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빌라매매 좀 봐주세요..

응사바람 조회수 : 2,570
작성일 : 2013-10-31 01:17:29

뭐 딱히 물어볼때가 없어요..-,-

적은돈으로 작은빌라를 매입하려고해요.

맘에드는 빌라를 보고 왔는데.

집에와서 등기부등본 열람해보니.

근저당이 집값보다 많이 잡혀 있어요.

앞전 매매가는 1억8천~

현재시세는 1억1천

근저당은 1억1천4백(켁....) -.-; 농협

지금 급매로 1억1천에 내놨는데..

선뜻 사려는 사람은 없나봐요..

그와중에 그집에 사는 사람은 전세 같아요.. 이건 뭔지..

뭣도 모르는 제가 봐도 신기하게 돌아가네요..

말로만 듣던 깡통주택이지요?

그집을 사고 싶은데..

골치 아플까요?

전세가 아니니까 부동산에 위임하고 깨끗하게 해달라고 하면

문제 없나요?

이럴경우 계약금 중도금 잔금 어떻게 해야 하는 거예요?

일반적인 절차로 돈 지불했다가. 경매들어오면 새 되는 거죠?

싸다고 덤비다가 낭패볼까요?

그리고 부동산에서 나온 아줌마 명함이 무슨무슨 주택 분양팀이더라고요..

그럼 부동산 주인이나 직원이 아닌 건가요?  프리랜서?...

생각할수록 막 불안해요..

잘 몰라서 죄송해요..

소심해서 죄송해요

댓글 달아주시면 복 받으실거예요.-.-

IP : 110.10.xxx.251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0.31 1:21 AM (112.144.xxx.231)

    모르면 하지(사지)마세요.
    투자는 자기가 잘 알때 뛰어드는 거에요.
    나중에 당하고 나면 하소연 할 곳도 없습니다.

  • 2. 응사바람
    '13.10.31 1:28 AM (110.10.xxx.251)

    빠른 댓글 감사드려요. 투자 아니예요..

    엄마가 한글공부하러 다니시는 센터주변으로 집을 구하다 보니 위치적으로 좋은곳이라서 다만 끌렸어요.

    엄마가 전세살이 지긋지긋하다고 해서요. -.-;

    부동산업자한테는 물어봐야 괜찮다고 부추기니까.. 한번 알아는 보려고요..

  • 3. 자수정
    '13.10.31 1:29 AM (211.212.xxx.144)

    그집을 사고 싶으시다면 절대 계약금 먼저
    지불하지 마시고요.
    계약에 관계되는 당사자들을 다 불러모아서
    동시에 일처리를 학야한다고 합니다.
    은행에 설정되어 있는 대출금 정리와
    현 세입자 이주, 그리고 등기 접수까지. ..

    이런 일은 경험이 많은 중개사에게
    충분한 자문을 받으며
    진행해야한다고 하네요

  • 4. 응사바람
    '13.10.31 1:33 AM (110.10.xxx.251)

    '헉"님 굽신굽신의 표현이 거슬리셨나봐요.. ^^ 저 완전 소심해서 제목에서 굽신굽신 뺐어요...

  • 5. ---
    '13.10.31 5:43 AM (121.140.xxx.2)

    근저당 잡을 때 은행에서 실 대출금보다 조금 더( 10-20%?) 잡아놓는다고 들었어요. 그러니 실제 대출액은 1억1천보다 적을 겁니다. 다만, 자수정님 말씀대로 매매자에게 바로 돈을 주지 않고 이런 경우 중개업자와 매매자 매수자가 모두 은행에 함께 가서 대출금 완납되는 것 보며 서류 처리하셔야 합니다.

  • 6. 다주택자
    '13.10.31 6:48 AM (211.207.xxx.11)

    집이 여러채인데 적은 평수의 집들은 대부분
    자녀분들이 어르신들 살게 사 드리는 경우였습니다.
    빌라는 건축하자나 보수공사 때문에
    더욱 자세히 세심하게 알아 보고 구입하세요.
    실제 거주하는 사람들이 잘 알겠지요.
    위에 자세히 설명해 주셨기 때문에...
    믿을만한 부동산 중개인의 도움을 받으면 좋겠어요.
    매도인과 실입주인의 의견수렴이나
    조정하는 과정이 많이 힘들어요.

  • 7. 대출금
    '13.10.31 7:18 AM (223.62.xxx.104)

    은 시세와 정리된다고치고 살고있는 사람전세금은
    어찌되는건지.

  • 8.
    '13.10.31 8:37 AM (59.86.xxx.201)

    하루에 다 진행해야 합니다.
    우선 전세입자 주인 등기이전법무사 매수인 중개업자 다 같이 모여서 한꺼번에 진행하면 아무 무리가 없읍니다.
    근저당이 많이 있어서 전세를 저렴하게 들어갔을 수도 있으니깐요.
    전세계약서 원본 요구하셔서 복사해놓으시고요
    은행대출금이 그리 찍혀 있어도 원금을 착실히 상환하고 있었을 경우도 있으니
    얼마 남아 있는 지 확인하시고
    전세금이랑 다 계산하면 얼마되는 지 확인하세요

  • 9.
    '13.10.31 8:46 AM (59.86.xxx.201)

    그러니깐
    1. 대출금원금이 정확히 얼마인지 파악한다.---직접 은행에 전화하게 해서 금액을 알하보고 재확인 요망
    2.전세계약서 원본을 보고 전세금이 얼마인지 그리고 기간은 언제까지인 지 본다---원글님이 입주할 거면 기간을 확실하게 체크하기바람.
    3. 계약금같은 거 웬만하면 넘기지 말고 일사천리로 진행하기 바람.--- 하루이틀 늦어지면 어때? 하다가는 원글님 말씀처럼 새된다.
    4. 전세입자 계약기간이 거즘 종료될 거면 확실하게 명도확약서를 받아두고 진행하기 바람.
    5. 그리고 혼자 어케 해보시겠다는 생각은 하지 마시고 중개업자 통해서 진행하시기 바람.
    6. 분양팀 아줌마가 나왔다는 것 보니깐 부동산 경기좋을 때 분양 막 하다가 막판에 안나간 물건 파는 듯 함.

  • 10. 00
    '13.10.31 8:48 AM (223.62.xxx.107)

    하지 마세요.
    이 세상에 믿을만한 부동산중개인은 없어요.
    하려면 일단 근저당과 세입자는 어떻게 해결할건지 물어나보세요.

  • 11. ...
    '13.10.31 11:06 AM (180.67.xxx.253)

    부동산에서 나온아줌마라고 하는것 보니 광고지 보고 전화통화만하고 어디어디서 만나자~!
    이렇게 된 상황인가요?
    부동산을 직접 방문한게 아니신가봐요
    매매는 융자가 얼마가 있던 상관은 없습니다
    근저당권자인 은행에 직접 전화하셔서 경매진행 여부만 확인하시고
    가장 중요한 현세입자 명도만 잘 해결되면 문제 없을것 같아요
    찜찜한게 부동산 아줌마가 공인중개사가 아니라 브로커일수 있다는게 가장 걸리네요
    그렇게되면 나중에 문제가 생겼을경우 어디에서도 보상을 받지 못합니다

  • 12. ,,,
    '13.10.31 10:29 PM (203.229.xxx.62)

    부동산에 아는 법무사 있어요.
    소개 받아서 법무사에게 일임하고 수수료 주면 깨끗하게 해결해 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6994 '부자 증세' 의견 접근…1억 5천만 원~2억에 무게 9 세우실 2013/12/30 1,856
336993 일주일만에 12만, ‘독재1.9’ 흥행돌풍 이유는? 2 이명박특검 2013/12/30 1,645
336992 가끔 머리 한쪽이 지끈하면서 아픈데 병원가야할까요? 2013/12/30 1,035
336991 영어학원에서 같은반 수강생... 1 ... 2013/12/30 1,060
336990 식사 에티켓 없어져가는것.이것도 노화현상일까요? 5 2013/12/30 2,472
336989 김포공항에서 천안 가는 공항버스 알려주시겠어요.? 2 ㅇㅇ 2013/12/30 1,960
336988 올해 서울시 일반행정직 6 알려주세요~.. 2013/12/30 1,344
336987 철도발전소위에서 무엇을 논의한다는 거죠? 민영화반대 2013/12/30 522
336986 철도노조 파업 철회.... 12 ??? 2013/12/30 3,205
336985 고구마말랭이만 할건데 건조기 살까요? 13 2013/12/30 4,048
336984 사계절 정리하다 일년이 다 가네요 6 복받으세요 2013/12/30 2,212
336983 기립성저혈압 있으신분 계세요?.. 뇨뇨 2013/12/30 1,099
336982 바퀴벌레도 곤충인가요? 4 ᆞᆞ 2013/12/30 2,904
336981 학교급식은 저감도방사능측정기의 실험도구가 아니다, 고순도측정기 .. 2 녹색 2013/12/30 649
336980 앗싸~변호인 정오 무렵 500만 돌파!!! 22 좋은건 세번.. 2013/12/30 2,269
336979 나박김치 오늘 담그면 1월1일에 먹을 수 있을까요? 3 나박김치 2013/12/30 710
336978 홈쇼핑 견과류 어떤가요? 2 wini 2013/12/30 1,757
336977 중고생 분들한테 캐나다구스 사주는 집은 39 ... 2013/12/30 13,023
336976 컴퓨터 모니터에 인터넷 내려놓은것 창에 인터넷 내용이 안뜨게 할.. 9 인터넷본내용.. 2013/12/30 768
336975 요즘 아이들도 딱지를 잘 가지고 노네요ㅎ 1 엠디 2013/12/30 657
336974 다이노소어 어드벤쳐 영화 3d로 안 봐도 괜찮을까요? 2 다이노 2013/12/30 710
336973 정계정맥류 수술, 색전술? 2 수술 2013/12/30 2,385
336972 아이 성격이 저랑 맞는거 같아요 1 2013/12/30 785
336971 친구관계 고민 들어주세요... 고3딸 2013/12/30 645
336970 경찰 “철도노조 파업철회해도 체포·수사 계속하겠다” 4 세우실 2013/12/30 8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