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철도 산업 발전 방향, 4대강과 어쩜 이리 닮았는지

철도의 눈물 조회수 : 607
작성일 : 2013-10-21 18:18:13

신간] “철도 산업 발전 방향, 4대강과 어쩜 이리 닮았는지...”

18년 경력 현직 기관사, 『철도의 눈물』을 닦다

김지혜 기자  |  kukmin2013@gmail.com
 
 
 

지난 6월 27일, 철도노조는 89.7%라는 압도적인 찬성률로로 총파업을 가결했다. 보수언론은 ‘국민의 발을 볼모 삼았다’며 이들의 파업을 비난했다. 하지만 정작 “달리고 싶은” 것은 철도 노동자들이었다. 이들이 길을 따라 달리기를 멈춘 이유는 단 하나였다. 수서발 KTX 경쟁 체제 도입을 시작으로 한 정부의 철도 민영화 계획.

18년 동안 기차를 ‘몰아’온 기관사가 펜을 든 이유도 이 때문이다. 숙련 기관사이자 사회공공연구소 철도정책 객원 연구위원인 저자 박흥수 씨는 저서 『철도의 눈물』을 통해 “정부가 추진 중인 철도 산업 발전 방안은 4대강 사업과 놀라울 정도로 닮아 있다”고 말한다.

저자는 “4대강 사업은 대운하가 아니라며 국민을 속였듯이 철도 역시 민영화가 아니라고 말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며, “만약 그들의 정책이 실현된다면, 4대강이 그랬듯 철도 또한 되돌릴 수 없을 만큼 황폐화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책을 통해 국토교통부 관료와 국책 연구원들이 주장하는 ‘효율’을 중심으로 한 경영 기법을 현장에서 쌓아온 지식과 관점을 통해 날카롭게 비판하며, 그 허상을 지적한다. 또, 민영화 안이 실현될 경우 벌어질 일들에 대해 조목조목 따지고 들어간다.

저자가 지적하는 내용은 이렇다. “철도 전문가들은 철도를 기차와 선로와 신호가 하나인 시스템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 한다. 철도 안전을 위해 관제권을 독립시켜야 한다는 국토부의 주장이 설득력을 가지려면, 세계 최고 수준의 정시 운행율과 무사고 운행을 자랑하는 일본 철도가 왜 관제권을 운영 기관이 갖고 있는지 납득시켜야 한다.”

‘철도 오타쿠’라고 불릴 만큼 해박한 철도 지식을 가지고 있는 저자가 풀어놓은 에피소드들은 이 책의 또 다른 매력이다. 저자는 “대부분의 역 승강장에는 시민들을 안내하고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역무원들이 서 있”는 일본의 사례를 들며, 승객의 안전을 걱정한다. 또, “신선한 제철 음식, 우리 농산물로 만들어진 도시락을 먹을 수 있다는 ‘고정관념’이 생겼으면 좋겠다”는 낭만을 열차 가득 실어보는 꿈도 꾼다.

제 2차 철도 산업 발전 기본 계획에 투입되는 철도 에산은 49조 4천억 원. 22조 원이 투입된 4대강 사업이 재앙으로 드러나고 있는 지금. 인천공항 철도, 민자 고속도로, 지하철 9호선, 그리고 KTX로 이어지는 철도 민영화 사업. 저자는 책을 통해 묻는다. 과연 누구를 위한 민영화인가.

http://news.kukmin.tv/news/articleView.html?idxno=1769
IP : 115.126.xxx.90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7996 미샤세일기간이네요 추천해주실 상품 있으셔요? 12 보석비 2013/12/05 4,021
    327995 원서만 내면 된다는 학교도 떨어졌어요 6 너는 2013/12/05 2,514
    327994 다이어트 보조제 가르시니아 추천해주세요. 2 다이어트 2013/12/05 2,392
    327993 김치냉장고를 구입했는데 아직 배달이 안오네요 ㅠ 4 ㅠㅠ 2013/12/05 658
    327992 직구하시는 분들(랄프로렌) 1 ... 2013/12/05 1,688
    327991 캐나다 계시는분께 질문 7 캐나다궁금 2013/12/05 1,491
    327990 전기렌지가 꺼졋다 켜졋다 하나요? 3 ... 2013/12/05 1,116
    327989 천만원 빌렸는데 이자는? 3 .. 2013/12/05 1,374
    327988 내용 없어요 2 마음 정리 2013/12/05 592
    327987 생리 3 두통 2013/12/05 850
    327986 식기세척기 지멘스 생각하는데요 8 식기 2013/12/05 1,674
    327985 돌아가신 분 사진,찍으면 안되는 걸까요? 13 아까운 순간.. 2013/12/05 7,208
    327984 한국, 이어도 관할권 인정 기회 스스로 철회 2 참맛 2013/12/05 762
    327983 오메가3 유통기한 지난 거 먹어도 될까요? 2 2013/12/05 7,760
    327982 '한부모 가정 아이' 공개한 학교, 처벌 절차 진행 11 세우실 2013/12/05 2,493
    327981 부모님과 함께가는 환갑여행.. .... 2013/12/05 529
    327980 usb 메모리를 찾아준 데 대한 사례, 얼마면 좋을까요? 5 질문 2013/12/05 1,063
    327979 음식물 쓰레기 기계 2 ㄷㄷ 2013/12/05 788
    327978 손석희 뉴스 보고 싶은데...채널을 모르겠어요. 3 뉴스 2013/12/05 500
    327977 박근혜 요즘 속이 말이 아닐겁니다. 38 잠도안와 2013/12/05 3,499
    327976 안녕 김탄 ! 본방 2013/12/05 1,065
    327975 키 190정도의 남성이 옷 사려면 어느 브랜드에 가야 할까요 4 궁금 2013/12/05 1,272
    327974 예전의 남자친구에게서 연락이 왔어요. 13 꺄오 2013/12/05 3,792
    327973 독일신문에도 불법대선 기사 올라왔네요!!! 17 와우! 2013/12/05 2,076
    327972 아름다운 연아.. 12 연아 2013/12/05 2,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