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행시는 늦게 붙어도 상관없나요?

she 조회수 : 4,558
작성일 : 2013-10-30 15:52:34
지금하고 있는 일이 적성에 너무 맞지 않아서요
나이는 31살이고 행시를 준비해보고싶어요
행정공무원이 하는 일이 예전부터 꿈이었어요
열심히 해서 30대 중반에 합격해도 일하기에 괜찮을까요?
회사에서 상관이 더 어리면 불편해하니
합격해도 별로일까요?
IP : 175.223.xxx.63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10.30 3:54 PM (111.118.xxx.33)

    9급부터 준비해보시길...

  • 2. 재롱
    '13.10.30 4:00 PM (211.34.xxx.194)

    30대 중반이면 보통 7~8급이에요. 아예 7급으로 들어오시면 모르겠는데 나이차는 있을 것 같네요.
    학교 졸업하고 바로 시험본 사람들은 이르면 20대 후반에 8급을 달기도 하거든요.
    반면 나이제한 풀리고 40대에 임용된 사람들도 있고 다양해요.
    시험에 붙고 공직에 자신만 있다면야 나이는 상관없을 것 같네요.

  • 3. ...
    '13.10.30 4:03 PM (115.161.xxx.15)

    저랑 같은 고민하시네요. 전 32...

  • 4. ..
    '13.10.30 4:24 PM (121.148.xxx.81)

    9급도 엄청 힘들다는것 아실거에요.

  • 5. ..
    '13.10.30 4:39 PM (222.110.xxx.1)

    나이가 많아서 안된다는 규정만 없으면 되지않을까요?
    예전부터 행시 고민했던 분이시면 학벌도 어느정도 이상이고 어려운것도 당연히 아실것 같은데요.
    그런데 일이 엄청 고되요.
    공무원 칼퇴근이라는건 9급 정도나 그런것같고요 사무관 이상은 할일이 없어도 8시넘어까지 굳이 남아있게 만드는 부서도 많고 그래요. 위로 올라갈수록 야근도 많아지고 새벽 3시에 퇴근해서 7시에 출근하는 날이 있기도 하고요.
    또 미친듯이 공부해서 붙고, 업무강도 높은것에 비해 연봉은 정말 적다는 점도 고려를 하셔야 할 거에요.

  • 6.
    '13.10.30 4:39 PM (117.111.xxx.188)

    재롱님은 무슨 얘길 하시는건지?? 암튼 35전에 붙는 보장만 있다면야 시도해도 괜찮죠. 그게 아니라면... 리스크가 무척 크죠. 잘 생각해서 결정하세요

  • 7. 나이는
    '13.10.30 4:54 PM (58.103.xxx.215)

    나이는 크게 상관없어요.
    어린 친구들에게 유리하다고들 하는 PSAT 잘 치신다는 가정 하에.
    다만... 합격 이후 삶이 만족스러우실 지는 장담 못하겠네요.
    세종시 강제이전에, 박봉에, 높은 업무강도 등등.
    다른 직업도 모두 힘든건 마찬가지이겠지만,
    공익을 위해 일한다?는 사명감 없으면 불만이 더 클 수 있는 직업입니다.

  • 8. 아름드리어깨
    '13.10.30 5:31 PM (203.226.xxx.241)

    7급이 나으실지 몰라요 윗분 말씀하신대로 일찍 출근 늦게 퇴근이 일상화되어있어요 대기업보다는 연봉 적으면서 비슷하게 일하니 사명감도 필요하고요
    7급도 야근 꽤 있지만 그래도 잘 가면 웰빙 부처로 갈 수 있어요

  • 9. 지나갑니다
    '13.10.30 5:45 PM (210.117.xxx.109)

    흠...사시보다 붙기 힘든 시험이 행시인데요....일단 일차가 머리좋은 애들이 붙어요. 나이들수록 불리... 20대초반의 sky 상경대들이 우수수 떨어지는 시험. 인생 걸겠다 배수진치셔야 할 거에요. 그래도 붙는다는 보장 못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54049 평창에 쟤 나오면 4 저기요 2014/02/21 887
354048 지겹네요 지겨워 쭈루룩 등수놀이 1 뭐니 2014/02/21 589
354047 연아야. 고마워 1 .. 2014/02/21 622
354046 명백해도 소용없는 2가지... 2 목구멍이 꽉.. 2014/02/21 1,214
354045 지금 네이버실검색어 1위 연아야 고마워 2 싱글이 2014/02/21 838
354044 배성재 아나 트윗 13 배성재 2014/02/21 10,518
354043 이제 다시는 피겨를 안보게 될 것 같아요. 4 2014/02/21 612
354042 결과 받아들이는거 저뿐인가요? 83 d 2014/02/21 10,551
354041 연야양 점수결과가 빨리 나온것에 대해... 8 제니퍼 2014/02/21 2,239
354040 은메달, 잠이 안오네요. 5 다시금 2014/02/21 619
354039 해외 도박사들 개털 되었겠네요 7 그나저나 2014/02/21 2,256
354038 ESPN 피켜챕텈ㅋㅋㅋㅋㅋㅋ 3 ㅋㅋㅋㅋ 2014/02/21 1,946
354037 연아선수 가산점 제외하면 11 점수 2014/02/21 1,924
354036 여싱 프로그램을 소장한다면 누구 것? 2 연아야고마워.. 2014/02/21 666
354035 그런데.. 밴쿠버 때보다 에너지가 좀 덜 느껴지긴 했어요.. 116 휴우 2014/02/21 14,419
354034 누가 뭐래도 연아선수는 여왕입니다. 정말 고마워요. ㅠㅠㅠㅠ 2014/02/21 473
354033 판정으로 결정나는 것은 스포츠가 아니다 개포츠 2014/02/21 564
354032 술 왕창 마시고 잘랍니다 3 눈물 2014/02/21 491
354031 늘 이렇게 당해왔지요 뭐 3 ㅇㅇ 2014/02/21 481
354030 부정선거로 당선된 대통령까지 19 청정 2014/02/21 1,708
354029 연아야,,고마워,,,, 연아야 고마.. 2014/02/21 773
354028 러시아는 금이 필요했을 뿐이고,우리나라는 을의 나라일 뿐이고 7 ........ 2014/02/21 1,187
354027 2008 월드만큼 멘붕이 오네요..그래도 연아야 고마워 ... 2014/02/21 531
354026 프리도 클린했나요? 11 .... 2014/02/21 2,871
354025 이제 빙상연맹 병신놀음 스케일 구경할 차례인가요 1 ㅁㅁ 2014/02/21 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