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수학 언제부터 해야하나요?

엄마 조회수 : 1,668
작성일 : 2013-11-04 17:43:38
초 2학년이예요.

선행 하나도 안하고 지금 배우고 있는 거 복습 예습정도 하고 있어요.
문제집 한권으로요.
학교에서는 단원평가만 보는데...얘 성적이 80에서 100 오락가락해요.
너무 쉬운것도 틀리고 어려운걸 틀리는 떄도 있고...

애가 수리력은 약한데 연습도 안되어있어요.  연산은 기탄 (곱셈 두자리x한자리)겨우겨우  하고 있어요.
공간지각력은  좋다고 하네요. 지능도 웩슬러 상위 3프로안에는 들어요.
길게 보면 수학머리는 있다고 보여지는데요.

공부하는 자세는 안잡혀 있고 제가 잡아서 잘 시키지도 못했네요.
어려서 공부 공부하면 역효과 날거 같고 아직 놀 나이인데  
불쌍한 생각이 들어서요..그저 지가 알아서 잘 해주었으면 하는 마음이고
언젠가 잘하기를 하는 마음인데 
그러면 안된다면서요?
저희 집안은 두루두루 공부는 잘 했고 했고  내세울건 학벌밖에 없는 
집안이라 걍 두면 잘하지 않을까...싶었는데..

영어는 5세부터 시작해서 최상위 레벨나와요. 영어는 제가 시키지 않아도 
잘했는데..수학도 그냥 내버려둬도 잘 할 줄 알았는데 발목잡는 느낌이네요.
친한엄마들이 영어 최상위 레벨들이라서 수학도 2년 씩 선행하고
유치원떄부터 연산하고..들 열심히 하고 모두 수학학원 보내고 있습니다.

저희는 고등학교때쯤 미국 보내서 쭉 공부하게 하려고 생각하고 있는데
그러면 학교 진도만  잘 따라가면 되지 않을까해서..
수능수학은 반복암기라지만 대학가서 하는 수학은 그 이상아닌가요?

올 겨울 방학부터 한학기 예습하고 문제집 성실히 풀릴까 했는데
선배 엄마들이 모두 수학학원 보내라고 하네요.




IP : 125.178.xxx.16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리본티망
    '13.11.4 5:46 PM (180.64.xxx.211)

    초4부터 수학못하는게 표가 나더라구요.
    그때부터 잘 잡고 매일 몇문제씩 꼭 푸는 습관 들이면 좋아집니다.
    그런애들이 쭈욱 수학 잘해요.

  • 2. loㅣ
    '13.11.4 7:07 PM (112.148.xxx.198)

    너무 많이 시키는데요?
    문제집 같은거 안 풀어도 단원 평가 90점 넘게 받는 아이들이 더 많을거에요. ;;
    웩슬러 검사는 잘 모르겠고, 지금 단원평가도 80점~90점 받는데 연산을 선행하면, 안될거 같아요.
    지금 하는 구구단이랑, 단위 변환하는 거 , 시계 읽는거부터 충실히 해야 할거 같아요.
    학원 같은거 보내지 말고 엄마랑 차근차근 하는게 좋아요.

  • 3. Pinga
    '13.11.4 8:53 PM (112.170.xxx.213)

    전문가들 의견이 수학은 아이큐수준에 따라서 다르게 접근해야 한데요. 잘하는 애는 선행해도 문제없고... 못하는 애는 자기진도 충실히... 머리에 따라 영어와 달리, 수학은 진도를 확 뺄수 없거든요. 괜히 밀어붙였다 수학을 더 싫어할수 있거든요.

    집에서 하기 힘드시다면 방학동안 학원 한번 해보시고 애가 잘 쫓아 가는지 확인해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4367 부정선거 도둑놈정권의 하수인인 경찰은 공권력이 아니다. 똑같은.. 2 그네코 2013/12/22 662
334366 변호인 조조부터 매진!! 3 대전에서 2013/12/22 1,859
334365 한국대학생활 이정도 까지 였는지 몰랐어요. 2 한국의 대학.. 2013/12/22 1,721
334364 압수수색 영장없이 처들어 갔답니다 5 // 2013/12/22 1,383
334363 찹쌀가루로 새알심만들때.. 5 새알심.. 2013/12/22 1,994
334362 소방관이 현관 유리를 박살내요. 7 미안해 2013/12/22 2,589
334361 서울시민 서대문역으로 가주세요 3 민영화반대 2013/12/22 1,201
334360 민주노총 위원장 긴급 호소문을 회람합니다. 3 녹색 2013/12/22 888
334359 민주주의에 공짜 숟가락 얹지 않기 위해 이거라도.. 2 보탬 2013/12/22 957
334358 우리가 뭘 해야할까요 2 ㅇㅇ 2013/12/22 836
334357 법륜스님말 너무 아프네요 58 어휴 2013/12/22 17,805
334356 빚 독촉문자 11 경우 2013/12/22 2,871
334355 이상호트윗 10 ... 2013/12/22 3,156
334354 이번에 친정아빠 팔순인데 여행지 추천 부탁 드려요 1 산수연 2013/12/22 1,692
334353 코스트코 씰리 라텍스 매트리스 어떤가요? 1 침대 2013/12/22 8,482
334352 엄마가 딸을 나무랐군요.ㅋㅋ 바그네 2013/12/22 1,383
334351 요리하기 즐거우신가요? 23 ㅇㅇ 2013/12/22 3,313
334350 일리머신 as 가능한곳 좀 1 일리 2013/12/22 3,216
334349 미국에서 가방 사오면? 15 조언 2013/12/22 3,464
334348 자취할껀데 서울에 집값싼 동네는 어디인가요? 10 러블리 2013/12/22 9,881
334347 경찰의 민주노총 강제 침탈에 대한 녹색당 논평 2 녹색 2013/12/22 931
334346 꼬꼬댁 교실 김민준씨 의외네요 2 꼬꼬 2013/12/22 2,019
334345 최루액 눈에 정조준해서 뿌리는 중! 19 이래도 되나.. 2013/12/22 2,845
334344 고기많이 드시면 몸에 뾰루지생기거나 염증 올라오시는 분 계신가요.. 1 저.. 2013/12/22 2,153
334343 송강호 씨 고맙습니다 3 변호인 2013/12/22 1,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