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안철수, 돋보인 정책 '질의'다른 의원들과 차이 ...의사발언 보다 정책에 중점

탱자 조회수 : 772
작성일 : 2013-10-22 09:07:45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으로 국정감사에 한창인 안철수 의원의 행보가 눈길을 끌고 있다. 이번 국정감사에서 안 의원은 여타 의원들과 다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말하는 방식은 물론 발언의 빈도, 또 주장 내용과 깊이에 있어서도 두드러진 모습이다. 일단 안 의원은 국감 현장에서 ‘의사 발언’보다는 ‘정책 발언’에 집중했다.

 

그는 자신에게 주어진 7분의 정책 발언 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며 맡은 일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정책 발언 시간을 활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얕지만 많은 정책을 파고 드는 것이고 두 번째는 한 가지에 집중하는 것이다. 안 의원의 발언 방식은 후자에 집중해 있다.

사안 하나하나에만 집중하다보니 논리가 엉키는 일도 적고 피감자의 반박도 많지 않았다. 또 그의 발언에는 제언적 요소가 다분히 담겨 있다.    ▲ 안철수 의원이 질의하고 있다.

 

 

잘못만 지적하는 게 아니라 개선할 점은 무엇인지, 또 개선을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할 지도 제안하고 있다.

18일 열린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감에서 그는 7분을 최대한 활용해 비급여 체계에 대한 정책을 제언했다.

안 의원은 “비급여는 건보재정과 결부돼 쉽게 해결 못하지만 문제가 심화되면 건보제도의 무용론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하며 ▲비급여 항목의 표준화 ▲표준화된 진료 항목에 대한 병의원간 가격비교 내용 공개 ▲약재 관리 체계의 개선을 제언했다.

 

소수의 주제에만 집중하며 주장하는 안 의원의 발언 방식과 내용은 감사 받는 사람들에게도 깊은 공감을 받고 있다.

이날 심평원 강윤구 원장은 임의비급여의 신속한 제도권 진입절차 마련을 당부하는 안 의원의 말에 대해 "바람직하다"고 공감하며 "이런 부분은 우리도 검토하겠지만 정부와 협의해 대안이 제도권으로 들어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14일 치러진 보건복지부 감사에서 안 의원은 노인요양시설의 지역 간 서비스 불균형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안 의원은 “지역간 격차는 노인요양수급자들이 이용하는 서비스가 제한되는 것”이라며 “복지부는 적정서비스 공급에 관한 기준을 만들고 공공시설의 설립을 유도하거나 취약지역에 대한 지원방안을 마련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복지부 이영찬 차관은 "이제 제도 도입 5년이 된 만큼, 지역별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안 의원의 지적에 수긍했다.

 

정책 발언에만 집중하는 안 의원의 태도는 17일 질병관리본부의 국정 감사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이날 감사는 ‘여당의원 대응방안’이라는 자료로 인해 차질이 빚어졌다.

개회부터 민주당 의원들은 복지부가 여당을 위해 만든 자료를 지적하며 “사과하라고 주장했고” 여당과 복지부는 뜨뜨미지근한 반응을 보였다.

이런 여당 측의 태도에 민주당 의원들은 “감사를 할 수 없다”며 자리를 박차고 일어났고 결국 감사는 오후 4시가 넘어서야 재개됐다. 민주당과 새누리당 의원들은 감사 중에도 자료를 놓고 논쟁을 벌였다.

 

많은 의원이 정책 발언 시간 뿐 아니라 의사 발언 시간을 사용해가며 감사 시간을 늘였지만 안 의원은 이날 아침부터 저녁 무렵까지 공식 발언을 한 마디도 하지 않았다.

안 의원이 보인 이날 침묵의 이유는 자신의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됐다.

안 의원은 “야당의원 발언 문건 때문에 국감이 파행을 빚고 있다”며 “물론 정부부처가 야당 의원의 국감 질의에 대비하는 건 잘못된 일이 아니지만, 야당 의원들에 대한 대응 자료가 담긴 문건을 새누리당에 전달했다는 것은 감사를 방해하는 심각한 행위”라고 지적했다.

 

또 그는 “국감은 시나리오대로 응답을 하는 약속 대련장이 아니고 입법부가 행정부의 국정을 감사하는 곳”이라며 “우리 위원회가 본연의 자리로 돌아가 남은 감사 기간 동안 민생을 보듬는 정책 국감을 만들어 내야한다”고 밝혔다.
 

http://www.newsmp.com/news/articleView.html?idxno=111810

IP : 118.43.xxx.3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안철수 성명
    '13.10.22 9:09 AM (118.43.xxx.3)

    진실규명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요구한다.


    군사이버사령부 요원의 대선개입 의혹과, 검찰의 추가수사로 밝혀진 국정원의 정치개입은 넘어서는 안 될 금도를 넘어선 것이다. 하지만 정부는 국정원대선개입 의혹 특별수사팀장을 업무에서 배제시킴으로서 진실을 축소 은폐하려는 의도를 드러냈다.

    윤석열 팀장의 업무 배제는 검찰중립성에 대한 침해이며 진실규명을 어렵게 하는 일이다. 군과 검찰 국정원의 정치적 중립은, 정부가 아닌 역사와 국민에 대한 의무이며 역사에 대한 서약이다.

    박근혜 정부에게 분명히 요구한다.

    첫째, 윤석열 팀장을 즉각 업무에 복귀시키고 검찰의 독립적인 수사와 공소유지를 보장해야 한다.

    둘째, 만약 다른 이유를 들어 업무 복귀를 받아들이지 않겠다면, 현재의 검찰수사를 중지하고 특별검사를 통해 진실을 규명하는 것이 국민의 요구에 부합하는 것이라 믿는다.

    진실은 늘 상식에 있다. 만약 정부가 당당하다면 진실규명을 조금도 주저할 이유가 없다. 정부는 당당하게 진실을 규명하고 관련자들을 엄중하게 처벌해야 한다.

  • 2. 야권 차기 주자 지지율
    '13.10.22 9:11 AM (118.43.xxx.3)

    안철수 22.3%
    손학규 9.9%
    박원순 9.7%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49264 朴 ‘국정원 수사팀’ 분해→법원, 김용판 무죄 선고 1 권은희증언 2014/02/06 673
349263 오전엔 언론인→오후엔 정권의 입…막장드라마 3 민경욱 2014/02/06 778
349262 윤진숙 해수부장관 전격 경질 13 zzz 2014/02/06 3,247
349261 얼굴도 모르는 사람과의 인터넷상 거래는 꺼려지지 않나요? 13 ㅁㅁㅁㅁ 2014/02/06 1,452
349260 채널돌리다가 티븨 조선을 보니 호빵맨 2014/02/06 708
349259 서운해요... 3 z 2014/02/06 1,174
349258 긴급생중계 - 촛불집회, 박주민 변호사, 정청래의원, 이상규의원.. lowsim.. 2014/02/06 782
349257 정수기물 세균 뉴스보고... 1 언저리언덕 2014/02/06 1,610
349256 국어사전에 부추김치 2014/02/06 731
349255 아토피 아이 라면 너무 먹고 싶어하는데, 한살림라면 괜찮은가요?.. 5 라면인건가 2014/02/06 2,415
349254 어제짝보니 8 WKR 2014/02/06 1,776
349253 라돈 테스트기로 부엌 테스트했는데 20 허걱 2014/02/06 5,457
349252 대추토마토 어디서 사서드세요? 2 아이짜 2014/02/06 911
349251 김용판이 무죄면 원세훈은 개선장군 7 손전등 2014/02/06 648
349250 월요일 mbc 아침 프로에 부부요가 aloha 2014/02/06 1,018
349249 홈쇼핑 테팔 중국산 어떨까요? 파티 2014/02/06 4,558
349248 이 친구 그만 봐야할까요 23 ㅠㅠ 2014/02/06 7,499
349247 김용판 무죄! 대한민국 정의 추모서명에 동참해주세요 10 나라도아니다.. 2014/02/06 985
349246 보험 텔레마케팅 전화 오늘부터 받으셨나요? 전화영업 2014/02/06 750
349245 중간 사이즈 가방 하나 골라주세요~ 중간사이즈 .. 2014/02/06 681
349244 올레티비라이브랑 올레티비스카이라이프 둘중에서 어떤게 좋나요? 1 질문 2014/02/06 6,913
349243 프랑스 사시는 분. Paul 빵집이 파리바게트 레벨인가봐요? 20 --- 2014/02/06 5,851
349242 전세중도금을 나갈 세입자 통장에 직접 입금 요청 5 전세 2014/02/06 1,580
349241 크리스탈이수정인가요 4 파란수국 2014/02/06 1,429
349240 공무원도 50 이면 그만두는 추세인가요? 6 요즘 2014/02/06 4,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