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 담그기에 대한 궁금증..

메론빵 조회수 : 964
작성일 : 2013-11-06 10:43:47
해외에서 홀로 살게되어
혼자 담가본적이 없던 김치를 혼자서도 척척...까지는 아니지만 한주먹씩 담가먹게 되었는데요,
이곳이나 네이버, 다음 등등 검색해서 만들어 보는데
뭔가 김치(간단히) 담그는 방법이 천편일률적이구나 라는 생각이 들어요.

주재료를 소금에 절인다.
풀(찹쌀, 밀가루..)을 쑨다->젓갈, 고춧가루, 마늘, 생강, 설탕류를 투입해서 양념장?을 만든다.
소금에 절인 주재료에 버무려서 끝낸다...

식으로
배추, 무우, 파, 부추.....대부분의 김치들을 위 방법으로 다 가능하다며
양념 한번 만들어서 냉동해두고 써도 편하다고 소개된 요리법이 많더라구요.

물론 저도...
간단한게 좋으니 위의 방법으로 하는데(제가 했지만 제법 먹을만한 김치가 되더라구요!),
김치는 다양하다고 생각했는데 양념법이 결국 다 비슷한것인가 싶어
의문아닌 의문이 생기더라구요.

원래 김치라는게...
저렇게 풀 쒀 양념 만들어서 버무리는게 보통이었는지,
다들 편하고 맛난 방법을 찾다 보니 서로 비슷비슷 해진건지...
딱히 답이 없는 궁금증이라곤 생각하는데,
요즘 제가 만든 파김치도 배추김치도 다 비슷한 맛이 되어가다보니 그냥 글 올려 봅니다..
IP : 211.10.xxx.234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김치고수
    '13.11.6 10:47 AM (118.39.xxx.140)

    김치담기 고수인데 파김치나 갓김치에는 생강을 사용하지 않아요
    자체에 향이 강해서요.되도록이면 찹쌀풀 사용해요.밀가루풀보다
    달착지근하고 밀가루향이 나지않죠...깍두기에는 반드시 새우젓
    이런걸 항상 지키면 좋은맛이 나요^^

  • 2. Turning Point
    '13.11.6 11:03 AM (124.194.xxx.222)

    저도 김치 담그기 초보정도인데요...
    3년 전에 김장 독립하면서 쭉 김치를 제가 만들어 먹고 있어요.
    김치없이 못사는 남편이랑 그 남편을 꼭 닮은 두 딸때문에....
    거의 1년 내내 김치 담고 사는데...
    첫해엔 저도 김장 할때 김치 양념을 아주 많이 만들어 냉동실에 소분해 두고..
    파김치, 열무김치, 깍두기.. 배추김치 등등.. 무조건 그양념으로 해결을 해 봤죠.
    나쁘진 않았고 재료가 주는 맛이 다 다르니 모두 신나게 먹어주긴 했는데..
    저도 원글님처럼 과연 이게 김치 담그기의 끝인가... 하는 고민에 빠져..
    강순의님의 김치 책을 한 권 샀더랬죠..

    근데... 어려워도 너무 어려워....ㅠㅠ
    다시 제 맘대로 담그기로 돌아왔지만 위에 김치고수님 말씀처럼
    재료의 맛을 잘 살려줄 수 있는 양념을 참고하기 시작했어요.
    훨씬 나아지긴 했지만... 첫해에 느꼈던 고민과는 달리... 이젠 너무 어렵게 느껴져서 고민이네요.

    그래서 저는 11월 중순부터 하는 강순의님 김치 강의 신청해 뒀어요..
    처음엔 단순한 발효만 믿었다면... 이젠 맛있는 발효를 찾아나서는 단계라고나 할까요..
    물론 친정엄마 솜씨 따라가려면 많이 멀었지만..
    딱히 친정엄마 솜씨를 닮기보다는 저희 가족들의 입맛에 맞는 김치를 찾아야 할 것 같아서요..

    뭐 횡설수설이었지만...
    어쨌든 김치 담글때마다 선택 가능한 몇 가지의 옵션들을 잘 바꿔가며 시도해 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8042 혹시 쌍*건설 다니시는분 계신지요.. 3 조심스럽네요.. 2014/01/02 1,774
338041 오늘 손석희 뉴스...문재인 의원님 출현하신답니다. 3 희망.. 2014/01/02 1,591
338040 컴퓨터가 갑자기 메모리가 부족하다고 하네요. 도와주세요ㅠ 4 컴퓨터고수님.. 2014/01/02 5,221
338039 JTBC특별대담...웃기는 두명 1 손전등 2014/01/02 1,198
338038 일산에 공증 저럼하게 하는 곳~~ 4 일산... 2014/01/02 1,409
338037 베란다 개조해서 썬텐실 만들겠다는데요 15 찝찝 2014/01/02 3,475
338036 묵은지가 너무 짜요 3 묵은지 2014/01/02 1,294
338035 미국온지 일주일,,, 먹고싶은건,,, 17 s 2014/01/02 3,891
338034 코스트코는 왜 사람이 미어터지는지 44 ㄴㄴ 2014/01/02 14,405
338033 처음 만들어보는 만두.이리 하면 될까요? 9 2014/01/02 1,303
338032 가계부 쓰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4 ... 2014/01/02 1,699
338031 사업자 현금영수증 소득공제에 대해서 여쭙니다 5 .. 2014/01/02 4,246
338030 여긴 천안.. 전철운행 어떤가요. 1 전철 2014/01/02 923
338029 일반 or 드럼세탁기 어떤게 더 나은가요? 6 고민 2014/01/02 8,204
338028 어제 jtbc토론 보신분들만 보세요 -유시민- 7 2014/01/02 1,550
338027 말을 직설적으로 하는 사람들 (인간관계) 25 gogoto.. 2014/01/02 18,943
338026 이 시간 난 회사에 있어야 하나? 집에 있어야 하나? 2 이제다시 2014/01/02 852
338025 얼굴당기고 싶어요~ 넘 쳐져서 (낙성대 매선침) ㅠㅠ 2014/01/02 1,451
338024 남자들 술먹고 하는 말은 다 진심이죠? 15 . 2014/01/02 13,371
338023 옥수수로 만들었다는 플라스틱 도마 도마 2014/01/02 976
338022 불교 입문은 어떻게 해요...? 18 불교 2014/01/02 5,483
338021 둘이 참 잘 논다 ^^ ... 2014/01/02 1,225
338020 대학생들이 카톡으로 정보를 주고받는다고요? .. 2014/01/02 800
338019 중고생 때 유치가 빠지기도... 12 유치 2014/01/02 4,667
338018 지금 미세먼지가 어떻죠? 지표가 다 다르게 나오네요?? 인천 2014/01/02 1,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