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제가 낭비하며 사는건가요..?

낭비 조회수 : 2,597
작성일 : 2013-10-24 13:25:15

40대 후반 부부이구요.

남편이 세후600 에서 700을 가지고 옵니다.

700이 넘을때도 있구요.

9월엔 500정도 더 가지고 왔어요.

고딩아이가 하나..작은 학원 하나 다니고있구요...본인이더이상은 원치않아서..

집은 자가이구요.

남편 차 한대이고..전 터벅이.

오늘 카드 인뱅하다가 따져보니 한달 적금이 200 밖에 못하네요.

보험 50

국민연금, 의보..30

통신비 20만

차 경비 30만

기부 5만

대략 생각나는게 이정도..

 

한달에 부부가 쓰는 카드가 평균 300정도.

카드 청구서를 보니 마트 이용료가 젤로 많고 병원비..그외에 외식비..커피전문점 순..

이달엔 남편 피복비가 25만이군요.

마이너스를 쓰는데 오늘 카드 결제하고 나니 통장에 25만원 들어있네요.

담달 10일 까진 통장이 마이너스로 돌아서게 생겼어요.

 

세식구뿐인데 .집안이 단출해서 각종 경조사비도 안들어가요.

그런데 가계부가 저모양이니 제가 뭔가 잘못하거 있는건 아닌지 하는 생각이 들어요.

 

IP : 125.178.xxx.133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경험
    '13.10.24 1:51 PM (211.114.xxx.169)

    카드비가 많네요.
    600에서 카드비 300 빼면
    실제로 생활은 300으로 하는 거잖아요.

    이번달 카드비 300 갚았다고 다 갚은 것 아니지요.
    할부일 경우 다음달에 그만큼 또 나오고....

    상여금 나올 때 과감하게 카드값 다 갚고
    다시는 쓰지 마세요. 절대로.
    안 그러면 마이너스 통장까지 쓰고
    그러다 보면 계속 빚만 늘어나요.

  • 2. 마트
    '13.10.24 1:59 PM (114.204.xxx.151)

    대형마트는 왠만하면 안가시는게 좋아요. 동네에 중소형마트가 오히려 더 싼게 많을때가 많아요.
    큰마트만 자주 안가도 식비가 제법 절약이 되더군요. 그리고 세제, 휴지같은 생필품종류는 인터넷이
    더 싸구요.

  • 3. 카드비가 넘 많네요
    '13.10.24 2:05 PM (1.235.xxx.253)

    200으로도 식비에 소소한 피복비 병원비가 될 것 같은데...
    외식을 좀 비싼곳에서 자주 하시나봐요.
    커피전문점비가 카드 이용액중에 4등이란 것도 놀랍구요.

  • 4. ..
    '13.10.24 2:08 PM (121.160.xxx.196)

    세후라면서 국민연금.의보는 왜 비용으로 따로 계산하는지 궁금하고
    보험료는 적금용 보험 아니고 실비보험이라면 너무 많은것 같고요.

  • 5.
    '13.10.24 2:18 PM (125.178.xxx.133)

    세후라는게 우리에겐 좀 애매해요..
    사실 원천징수를 안해요.
    자영업 비스므리..아주 안하는건 아니고 ..좀 복잡하네요.
    암튼,
    부끄럽게도 가계부 안써요.
    보험은 실비, 암,종신 토탈이구요.
    커피값이 좀 과하네요..제가 봐도.
    대형마트 가도 20만원 안넘길려고 신경쓰고..아무래도 현금 써야겠지만
    쓰는 만큼 적금 이자로 환산되어 시중 이자보다 훨 높아서 카드를 쓰게 되요.
    댓글들 읽고 급 부그러워집니다.
    이젠 계획하고 계산하고..이런것들이 복잡해서 싫으니 어쩌나요.

    가계부...를 써야할까봐요.
    그럼 좀 나을래나요...휴..

  • 6. 가계부
    '13.10.24 2:29 PM (125.240.xxx.9) - 삭제된댓글

    스마트폰 쓰시면 인터넷 가계부 써보세요.
    여기서 추천받은 똑똑가계부 쓰는데 카드 지출 바로 입력되고 항목별 정리가 되서 좋아요.
    다른 어플들도 기능 비슷하고 좋은거 많으니 써보세요.
    그리고 거의 카드비=생활비인것 같은데 과한것 같진 않아요.
    가계부 쓰다보면 줄일수 있는 항목이 보이겠죠.

    그리고 돈은 많이 벌면 벌수록 많이 쓰게 되는것 같아요.
    이왕이면 더 좋은거를 사게 되죠.
    지금은 그래도 많이 버시는것 같아서 저정도 써도 괜찮겠지만,
    소득이 줄어들었을때 어디서 줄여야 할지 정도는 평소에 생각해야되요.
    소득이 많을땐 비싼 커피도 자주 마시게 되던걸요.

  • 7. 보험, 연금
    '13.10.24 3:22 PM (211.109.xxx.177)

    합치면 80이네요, 원글님 보험료 금액(50만)으로 보아 저축성 보험 같아요. 그러면 저축액 200 더하면 총280이네요. 월평균 수입 600만원 정도로 잡으면 반정도 저축한다치고 300만원 채우시면 될 듯해요. 그렇게 보면 그렇게까지 낭비는 아니라고 봅니다. 저라면 월 최소 저축 300만원 잡아놓고 비정기적 초과수입도 무조건 저축하겠어요~

  • 8. 댓글 보니
    '13.10.24 3:25 PM (211.109.xxx.177)

    보험이 저축성은 아니군요. -_-

  • 9. 세후가 아니고 애매한 경우라면
    '13.10.24 6:24 PM (220.94.xxx.138)

    실제 수입을 조금 적게 잡고 생활하셔야 되는 것 같네요.
    저축도 적게 하시는 건 아닌 것 같고..
    다만 마이너스 쓰시면서 카드값이 300정도 나온다면 조금 과한 것 같아요.
    소소하게 지나가다 마음에 드는 옷가지나.. 먹고 싶은 디저트 쉽게 구입하시고
    외식도 쉽게 하셔서 약간 지출이 많으신 듯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1140 (급)진로고민좀요(대학) 6 선택 2013/12/16 789
331139 '안녕들하십니까' 자보에 일베회원 반발 움직임(종합) 外 5 세우실 2013/12/16 1,125
331138 팔이 너무 저려요 4 원인 2013/12/16 1,113
331137 아들 성격 7 2013/12/16 1,245
331136 잠* 의료기..무슨 의료기 하는거 효과있나요? 이시국에 ㅠ.. 2013/12/16 954
331135 이대와홍대중 34 학교선택 2013/12/16 3,288
331134 박정희의 딸......저대로 가만히 두어야 하나요? 18 ㅜㅜ 2013/12/16 2,233
331133 외신도 미국 가스통 할베 주목 3 light7.. 2013/12/16 1,109
331132 자동차 배터리 방전됐네요 7 어쩔 2013/12/16 1,727
331131 때려부수는 남편 26 ........ 2013/12/16 4,655
331130 길에 나가보니... 1 판박이 2013/12/16 861
331129 의료민영화된거죠! 실비보험비 넘 약한거겠죠. 14 궁금 2013/12/16 3,477
331128 예비고1인데 영어학원 어떤 커리로 하는곳 보내야할까요? 11 예비고1 2013/12/16 1,929
331127 우리나라 외교부가 독도를 다케시마 표기 허용 했다구요??? 6 익명이요 2013/12/16 1,237
331126 2살 6살 아이들 데리고 괌 pic어떨까요? 3 아빠 어디가.. 2013/12/16 1,649
331125 자녀를 대학에 보내시거나 합격시키신 분께 묻습니다. 8 중등맘 2013/12/16 2,135
331124 손 차가우신분 어떻게하시나요? 4 ^^ 2013/12/16 1,360
331123 한국은 더이상 애를 그만낳아야, 인구는 2천만명이하로 줄여야 2 korea 2013/12/16 1,870
331122 완전 급한데 영작좀 부탁드려요 6 ... 2013/12/16 673
331121 주유시 체크카드가 2번 결제가 되었는데요 5 어이없음 2013/12/16 1,703
331120 사실혼 관계시 배우자 사망 40 -- 2013/12/16 17,232
331119 의료, 철도 민영화 개념에 대해 주변에 세 줄 요약으로 알려줄건.. 4 ..... 2013/12/16 1,039
331118 방은진 감독..집으로가는길.. 9 집으로가는길.. 2013/12/16 2,680
331117 12월 16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3/12/16 800
331116 스키장 1 궁금 2013/12/16 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