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5년짜리 대한민국에 산다는 것은

as 조회수 : 859
작성일 : 2013-10-14 21:13:51

이옥현]5년짜리 대한민국에 산다는 것은

프랑스 작가 스탕달은 현악 4중주에 대해 네 사람이 대화를 나누는 것으로 비유했다.
제1 바이올린은 언제나 화제를 제공하며 대화를 이끌어 가는 재치있는 중년, 제2 바이올린은 소극적이고 양보하는 친구, 비올라는 대화에 꽃을 피우며 분위기를 부드럽게 해 주는 여성, 그리고 첼로는 학식이 많으며 대화를 조정해 주는 중후한 신사라며 음악의 조화를 말했다. 음악에 깊은 조예가 없는 필자도 귀로 들려오는 좋은 음악에 마음을 열게 되고, 그 안에서 내면의 조화를 도모하기도 한다. 이런 삶의 구석구석에서 찾아드는 조화로움에 우리는 감동의 시간을 만난다.

대화가 없는 나라에서 이 비유로 얻는 불편한 진실들의 불협화음은 삶을 참으로 고단하게 한다. 한겨레 프리즘의 김규원의 칼럼 첫줄 ‘북방한계선과 대통령 기록물을 둘러싼다. 모든 논란은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책임이 있다.’를 읽을 때의 당혹함이 이 나라의 현실이라는 것과는 비교될 수도 없긴 하지만 말이다. 물론 이 칼럼이 주는 의미는 선의를 향해 있다. 역설을 통해 스스로에게 질문하기를 원하고 있다. 그 질문에 나는 어떻게 답을 해야 할 지 전혀 고민하지 않고 있다. 다만 이런 글을 쓸 수밖에 없는 국가에서 나의 시선이 향하는 대상이 외부로 향해서, 누군가를 탓해서 만들어질 조화는 아니라는 점이었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을 시청광장에 서게 한다면 어떤 일들이 벌어질까. 그는 ‘국가’에서 ‘정의로운 국가’를 주제로 삼았다. 유토피아같은 국가를 구상한 이유는 당시의 아테네가 몰락과 타락의 과정으로 가고 있어 이를 극복해보려는 의지 때문이었다. 정치적 앎은 공동체 전체를 고려하는 앎으로서 이성적 판단에서 비롯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우리는 지금 동굴에 있다.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의 지하 속 동굴이 아니다. 앞만 보도록 하여 동굴의 벽면에 비추는 자신의 그림자를 만나는 것이 아니라 사방이 열려져 눈에 보이는 미디어들로 벽을 만든 동굴이다. 플라톤은 동굴 안의 가시적 현상의 세계에서 동굴 밖, 지성에 의해서 알 수 있는 실재의 세계를 향해 나서려는 험난한 노력을 요구한다.

정치적인 일들이 우리 모두에게 공정하게 전해지고 있는 지를, 스마트폰 시대의 스마트한 개인들의 손에 들린 놀라운 기계가 정보의 공유를 기다리고 있다면 나는 과연 그 기다림에 응답을 하고 있는지를 물어 볼 일이다. 그리고 그 정보들이 이성적 판단에 근거한 것인지를 따져 볼 일이다. 플라톤은 정의로운 국가를 위한 이성적 판단이 요구되는 국가를 운영하기 위해, 철인정치를 요구하지만 그 철인은 타고 나는 것이 아니라 엄격한 교육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보고, 교육의 중요성도 강조한다. 철인정치는 꿈 꿀 수도 없도록 하는 불가능한 교육의 현장들이 우리의 현실을 말해 주고 있다.

신화는 우리에게 상징을 통해 생각하기를 요구한다. 시지프스의 바위를 다시 산 위로 올리려 하지 않는 것을 마치 운명처럼 받아들이며 살아온 인류의 나약함을 되물릴 수 없다는 생각이다. 적어도 나부터 시작해서 내 주변인들에게라도 함께 바위를 다시 산 꼭대기로 올려보자고 해야 하지 않을까. 내 앞에서 여전히 굳건하고 막을 수 없을 것만 같은 이 세계의 야만스러움과 탐욕에 순응한다면 내가 마주 하는 이 세계가 더 가속화될 것이고 인류의 적은 바로 내가 되는 것이다. 정상에서 굴러 내려오는 이 거대한 바위를 피하기에 급급한 개인의 나약함이 원인이 된다. 더 나은 세계를 위한 공감과 나눔, 함께하는 협력만이 이 지속적인 악의로

http://news.kukmin.tv/news/articleView.html?idxno=1628
IP : 115.126.xxx.90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9808 코스트코에 네오플램 리머그 3P 들어왔네요. 2 겨울이 오려.. 2013/10/17 1,401
    309807 부츠가 225는 좀 작은 듯 하고 230은 좀 큰 듯 하고..... 5 고민 2013/10/17 1,261
    309806 하루종일 싫은 내색만 하는 사람 어떠세요? 2 리본티망 2013/10/17 1,053
    309805 아이폰4에서 갤노트3로 갈아탈까요?말까요? 20 쏘럭키 2013/10/17 1,899
    309804 아파트 엘레베이터 사용료 너무 억울해요. 4 고양이바람 2013/10/17 2,278
    309803 반포 래미안,자이랑 잠실 중 어디가 살기 좋을까요? 13 ferr 2013/10/17 4,342
    309802 요즘 중국펀드 어떤가요 2 2013/10/17 1,153
    309801 화천 가보신분 계신가요? 2 .. 2013/10/17 680
    309800 우리모두 예상한대로,,,,,,채동욱이는 6 모두 2013/10/17 2,369
    309799 동대문가면 긴 발목 패딩 구할수 있을까요? 롱롱롱 2013/10/17 1,190
    309798 아*스 물걸레 청소기 쓰시는 분~! 6 해방 2013/10/17 1,653
    309797 우리나라 학력 스펙 인플레 없어질 수 있을까요 6 심각 2013/10/17 1,193
    309796 요즘 트렌치코트 입어도 될까요? 6 ㅇㅇㅇ 2013/10/17 1,401
    309795 "집 사겠다"는 국민 90.7%→77.3%로 .. 7 샬랄라 2013/10/17 1,300
    309794 맛사지 크림 쓰면 피부에 좋은건가요? 3 맛사지 2013/10/17 2,222
    309793 소아정신과 상담비용이 얼마쯤 될까요? 2 킁~ 2013/10/17 6,889
    309792 남편이 류마티스관절염이 있다고 나왔다던데 자전거 괜찮나요? 2 건강검진 2013/10/17 1,501
    309791 삼재중 나갈삼재? 6 .. 2013/10/17 5,454
    309790 아파트 베란다에 책장을 내 놓으려는데요... 4 좁은데로 이.. 2013/10/17 2,157
    309789 땅 담보관련 조언부탁드려요 6 2013/10/17 457
    309788 2006년 펀드 이제 환매했네요 10 시원섭섭 2013/10/17 3,238
    309787 려 약령원 새치커버크림 새로 나온거에요?? 3 .. 2013/10/17 965
    309786 노후대비는 어떤분배로 해야하나요? 3 노후대비 2013/10/17 1,072
    309785 식당 테이블에서 미스트 뿌리는 행동 3 aa 2013/10/17 1,267
    309784 거실에 깔 러그 동대문이나을까요 아님 백화점 갈까요 1 쭈니 2013/10/17 3,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