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 담그기에 대한 궁금증..

메론빵 조회수 : 961
작성일 : 2013-11-06 10:43:47
해외에서 홀로 살게되어
혼자 담가본적이 없던 김치를 혼자서도 척척...까지는 아니지만 한주먹씩 담가먹게 되었는데요,
이곳이나 네이버, 다음 등등 검색해서 만들어 보는데
뭔가 김치(간단히) 담그는 방법이 천편일률적이구나 라는 생각이 들어요.

주재료를 소금에 절인다.
풀(찹쌀, 밀가루..)을 쑨다->젓갈, 고춧가루, 마늘, 생강, 설탕류를 투입해서 양념장?을 만든다.
소금에 절인 주재료에 버무려서 끝낸다...

식으로
배추, 무우, 파, 부추.....대부분의 김치들을 위 방법으로 다 가능하다며
양념 한번 만들어서 냉동해두고 써도 편하다고 소개된 요리법이 많더라구요.

물론 저도...
간단한게 좋으니 위의 방법으로 하는데(제가 했지만 제법 먹을만한 김치가 되더라구요!),
김치는 다양하다고 생각했는데 양념법이 결국 다 비슷한것인가 싶어
의문아닌 의문이 생기더라구요.

원래 김치라는게...
저렇게 풀 쒀 양념 만들어서 버무리는게 보통이었는지,
다들 편하고 맛난 방법을 찾다 보니 서로 비슷비슷 해진건지...
딱히 답이 없는 궁금증이라곤 생각하는데,
요즘 제가 만든 파김치도 배추김치도 다 비슷한 맛이 되어가다보니 그냥 글 올려 봅니다..
IP : 211.10.xxx.234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김치고수
    '13.11.6 10:47 AM (118.39.xxx.140)

    김치담기 고수인데 파김치나 갓김치에는 생강을 사용하지 않아요
    자체에 향이 강해서요.되도록이면 찹쌀풀 사용해요.밀가루풀보다
    달착지근하고 밀가루향이 나지않죠...깍두기에는 반드시 새우젓
    이런걸 항상 지키면 좋은맛이 나요^^

  • 2. Turning Point
    '13.11.6 11:03 AM (124.194.xxx.222)

    저도 김치 담그기 초보정도인데요...
    3년 전에 김장 독립하면서 쭉 김치를 제가 만들어 먹고 있어요.
    김치없이 못사는 남편이랑 그 남편을 꼭 닮은 두 딸때문에....
    거의 1년 내내 김치 담고 사는데...
    첫해엔 저도 김장 할때 김치 양념을 아주 많이 만들어 냉동실에 소분해 두고..
    파김치, 열무김치, 깍두기.. 배추김치 등등.. 무조건 그양념으로 해결을 해 봤죠.
    나쁘진 않았고 재료가 주는 맛이 다 다르니 모두 신나게 먹어주긴 했는데..
    저도 원글님처럼 과연 이게 김치 담그기의 끝인가... 하는 고민에 빠져..
    강순의님의 김치 책을 한 권 샀더랬죠..

    근데... 어려워도 너무 어려워....ㅠㅠ
    다시 제 맘대로 담그기로 돌아왔지만 위에 김치고수님 말씀처럼
    재료의 맛을 잘 살려줄 수 있는 양념을 참고하기 시작했어요.
    훨씬 나아지긴 했지만... 첫해에 느꼈던 고민과는 달리... 이젠 너무 어렵게 느껴져서 고민이네요.

    그래서 저는 11월 중순부터 하는 강순의님 김치 강의 신청해 뒀어요..
    처음엔 단순한 발효만 믿었다면... 이젠 맛있는 발효를 찾아나서는 단계라고나 할까요..
    물론 친정엄마 솜씨 따라가려면 많이 멀었지만..
    딱히 친정엄마 솜씨를 닮기보다는 저희 가족들의 입맛에 맞는 김치를 찾아야 할 것 같아서요..

    뭐 횡설수설이었지만...
    어쨌든 김치 담글때마다 선택 가능한 몇 가지의 옵션들을 잘 바꿔가며 시도해 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5065 이그림 보셨나요 초등학생이 그림 댓통 초상화 14 Drim 2013/12/24 3,660
335064 배우자 친구에게 반말하는거 안이상한가요? 8 ?? 2013/12/24 1,392
335063 하루섭취.소모칼로리어떻게 계산하나요?? 1 30후반미혼.. 2013/12/24 1,313
335062 결혼한 친구들은 도대체 왜 그럴까요? 16 친구 2013/12/24 4,713
335061 저 딸 낳고 싶어요..ㅜㅠ.. 14 음.. 2013/12/24 2,940
335060 전기요금 지난달 딱 반 나왔어요 35 너무 보람있.. 2013/12/24 9,863
335059 12/24자 장도리.jpg 5 맞네요 2013/12/24 1,589
335058 띠어리 코트 구매 2 사이즈 2013/12/24 2,371
335057 요 아래아랫글 220.70글 11 220.70.. 2013/12/24 593
335056 외국여행시 돈 소지하는 방법? 6 아듀 201.. 2013/12/24 2,163
335055 내일 아이들과 어디 가면 좋을까요? ㅁㅁ 2013/12/24 608
335054 한반도 초유의 여성 대통령 뽑은 것과 노동자 탄압 2 한국에서 2013/12/24 989
335053 6살 시조카 여자아이 선물 추천해주세요~ 1 궁금 2013/12/24 833
335052 홍콩여행 가기 좋은달은 몇월인가요? 2 ㄹㄹㄹ 2013/12/24 4,904
335051 급!! 서울과기대와 한양대 에리카 공대? 9 공대 2013/12/24 4,373
335050 중2딸아이와 함께 할만한 취미는 뭐가 있을까요? 3 즐거운 2013/12/24 866
335049 꼭답변좀)중학생 봉사활동이요 11 ... 2013/12/24 1,373
335048 철도 민영화 문제점 정말 쉽게 이해하기 16 코레일 2013/12/24 2,067
335047 물 뚝뚝 떨어지는 뒷베란다 땜에 미치겠어요...(제발, 조언 부.. 10 아리 2013/12/24 2,567
335046 초음파결과 2 갑상선 2013/12/24 999
335045 간단한 크리스마스 이브의 저녁메뉴 뭐가 있을까요? 5 메뉴 2013/12/24 2,186
335044 문재인의원이 말을 바꾼다고 ? 흐미 말도안되는 소릴... 6 꼬꼬닭 2013/12/24 1,081
335043 냉장고 청소 후기 2 4 냉장고 2013/12/24 2,982
335042 30대 남자의 사랑. 6 pasild.. 2013/12/24 5,640
335041 여기 자게에 기관 프락치가 좀 있는 것 같아요. 3 ..... 2013/12/24 8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