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다시피 순자산=자산-부채
작년통계인데 빚공화국 답네요
2억미만 가구=하위61%
5억이상 가구=상위13%
3억이상 가구=상위26%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4/1/index.board?bmode=read&bSeq=&aS...
아시다시피 순자산=자산-부채
작년통계인데 빚공화국 답네요
2억미만 가구=하위61%
5억이상 가구=상위13%
3억이상 가구=상위26%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4/1/index.board?bmode=read&bSeq=&aS...
자산이란게 부동산 포함인건가요‥?
저거 제대로 한건가요? 서울에 30평 아파트 한채만해도 5억넘는데 아무리 부채 뺏다하더라도 5억이상이 상위 13퍼센트라니???
서울에 왠만한 아파트가 5억은 다 넘을텐데 아무리 대출 끼고 사도 그렇지 그게 13% 라는게 ㅠㅠ
그리고 그 5억 이상에는 5000억도 있고 5억 1000도 있다는게 함정이죠
저도 이거랑 비슷한 통계 본적있어요
십억 이상이 6%인가 해서 놀랐어요
그만큼 가진사람이 왕창 가졌다는 논리겠죠
빈부 격차가 크다는거고 저 13%에서도 엄청난 격차가 있는거죠.
원글님은 지금 평균의 함정에 빠지신거예요.
자산은 부동산 동산 모두 포함됩니다.
내가 13% 에 속하더라도 12.5%에 다가 가기엔 갭이 크고 가능성 없을수도 있어요.
저 1억안되지 싶어요....다 날아갔숑~~ 정신도 날아가나봐요...................
3억1천에서 부채빼야죠
2억6천이네요
저 숫자가 이해 안되죠?
대한민국 빈부격차가 얼마나 심한지 제대로 아시면 거짓이 아닌걸 아실겁니다.
상위 10%가 총자산의 85%를 차지하고 있는 곳이 대한민국이예요.
그중 50%는 상위 1%가 갖고 있고요.
평균소득은 의미 없는거 같아요
새누리당 의원 평균 자산 낼때 정몽준은 뺀다잖아요~ㅎㅎ
상위 100명만 빼도 달라질듯
그래서 정부나 언론에서 발표하는 GDP니 뭐니
평균치라는 게 서민들에게는 숫자놀이이고 허상인거에요.
놀랍네요.
1억미만이면 서울에서 제대로된 집에 거주하기도 어려운 금액인데
우리나라 가구의 40%가 그상태라니..
대부분 빚으로 사는 사람이 많다는 말인데,,,
한편에서는 외제자동차와 명품, 여행과 미식탐방이 홍수를 이루고
다른 편에서는 빚과 가난이 통계속에 솜어있는 현실이네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한가지 심각한 문제가 뭔지 아세요?
울나라 대다수의 국민들 자산이 부동산에 지나치게 치우쳐있다는 사실이에요
부동산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상황에서 지금의 저 평균자산도 거품일 수 있다는겁니다.
imf 때만해도 개인저축율이 20%넘었는데 지금은 저축율 2.5%랍디다.
그 사이 많은 개인이 빚더미에 앉았고요.
현실이 이렇습니다.
저는 실감해요. 1억도 가지지 못한 가정이 주위에 훨씬 많거든요. 빈부의차가 정말 심각하네요. 어지간한 경기 서울 아파트들 거의 3억은 넘을텐데 그걸 가진 사람들은 소수네요.
외국에서 발표한 리포트에 선진국과 후진국간의 격차는 줄지만, 선진국내 빈부격차는 갈수록 커진다고 하더군요.
제주변에 결혼하는 젊은 직원들 서울시내 전세집 마련해서 하면 그래도 중상은 되는것 같은데, 저 결혼하던
7년전쯤에만도 저도 그렇고 집사거나 받는 커플도 꽤 있었거든요.
물가오르니 소득은 적어지고, 자산가치 떨어지니 빚은 늘어나고;;;
얼마전에 런던에 갔었는데 도심에 잘차려입은 사람들 보고 입이 쩍벌어졌다가 5-6존가보니 정말 우범지대..
거지도 많고.. 어디가나 비슷하더라구요.
암암리에 물가는 천정부지로 오른니 기초 생필품 구매하고 생활하는데도 돈이 알게
모르게 많이 들어 갑니다.애들 있는 집은 어지간한 맞벌이 아닌 다음에 사교육에
가자의 직장은 불안하고....그럼에도 명품 가방에 핸폰에 각종 소비지출은 얼마나 스스럼없이 하는지...
쓰고 보자는 사고방식으로 남하는 거 다 따라하고픈 욕망에 자산증식은 로또 하나라도 당첨되면
다 해결될것인양 절약하고 저축하는 습관이 현저히 떨어 졌지요.
씀씀이가 화려해서 집안이 부자인가, 물려받을게 있나보다 ,저축도 많이 하나 싶은 집안 얘기들어보면
집하나 달랑에 대출도 있는 4,50대들도 상당하대요.
겉으로 들어나는 것 자동차 집 남 시선 가는것에는 팍팍 소비하구요
우리나라가 하도 정이라는 명분으로 비교 참견이 많으니까요
그외 소비는 의외로 정말 절약하는 분들도 많으셔요
두부도 판두부로 저가 750원..기타 생필품이나 식재료를 저가로 구입하고 사시는 분들 많으셔요
그래서 전 겉은 몰라도 속은 정말 알뜰히 소비하면서 사는가보다
속은 실제 경제력은 어렵구나 그런거 많이 느껴요
빈부 격차가 크다는거고 저 13%에서도 엄청난 격차가 있는거죠.
2222
winner takes it all.
자산이 집까지 다 포함하는 걸텐데,
서울에 (외진데 말고) 30평대 아파트 대출 없이 갖고 있는 분들이면 상위 13%내에 들어간다는 거잖아요....
수도권 아파트 가지고 있는 경우 대출 들어가 있는 경우가 많아요.
40대에 빚내서 집 사서 10년을 대출과 이자를 갚고 있는데도 여전히 대출있는 경우가 많다고 예전에 기사도 있었어요. 한창 하우스 푸어 떠들때...
노동자 평균 소득이 350인데 가구당 평균 소득은 250인게 현실이고 빈부격차죠.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326985 | 4대강에 학자적 양심을 팔아버린 교수들/뉴스타파 4 | 저녁숲 | 2013/12/02 | 1,138 |
326984 | 강화도 주말에 다녀왔어요^^ 9 | .. | 2013/12/02 | 3,945 |
326983 | 후라이팬에 닭 굽는 법 알려주세요 4 | 치킨 | 2013/12/02 | 5,268 |
326982 | 급)팔찌를 주웠는데요. 5 | 급해요. | 2013/12/02 | 2,110 |
326981 | 미국여자 vs 일본여자 | 우꼬살자 | 2013/12/02 | 1,016 |
326980 | 싼것ᆢ저가ᆢ 2 | 쇼핑 | 2013/12/02 | 780 |
326979 | 키네스 성장센터 같은 곳에 자녀들 보내 보신분... 6 | 올리브74 | 2013/12/02 | 3,619 |
326978 | 황금쌀알을 찾아라 이벤트하네요.쌀도 무료로 나누어 주구요.. | 드러머요리사.. | 2013/12/02 | 331 |
326977 | 초등6 남학생 복싱배우는거 어떻게 생각하세요.. 4 | boxing.. | 2013/12/02 | 2,390 |
326976 | 한국도자기 or 행남자기 화이트그릇 어떤게 좋을까요? 3 | 그릇 | 2013/12/02 | 1,704 |
326975 | 배드민턴 라켓을 못 고르겠어요. 5 | 고수님들~ | 2013/12/02 | 1,259 |
326974 | 저 아는 애 중에는 제가 잘된 일에는 무표정으로 대꾸도 안하더니.. 2 | ... | 2013/12/02 | 1,548 |
326973 | 해외배송대행 서비스 추천해 주세요 2 | 직구 | 2013/12/02 | 680 |
326972 | 김치가 싱거워요 5 | 고민녀 | 2013/12/02 | 1,511 |
326971 | 출산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ㅠ 8 | ... | 2013/12/02 | 1,548 |
326970 | 문재인의원이 동네북이냐? 19 | 조경태는 왜.. | 2013/12/02 | 1,144 |
326969 | 미사화장품 쓰고 피부 좋아지신분 계시는지요 16 | ㄱ | 2013/12/02 | 3,176 |
326968 | 제주가 조아 님 귤 어떤가요? 3 | 장터귤추천 | 2013/12/02 | 540 |
326967 | 아메리카노와 시나몬가루의 만남^^ 3 | ^^ | 2013/12/02 | 2,970 |
326966 | 고백..합니다 4 | 민망함 | 2013/12/02 | 1,290 |
326965 | 아기랑 같이 들을 캐럴 좀 추천 부탁 드릴께요~ 2 | 크리스마스 .. | 2013/12/02 | 336 |
326964 | 실내 환기는 해야겠죠? | 미세먼지 | 2013/12/02 | 791 |
326963 | 카톡에서 친구목록 없애고 싶은데...?? 8 | 카톡 | 2013/12/02 | 1,649 |
326962 | 출판사분들께 여쭙니다.책 출판기간 문의합니다. 5 | 도움 | 2013/12/02 | 1,049 |
326961 | 박근혜 정부가 유일하게 잘하는게 외교라더니 6 | 참맛 | 2013/12/02 | 8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