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8개월된 조카 ㅡ상황좀 봐주세요

언니입장 조회수 : 2,550
작성일 : 2013-10-30 12:03:41
제 여동생 첫 아이가 28 개월이예요

그런데 항상
사탕 이나 먹을꺼를 계속달라 졸라요 안주고 설명하면 뒤로 넘어가근요 또 티비에 정신없이 빠져있어요 안 보여주면 난리나구요
아직도 기저귀 차요 쉬ㅡ라는지 응가 이런 표현 전혀없구 그냥 싸요 말을못해요 ㅡ엄마아빠 뭐야 하삐 오빠 한 열단어 정도 하고 제대로된 문장으로 말 못해요
볼때마다 항상 스맛폰으로 만화보고있어요 한 십센티정도로 아주 가깝게 봐요 ㅡ이것도 그만보게 하면 아주 난리나요
이런 상황 어떤가요
전 너무 걱정되거든요 말귀는 알아듣지만 행동을 고치지는 않아요
IP : 223.62.xxx.88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같은
    '13.10.30 12:15 PM (113.130.xxx.185)

    엄마입장으로서
    부모님께서 조금 문제 의식을 가지고 아이 양육에 신경쓰셔야겠어요
    그개월수면 자아가 생겨서 고집부리기는 하지만
    아직 말도늦고 배변훈련도 안되면 좀 많이 늦은편이에요
    그리고 하고싶은거 못한다고 땡깡부리는거도 받아주니까 하는겁니다
    규칙과원칙을세우셔서교육하셔야겠어요
    안그럼점점심해집니다
    그리고언어교육도많이신경써야하구요

  • 2. 원글
    '13.10.30 12:50 PM (223.62.xxx.88)

    전업이라ㅡ나름 신경쓴다고 키우는것 같아서 이런 조언하면 난리날것같아요 워낙 저랑 성격이 안 맞는 동생이라 ㅠ ㅠ 암튼 문제가 있는건 맞죠? ㅠ ㅠ

  • 3. 음..
    '13.10.30 12:55 PM (121.147.xxx.224)

    친언니 말도 안들을 동생이라면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언니가 알아봤자 속만 끓일 것 같은데요.
    저도 애를 오래 키운건 아니지만 저희 애들 어릴 때나, 그 무렵 또래 아이들과 비교해보면 아이가 늦네요.
    배변 훈련은 특별히 늦은건 아니고, 요샌 30개월 넘어서 떼기도 하니까요. 말이 많이 늦어요.
    그런데 그게 딱히 아이 두뇌에 문제가 있어서라기 보다는 주양육자.. 그러니까 동생 분..의 태도 때문인 듯.
    미디어에 많이 노출되어 있고 엄마나 아빠 등 주로 보는 어른이 언어 자극에 신경을 안쓰고 있어서 늦다면
    그건 엄마의 태도 변화만으로도 금세 고쳐지고 또래 아이들 금방 따라잡아요.
    고집부리는 것 역시 엄마의 훈육이 적절히 개입되지 않아서 그런 것 같구요.
    아직 세살이라 큰 문제는 아니지만, 문제는, 엄마가 계속 그런 식으로 키운다면 앞으로는 문제가 될거에요.

  • 4. 원글
    '13.10.30 1:02 PM (223.62.xxx.88)

    그러게요 ㅠ 식구들 오랜만에 다 모이면 주변사람들하고 놀고 웃을줄도 알아야하는데 맨날 스맛폰이니 ㅠ 제가 뭐라하면 동생은 ㅡ더 심하게 많이 보는 애들도 많다며 집에서는 안 보여준다고 하네요 하지만 제가 보기엔 평상시에도 아주 많이 보고 있는 듯하거든요 동생이 전혀 의식을 못하고 있어 더 걱정이예요

  • 5.
    '13.10.30 1:06 PM (121.188.xxx.144)

    에휴
    저도 잘 안되요
    매스미디어 보여주면
    일방적인 커뮤..로 뇌발달
    언어발달에 악영향 끼친대요
    왜 ㅂ3살까지 티비 보여주지 말랬을까요

    책만 읽혀주다가
    애아빠가
    티비 혹은 동영상 오래 보여주니

    애가 책 던짐

  • 6. 꼬마버스타요
    '13.10.30 1:16 PM (211.36.xxx.130)

    아이엄마가 육아를 잘 못 하고 있는 거 같아요. 저도 아이 키우면서 그 가정의 사정을 모르면서 이렇다 저렇다 훈수두지 않으려고 하는데, 그냥 글로만 보면 원글님 조카아이는 정말 말 못 된 육아로 크고 있는 거 같아요.
    남들보다 고집이 더 쎈 아이가 있기도 하고 그걸 인정하고 훈육 하는 게 바람직하지요. 하지만, 28개월인데 (특히 여자아이는 말이 더 빠르죠) 아직 단어로 말하고 그 단어 마저도 몇개 안된다고 하는 것도 문제 의식을 갖고 바라봐야 하구요. 기저귀 늦게 떼는 애들도 있어요. 늦다고 강요하지 말고 세돌 (36개월)까지는 천천히 해도 된다고 하기도 하구요. 하지만, 보통 배변 의사를 밝힐 수는 있는데 그냥 말도 안하고 싼다는 것도 늦되다고 봅니다.
    아이가 늦된게 잘 못 된 거는 아니예요. 빠른 아이들도 늦은 아이들도 있으니까요. 그런데 설명할 때 뒤로 넘어가기부터 하는 것과 TV와 스마트 폰은 정말... 아니에요 ㅠ.ㅠ 남의 집 아이지만 제가 너무나 안타깝습니다.

  • 7. 고딩맘
    '13.10.30 1:24 PM (182.209.xxx.202)

    막내가 30개월 여아 인네요
    언어는 아이마다 개인차가 있는 것 같아요
    지금 고딩어인 아인 2월생인데 6살 까지 거의 말을 못 했어요
    의사선생님과 상담 했더니 별 문제 없다고 하셔서 기다렸는데 괜찮아졌어요
    아이가 떼 쓰는 것은 엄마가 받아주니 그러네요
    엄마가 아이가 감당이 안되니 자꾸 스마트폰이나 사탕을 주는 것 같아 보여요
    앞으로도 아이의 양육 주도권은 엄마가 아닌 아이가 될 것 같아 보이네요

  • 8. 콜비츠
    '13.10.30 1:28 PM (222.101.xxx.65)

    저는 아예 일반 전화기로 바꿔버렸어요. 자꾸 보고싶어하니 아예 그런 기능이 없는 휴대전화로... 동영상도 찍어주면 그걸 보길래 찍고 얼른 다른 곳에 저장하고 목록에선 삭체시켜 버려요.
    이런 식으로 처음부터 자지러질 상황을 안 만드는게 더 편할 것 같아요. 있으면 아무래도 협상하게 되니까...

  • 9. ..
    '13.10.30 1:43 PM (118.221.xxx.32)

    다른건 몰라도 스마트폰이나 티비 보는건 부모가 버릇을 그리 들여서 그래요
    지금이라도 고쳐야 할텐대요
    대화도 많이 하고 데리고 놀아주고 해야 언어나 몸의 발달이 좋아지죠 그리 혼자 놀면 안되요
    차라리 어린이집에라도 보내는게 낫지요

  • 10. 그래서
    '13.10.30 1:46 PM (175.196.xxx.17)

    그래서 집에서 스마트폰이나.티비만 보여주면서 끼고있는 것보다는.어린이집 보내는게 더.나아요. 특히 아이들 발달면에서는요. 어린이집에서는 여러활동 많이해서 발달 자극을 많이 받을 수 있어요. 아마 원글님은 육아경험이 없어서 동생분에 원글님말을 잘 안듣는 것같은데 차라리 어린이집 보내라고 말씀해주세요.

  • 11. .........
    '13.10.30 2:34 PM (210.204.xxx.34)

    우리 애도 27개월이에요.
    아직 말 잘 못하고, 기저귀 차요...문제가 되나요?
    말 늦은건 아이마다 다르니 기다려줄거에요. 우리가 하는 말은 다 알아듣거든요.
    알아듣고 감정표현 할줄 알면 괜찮다고 했어요. 병원에서.
    혹시 그래도 불안하면 검사해보라는데 수면마취해야한데요...-_-

    기저귀 떼는건 저는 이번주부터 조금씩 가르치고 있어요.
    아이가 말을 할줄알면 의사소통이 수월하니 쉽게 뗀다고 알고 있구요.
    그래서 저는 천천히 하려구요. 좀 늦게 떼면 어떤가요?

    제가 좀 늦게 아이를 낳은편이라 주위 친구들보면
    4살정도쯤에 의사전달이 거의 확실히 되다시피할때
    아이가 기저귀를 안하고 있다가 변을 볼때는 "엄마. 응아하고싶어요. 기저귀해주세요"라고 하는것도
    봤구요. 급하게 불안하게 할필요는 없다고 봐요.
    아이에게 맞추면 되죠..

    문제는 스마트폰과 티비인데..
    울 애도 제가 직장에 다니는지라 시터이모님이 봐주시는데
    안먹으니까..억지로 안먹이면 일주일도 그냥 안먹는애예요.
    어쩔수 없이 뽀로로를 보여주며 먹이셧어요.

    지난달부터 아이가 조금 아주 조금 나아지면서 씹기 시작하고,
    좋아하는 반찬을 찝길래...
    뽀로로 -> 문화센터프로그램 동영상(트니트니키즈챔프) -> 음악 -> 식탁에 앉아 마주보고 먹기(이것도 어른의자에만 앉아요..) 단계로 티비 줄였구요.
    주말에 저나 신랑이나 둘다 피곤해서 티비보고 누워있고 옆에서 아이가 놀기 일쑤였는데
    영양제 챙겨먹으며 아이 밖에 데리고 다니며 놀고 있어요.
    한강공원이라든지..추워져서 뽀로로파크 같은 곳 데려다니구요.

    확실히 더 잘먹고..더 잘자네요...
    갑자기 확 바꾸려마시고...천천히 단계적으로 바꾸라고 조언을 해보세요..

    아이 떼쓰는건...한번 안된다하며 손 붙잡고 눈 마주치고 얘기한뒤에
    또 떼쓰면 무관심으로 일관합니다.
    엄마를 이길수 없다는걸 알게 해줘야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7342 박정희.. 기지촌 ‘미군 위안부’ 관리”…‘친필 자료’ 공개 5 독재자 2013/11/06 1,442
317341 독재미화’ 박정희 추모예배 교계 명의도용 후폭풍 1 박근령 2013/11/06 956
317340 휴대용 트로트 효도MP3 라디오 파네요 며칠전에 찾.. 2013/11/06 1,612
317339 계모에게 학대받다 죽은 그아이 13 써니큐 2013/11/06 4,086
317338 나는 이 정책엔 반댈세! 참맛 2013/11/06 529
317337 급해요 언니들. 요리에 청주 넣을때요 2 당근123 2013/11/06 828
317336 아메리칸 이글 옷 입어보신분 있으신가요? 3 ... 2013/11/06 958
317335 카이로프랙트 잘 하는 곳 추천 부탁 드립니다. 9 목디스크. 2013/11/06 2,683
317334 말을 계속하면 머리아픈가요? 4 df 2013/11/06 780
317333 외벌이 500인데 운동 학원비 많이나간다는글 2013/11/06 1,855
317332 김한길‧안철수‧심상정 한 자리 모여 대화 국정원 개혁.. 2013/11/06 724
317331 오늘이 수능시험인줄 알고...ㅠㅠ 11 쥐구멍 2013/11/06 2,789
317330 아는 분이 김치를 주셨네요? 답례로 뭐 해야 하나요ㅡㅜ 5 000 2013/11/06 1,257
317329 아남떡집 오메기떡 머리카락나왔어요 11 ㅇㅇ 2013/11/06 5,064
317328 지금 김수현 전지현 봤어요 25 대박 2013/11/06 32,847
317327 중동지역을 여행하게됬어요 8 ***** 2013/11/06 1,293
317326 애호박볶음.. 소금으로만 간하기가 힘들어요. 13 dd 2013/11/06 2,632
317325 현실을 바꾸려 희생한 내 동생, 삼성은 모욕 말라 수리기사 .. 2013/11/06 672
317324 사는게 팍팍한 20대입니다; 10 사는게 2013/11/06 2,955
317323 생강 갈아놓은거 ... 2 생강 2013/11/06 1,017
317322 박근혜 언제 귀국하나요? 1 질문 2013/11/06 901
317321 게임중독법이생겨야하는이유.. 3 게임중독자 2013/11/06 1,054
317320 전세재계약한지 얼마안됬는데 집을내논다네요 9 설움 2013/11/06 1,878
317319 KBS, 文 취재왔다가 “부정선거 방송하라” 시민들 항의받아 7 TV틀면박근.. 2013/11/06 2,198
317318 강아지 사료 어느 브랜드 먹이세요 17 나나30 2013/11/06 2,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