ 2013/11/06 2,661
317335 웰시코기라는 영국 사냥개 아시는 분 꼬리짧고 다리짧고 16 애견인께 2013/11/06 4,348
317334 신정네거리에서 1 아이고 2013/11/06 804
317333 좌우 인식할때 한번 더 생각해야 하는분 계신가요? 9 서른셋인데 2013/11/06 877
317332 사랑니 몇살쯤 나셨나요? 2 sspps3.. 2013/11/06 1,613
317331 오로라 임예진 연장안해서 죽이는거군요ㅋ 5 2013/11/06 4,197
317330 저기 아래 오리털패딩 리폼 댓글들을 보고 1 털털 2013/11/06 4,345
317329 국정원과 사이버사령부의 스나이퍼 진남매를 만나 뒷 이야기 3 우리는 2013/11/06 967
317328 나중에 퇴직하면........ 4 나이 들면서.. 2013/11/06 1,651
317327 국제중 원서접수가 언제예요 1 2013/11/06 1,175
317326 제주가조아 7 귤(장터) 2013/11/06 1,308
317325 모래 요정 바람돌이 아세요? 58 추억 2013/11/06 4,841
317324 마트에서 과자를 사왔는데ㅠ 4 뎁.. 2013/11/06 2,311
317323 전세-매매가 차이가 2,3천 정도인 동네 추천부탁드려요 동탄 2013/11/06 687
317322 jtbc뉴스 짱이네요 9 aaa 2013/11/06 3,126
317321 따루.. "핀란드에는 새누리당 같은당이 없어요".. 17 미수다따루 2013/11/06 3,290
317320 반골반 스키니 너무 불편하지않나요? 5 ㄴㄴ 2013/11/06 1,619
317319 뻘글인데 남자심리 궁금해요(내용은 펑이요) 14 .. 2013/11/06 1,544
317318 국정원여직원변호사비를 왜 세금으로 합니까? 8 욕만 늘어요.. 2013/11/06 1,017
317317 개인일탈이라며 국정원 감금녀 변호사비는 국정원이 3 헐국정원 2013/11/06 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