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청와대에서 회의도 안하다네요. 유신때도 회의가 필요없었죠

대리청정 조회수 : 718
작성일 : 2013-10-29 13:55:11

http://www.hani.co.kr/arti/politics/bluehouse/608918.html?_fr=mt2

 

수석비서관회의 4주째 중단 등
통상적 의사결정 시스템 무시
김기춘 등 몇몇 측근 의존 심화‘깨알 지시’, ‘만기친람형’ 등으로 표현됐던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에 미묘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집권 9개월째로 접어든 박 대통령이 정부의 통상적인 의사결정 시스템보다 비서실장 등 몇몇 핵심 측근으로 짜인 틀에 의존하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최근 가장 도드라져 보이는 사례는 매주 열리던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대수비)의 ‘유명무실화’다. 박 대통령은 취임 직후인 2월27일 첫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뒤 매주 월요일에 회의를 열어왔는데, 각종 현안이 산적해 있는 상황에서도 28일까지 한달째 ‘회의 실종’이 이어지고 있다. 10월 초 동남아 순방을 고려해도 지금까지 세차례나 대수비를 건너뛴 것이다. 과거 정부에서는 국외 순방 때를 제외하곤 대수비가 이처럼 오래 열리지 않은 전례가 없다.

청와대 안팎에선 김기춘 비서실장 임명 이후 대수비 생략이 잦아졌다는 점을 들어, 박 대통령이 핵심 측근인 김 실장을 통한 ‘대리통치 체제’를 전면화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청와대 참모들과 소통해 의사결정을 하기보다는, 김 실장을 통해 자신의 의중을 ‘집행’하는 데 더 무게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각 수석들이 필요한 경우 대통령께 따로 보고하고 있어 문제가 없다. 대수비는 오는 31일 열릴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여권의 한 인사는 “어떤 수석은 대통령 독대를 지금껏 1번밖에 못 했다고 한다. 생각보다 문제가 심각한 것 같다”고 전하기도 했다. 새누리당 관계자도 “과거 얼굴 보기 힘들었던 당대표 시절처럼 박 대통령이 몇몇 측근만 상대하는 ‘칩거형 리더십’으로 돌아갈까봐 걱정”이라고 했다.

박 대통령이 최근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 등 정국 현안과 거리를 둔 채 ‘대국민 메시지’를 내지 않고 있는 것도 이런 흐름과 맞물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박 대통령은 지금껏 대수비에서 대국민 메시지를 밝혀왔는데, 정국에 대해 발언하지 않으려다 보니 회의를 미루게 되고, 그러다 보니 측근들을 통한 의사소통이 더 잦아지는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이런 현상은 청와대뿐 아니라 내각 운영에까지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8일 총리의 담화는 정홍원 총리가 박 대통령의 공약과 같은 ‘책임총리’가 아니라 청와대의 지시에 따르는 ‘관리형 총리’라는 사실을 가감없이 보여줬다.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 채동욱 전 검찰총장에 대한 감찰은 끝났다고 했다가 불과 며칠 뒤 이를 뒤집은 일을 계기로 ‘책임장관제’가 물건너갔다는 지적도 늘고 있다. 김기춘 실장을 정점으로 한 사정기관장 재편 역시 소수 핵심 측근들에 의한 ‘사정 드라이브’를 예고하는 것이어서, 측근을 통한 박 대통령의 ‘대리 정치’가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IP : 116.39.xxx.87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4927 오징어볶음 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9 요리고수님들.. 2013/10/31 1,481
    314926 사과 상자 KG 좀 알려주세요 4 .. 2013/10/31 576
    314925 이게 화날만한 일인지 궁금해요 68 버쓰꺼 2013/10/31 13,133
    314924 서울교육청도 '영훈국제중 합격자 바꿔치기' 알고있었다 세우실 2013/10/31 489
    314923 아파트 중문 필요한가요? 7 고민한가득 2013/10/31 16,219
    314922 옛날 '자야'라는 과자 기억나세요? 17 추억 2013/10/31 8,315
    314921 어떤 신발이 이쁠까요? 우유부단 제 성격으로 못고르겠어요. 4 신발 2013/10/31 826
    314920 개미 퇴치 방법 좀 알려주세요! 4 개미 2013/10/31 1,320
    314919 슬퍼서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아요. 3 학대는 꼭 .. 2013/10/31 1,285
    314918 정의가 흘러넘치는 우리나라 대한민국 2 착했다 2013/10/31 502
    314917 어린이집 마지막날인데 뭐 드려야할까요? 5 야굴루트 2013/10/31 1,317
    314916 김밥말이 소독은 9 모듬김밥 2013/10/31 3,120
    314915 제가 잘못하고 있을까요? 2 ... 2013/10/31 629
    314914 전기장판, 온수매트 어떤게 좋을까요? 3 ,,, 2013/10/31 1,585
    314913 파마, 염색둘중 하나만 해야된다면 뭐해야될까요? 2 . 2013/10/31 1,543
    314912 종신보험 잘 아는 분들 좀 봐주시겠어요 4 aa 2013/10/31 942
    314911 공부'하느냐고' 못했다.. 이거 맞는 표현이에요? 14 정글속의주부.. 2013/10/31 1,449
    314910 돈입금해달라고 문자 보낼까요? 16 소심녀 2013/10/31 2,377
    314909 김진태검찰 총장 내정자 "검찰 특수수사 너무 거칠다&q.. 역시나 2013/10/31 475
    314908 세상에 이렇게 귀여운 생명체가 또 있을까요 5 집사 2013/10/31 1,426
    314907 중 고딩딸 둘 다 젓가락질을 바로 못해요ㅠ 27 젓가락 2013/10/31 3,052
    314906 오븐을 주방 뒷베란다에 설치해도 될까요? 6 네스퀵 2013/10/31 1,323
    314905 혹시 트위스트런으로 실내에서 운동하시는 분 계실까요? 1 실내운동 2013/10/31 632
    314904 민주당 “화성주민들의 지역개발에 대한 기대 때문에...” 4 2013/10/31 787
    314903 가장 큰 행복 3 안나파체스 2013/10/31 6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