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생각하는 힘. 생각이 깊은 사람이 존경스러워요.

생각 조회수 : 4,610
작성일 : 2013-10-07 00:19:16

부끄럽게도 생각없이 살고 있습니다.

 

생각이 참 짧아요.

예를들어  저의 생각 패턴은

제 직업에 대해 좀더 개선해보고자 하는 고민이 들면

 

1.아...업무방식을 개선해야해. 난  잘못된 방향으로 노력하고 있어.

2.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3.노력을 제대로 해야해.

4.어떤 노력?

5....

6...

 

이게 끝입니다.

항상 질문만 던져놓고 더이상의 발전이 없어요.

 

tv를 봐도 정치뉴스를 봐도 사회뉴스를 봐도

그 사실만 읽고 받아들일뿐

 

그것에 대한 저의 생각을 정리해본적이 없습니다.

생각이 없고 생각이 짧습니다.

저의 주관이라는 것도 없고 삶의 가치관도 없어요.

 

책을 읽어도 글자만 읽는 것일뿐

읽은 책 내용을 곱씹어 보지 않습니다.

 

그래서 세뇌도 잘 됩니다.

웃긴건 세뇌에서 잘빠져도 나옵니다.

 

생각하는 힘이 너무 부족해서

도서관에가서 관련 책들이 있나 검색해 보니

의외로 많더군요..

 

생각하는 기술에 대해서요..

 

그런데 그 책을 본다고 좋아질까요?

 

어릴때만 해도 책 한구절 읽고 잠시 덮고 저 혼자만의 생각을 많이 한것 같은데

(그래서 책읽는 진도는 잘 나가지 않았지만..)

언제부턴가 생각이라는걸 안하고 되는데로 살고 있네요.

 

전 참 낯설게 들리는 이야기 중 하나가

"요즘 생각할게 많아서...시간이 없네..."

라는 표현입니다.

 

사고력. 생각하는 힘을 기르고 싶어요.

비판적 사고 합리적 사고 논리적 사고...

 

 

 

IP : 118.219.xxx.36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3.10.7 12:23 AM (223.62.xxx.56)

    조심스럽지만,
    생각많으신거같아요
    글도 나름조리있으시고,
    얕은분은아니신듯~

  • 2. shuna
    '13.10.7 12:29 AM (113.10.xxx.218)

    보통은 그런 생각조차 안하지 않나요?
    생각 많이 하시는거 같은데...

  • 3. 청매실
    '13.10.7 12:30 AM (125.128.xxx.7)

    ㅋㅋㅋ
    아닌것 같은데요.

    글 쓰신거 보니 논리력도 좋은 것 같고....

    재밌게 읽었구요.

  • 4.
    '13.10.7 12:46 AM (124.195.xxx.156)

    생각은 많은데 실천력이 부족해요;;
    성공한 사람들의 자기 이야기를 우연히 읽다보면 그때그때의 map을 잘 짜는 것 같더라구요.

    흥미있는 분야의 책을 가볍게 훑어보세요.그러다 맘에 드는 곳으로 가지치기가 되기도 하구요..
    어느 땐 책도 부질없어 보이는데 가끔씩 손에 들면 또 다른 세상을 만나는 기분이 들기도 하더라구요.

    보면 늘 끊임없이 배워야 하는 것 같아요.좀 알 것 같다 싶었으나 어느 날 문득 뒤돌아보면 내 어리석었던 면이 깨달아지기도 하고..
    그러더라구요.

  • 5. 앗^^
    '13.10.7 1:04 AM (118.219.xxx.36)

    생각지도 못했던 답글이 있어서 놀랐어요^^

    괜히 자신감이 생기는걸요.
    고맙습니다.


    전님처럼
    저도 어느날 문득 뒤돌아보면 어리석었던 생각들이 깨달아져서
    제대로된 사고력에대한 고민이 많았어요.

    생각의 지도를 짜봐야겠어요.

    답변 고맙습니다.

  • 6. 주절주절
    '13.10.7 1:19 AM (99.238.xxx.42) - 삭제된댓글

    위에 쓰신 걸로만 보면 생각의 흐름에서 왜? 가 빠져있습니다.
    현상은 인지하고 있는데, 이 현상이 생긴 원인에 대한 고찰이 빠져있습니다.
    이유를 알아야 긍 상응하는 개선책이나 대안이 대안이 나올 것 같습니다.

    위에 분들이 쓰신 것 같이 논리적, 합리적 사고는 이미 하고 계신 듯합니다.
    예를 든 내용으로 유추해보면 비찬적인 사고를 통해 건설적인 사고를 하고 싶으신 걸로 보입니다.
    현상 또는 현실은 잘 직시, 인지하고 계시니 이것을 잘 분석하고 분류하는 사고를 하시면 원하는 부분을 보완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원래는 다순한 사고체계를 갖고있지 않았다면, 요 근래의 일상이 복잡하거나 심란해서 단순하고 안정되고 싶은 심리적 기전이 있을 것도 같긴 합니다.

  • 7. 아...!
    '13.10.7 1:23 AM (118.219.xxx.36)

    왜?
    !!!


    정신이 번쩍 드네요.
    맞아요.
    왜!! 왜가 없었네요..


    정말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맞아요.왜!! 왜가 없었어.


    이런 표현 경박하지만
    대~~박!! 발견^^;;

    고맙습니다ㅠㅠ

  • 8. 애기배추
    '13.10.7 4:53 AM (84.31.xxx.126)

    요즘 제 최대 화두에요 제가 쓴 줄 알았네요 ㅠ 나름 방법으로는 생각하는 것도 습관이다! 어디가든 맹하게 있지말고 간판도 읽어보고 단어가 있음 어원도 생각해보고 이렇게 의식적으로 늘 생각이 깨어있자는 노력을 하긴 합니다 ㅠ

  • 9. ...
    '13.10.7 11:06 AM (118.38.xxx.244)

    주절주절// 핵심을 잘 집으셨네요.

    생각이 깊은 사람들의 필수공통이
    how,when 따위보다 why 에 집중합니다.

    왜 이럴까 ?
    왜 이렇게 얘기할까?
    왜 ,왜, 왜 ?

    여기에 집중해보면 자연히 근본을 보거나 탐구하게 되지요.
    현상 이나 과정 이 아니라 ....

    저는 옛날 중학교때, 삼각함수 배우면서
    그래서 그게 뭔데요 (사실은 왜 이걸 배우는데요?)
    라고 질문을 했다가

    살기어린, 그리고 갑자기 뒤통수를 맞은듯
    멍한 표정을 짓던 수학선생님의 눈빛을 보았죠.
    (너무 긴 이야기 이라 생략)

    지금도 가장 흔히 하는 질문이 왜요 ? 입니다

  • 10. 그걸 글로 쓰세요.
    '13.10.7 11:08 AM (58.236.xxx.74)

    저도 생각이 많아요,
    그런데 생각이 많은 건 흐르는 물에 새기는 거고,
    글로 쓰는 건 돌에 새기는 거래요.
    그 돌들에 써야 그 돌을 바탕으로 2층 3층 돌집을 올릴 수 있는 거예요.
    7개국어 하는 소녀 이야기를 책으로 읽은 적이 있는데 포스트잇에 의문점을 적어 방문에 붙여둔데요.
    그리고 방을 드나들면서 되는 안 되든 해결점을 생각해 본대요.
    그렇게 같은 생각을 6,7번 반복해서 하면 마지막엔 괜찮은 해결점이 나온다네요.

    왜 ? 도 중요하지만,
    끈질기게 생각한다,도 중요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6372 바람이 심해요 3 .. 2013/10/11 840
306371 코스트코에 "스타우브 티팟" 아직 팔고 있나요.. 2 시골 주부 2013/10/11 1,774
306370 모델하우스 구름인파 뒤, 바람몰이 작전꾼 샬랄라 2013/10/11 1,155
306369 전 이 연예인 참 상큼하고 달달해요.^^ 14 대충해도이뻐.. 2013/10/11 5,077
306368 검찰이대화록초본공개를거부했내요 1 하루정도만 2013/10/11 568
306367 막연한 부탁좀 드릴께요^^* 8 무작정 2013/10/11 871
306366 강아지 자랑이나 얘기 좀 해주세요~~~!! 35 기다림 2013/10/11 2,071
306365 쌀벌레 빨리 없애는법 있나요? 4 유후 2013/10/11 1,309
306364 결혼의 여신에 재벌집이 실제 집인가요? 2 실제 집? 2013/10/11 4,570
306363 매련도없다 가 무슨 뜻인지 아세요? 13 ... 2013/10/11 6,874
306362 집 조언 구해요..직장이 금천구 가산동,남편은 강남 고속터미널... 6 ........ 2013/10/11 1,087
306361 저는 황정음 대사보다 지성 대사가 안들려요. 4 비밀 얘기 2013/10/11 1,386
306360 저는 엘*** 샴푸가 잘 안 맞아요. 저같은 분 많으신가요? 13 섐푸우 2013/10/11 1,850
306359 혹 위기의주부들 혹은 The middle 파일 있으신분..공유좀.. 3 ... 2013/10/11 477
306358 지금 sbs에서 발레스트레칭 방송하네요 1 발레 2013/10/11 1,311
306357 열병합식 난방은 추운가요? 7 질문 2013/10/11 4,462
306356 할리우드 블럭버스터 즐겨보시는분계세요? 3 ㄴㄴ 2013/10/11 325
306355 카톡... 1 카톡 2013/10/11 768
306354 문상갈때 살색스타킹 신어도 되는건가요? 1 .. 2013/10/11 1,867
306353 경북 청도 전원주택 괜찮을까요? 3 털파리 2013/10/11 2,443
306352 책상서랍안에 핀 곰팡이는 어떻게 없애나요? 4 .. 2013/10/11 1,774
306351 건조기 리* 써본 후기입니다. 9 으흠 2013/10/11 2,657
306350 고춧가루로 아는데 고추가루로 다들 사용하시니 2 저는 2013/10/11 691
306349 [원전]일본, 수산물 오염 8월 이미 인정 참맛 2013/10/11 504
306348 월스트리트 저널 (WSJ) 에서 삼성 백혈병 주제로 한 영화 보.. 1 light7.. 2013/10/11 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