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애가 과목마다 꼭 두 세개 틀려요.

시험 조회수 : 1,379
작성일 : 2013-10-05 10:33:46
공부를 제대로 한 것도 아니고 안 한 것도 아니여.

나름 공부 했겠죠.

그런데 시험 보면 1개에서 3개 정도를 틀려와요.

점수는 배점 높은 것도 있어 96점부터 80 점대 후반까지 나와요.

이런 아이, 실수든 뭐든 실력일텐데, 이제 고등학교 올라가는데,

고 두 세개 안 틀리는 비법 같은거 있을까요?

매번 보면 안타까워서...
IP : 211.209.xxx.15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진28
    '13.10.5 10:36 AM (210.117.xxx.61)

    배점 높은 걸 틀린다는 것은 난이도가 있는 걸 틀린다는 건데 고등학교 가면 시험 난이도에 좌절하고 성적이

    잘 안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고등부 선행을 좀 빡시게 시켜야 할 듯 한데요;;;

  • 2. 우유
    '13.10.5 10:39 AM (39.118.xxx.94)

    반복과 심화가 덜 된 듯..
    100점과 90점의 차이죠

  • 3. 100점과
    '13.10.5 10:46 AM (180.65.xxx.29)

    1개틀리는건 하늘과 땅 같아요. 100점 맞는 애들은 그 한문제 때문에 얼마나 더 노력하는지 몰라요
    실수면 몰라도 매번 그런건 완벽하게 준비한 애와 아닌애 차이 같은데요

  • 4.
    '13.10.5 12:09 PM (211.48.xxx.230)

    아이가 시험에 긴장을 많이 해서 그럴수도 있어요
    몰라서라기 보다 100점에 대한 압박 때문에 그럴수도
    있어요 아이도 잘보고 싶겠죠
    100점과96점은 정말 대단한 차이입니다 100점을
    맞으려면 정말 많이 봐야합니다 완벽하게
    아이가 자기 생각에는 완벽하게 봤다고 생각하지만
    조금 부족한거죠 긴장도 많이하고
    덜렁대기보다 잘보려고 하니까 실수를 하는거 같아요
    딱 한번이라도 100점 맞으면 잘 맞는데 그게 어렵죠
    시험때 릴렉스 할수 있도록 엄마가 편하게 해주세요
    반복을 많이 하도록 조언해주시구요

  • 5. ㅇㅇ
    '13.10.5 12:21 PM (211.209.xxx.15)

    답지 낼 때 너무 쉬워서 이번건 100점이겠구나 하고 낸대요. 덜렁거린다는 얘기겠지요? 스스로 고쳐야 할텐데,

    많은 답변 얘기해 줄게요. 감사합니다.

  • 6. 공부의 깊이
    '13.10.5 2:19 PM (119.207.xxx.52)

    공부를 깊게 하지 않아서 그런 거에요.
    과목마다 그런 현상이 있다는 것은 단지 덜렁대는 성격 때문만은 아니에요.
    초등학교나 중1정도 저학년때는 80%정도 깊이로 공부해도 맞을 수 있도록 문제가 나옵니다.
    그러니까 100% 이해하고, 응용하고, 암기하지 못해도 대충 맞을 수 있는거죠.
    중학교 고학년부터 수능까지 올라갈 수록 변별력을 주기위해
    100% 완벽하게 알고있지 못하면 틀리는 문제가 꼭 출제됩니다.
    이런 문제들은 오히려 80~90% 정도만 알고있는 아이들이 딱 걸려들기 쉽게 함정을 파서 문제를 내기때문에,
    어설프게 공부한 아이들은 다 걸려들게 되어있어요.
    그래서 시험 볼 때는 쉽다고 하며 풀었다가 나중에 보면 틀리는 거에요.
    이런식으로 완전 열심히 공부한 아이와 적당히 열심히 공부한 아이를 가려내는 거죠.
    그래서 공부는 100% 완벽수준을 목표로 공부를 해야하고 이렇게 하는 아이들이 나중에 최상위권을 형성하고
    좋은 대학에 갑니다.
    그런데 아이에게 깊게 공부하라고 한다고 해서 다 스스로 할 수 있는건 아니에요.
    스스로 공부를 깊게 파고들어 할 수 있는 아이는 이미 전교권일 것이고,
    이런 아이를 공부머리가 있다고 합니다.
    그렇지 못한 대부분의 아이들은 뭐가 깊이 있는 공부인지 몰라요.
    내가 이 단원의 내용을 다 아는가? 친구에서 설명할 수 있는가?
    잘 알고 있는 부분은 뭐고 아직 부족한 부분은 무엇인가?
    이런식의 스스로의 검증능력이 약해서 그런거에요. (이를 메타인지능력이라고 해요)
    이런 대부분의 아이들에게 무조건 열심히 해라 한들 어디까지가 열심인지 잘 몰라요.
    또 열심히 한다해도 시간투자 대비 효율이 낮죠.
    내가 모르는걸 찾아내서 알도록 하는게 공부의 목적인데
    정작 모르는건 그냥 패스하고 아는 것만 주구장창 반복하는 엉터리 공부가 되기 쉬어요.
    그런 아이들은 옆에서 누가 도와주면 좋은데요,
    즉, 아이에게 공부한 내용을 설명하도록 하는 방식이 제일 좋아요.
    아이가 설명을 할때 단지 아이가 단순 암기만으로 설명하는 것일 수 있으므로
    계속 더 깊게 파고들어 가면서 추가적인 질문을 해서 아이가 대답을 잘하는지 점검을 해야합니다.
    그래야 아이가 아~ 이건 설명할 수 있으니 아는 것이고 이건 대답을 못했으니 모르는 것이고
    그러니 이런이런 부분을 시험전에 더 보완해야겠다.
    이렇게 상당기간 훈련을 시키면 공부를 어느 정도까지 깊게 해야하는지 터득을 하기 때문에
    나중에 스스로 잘하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머리가 지속적으로 훈련을 시키면 어느정도까지는 꽤 발달이 됩니다.
    그런데 문제가 이런 점검자 역할 또는 훈련자 역할을 누가 하느냐 인거죠.
    어려서는 부모님이 제일 좋은데,
    학년이 올라갈 수록 잘 모르고 귀찮으니깐 아이들을 보통 학원이나 과외로 보내죠.
    학원은 개인별로 점검을 꼼꼼히 해주는 저런 과정이 불가능하므로 당연히 패스.
    과외도 천차만별이라 그렇게 정성껏 해주는 과외샘 만나기도 어렵고. 참 어려워요.
    아, 그래도 현실적인 결론은,
    어머니나 아버지가 그런 역할을 해주실 수 있으면 제일 좋구요.
    그게 힘들면 주요 한두 과목 정도 좋은 과외샘 찾아서 일정기간 맡겨 훈련시키는 것도 방법이에요.
    또 아이들 중에 나중에 언제든 공부철이 들어서 성적 욕심, 대학 욕심이 생기면 어느정도 머리가 있는 아이들은 스스로 생각을 마구마구 하면서 저런 과정으로 잘하게 됩니다.

  • 7. ㅇㅇ
    '13.10.5 2:43 PM (211.209.xxx.15)

    공부의 깊이...긴 글 정말 감사합니다. 큰 도움이 되겠네요. 깊이 있는 공부 안 하는거 같긴 해요. 제가 도움이 되면 좋겠는데 받아줄지. 노력해 봐야겠어요.

  • 8. 베이글
    '13.10.5 3:54 PM (221.158.xxx.150)

    저도 정성어린 글 감사합니다

  • 9. parkeo
    '13.10.5 5:13 PM (115.143.xxx.11)

    저도 감사..
    항상 깊게 많은 양을 공부하는 우리딸이 성적은 그래도 큰 차이가 안나는것 같다고 투덜될때 학년이
    올라갈수록 빛을 볼수있을꺼라 다독거려 주었었는데 제 생각이 맞았었던것 같아 안심되기도 하네요..

  • 10. 답글
    '13.10.5 10:28 PM (180.65.xxx.30) - 삭제된댓글

    댓글좋아서 아이랑 함께 보려구요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4610 시댁식구랑 애들이랑 7명이 6일동안 제주가는데 일정을 어떻게 짤.. 3 준별맘 2013/12/22 1,260
334609 머리 안좋아네뜨는 자존감이 참 낮거나 없는 듯... 13 말이 안통하.. 2013/12/22 2,903
334608 이혼..그날을 기다리며.. 6 .. 2013/12/22 2,270
334607 오유에서 온라인커뮤니티 연합 구성을 제안했습니다. 159 저도들은말 2013/12/22 8,515
334606 겨울에도 발등이 보이는 플랫슈즈나 힐 신고 다니시는 분들 계신.. 13 .... 2013/12/22 4,027
334605 고노대통령 사위의 변호인 관람 후기 16 ㅠㅠ 2013/12/22 4,077
334604 찍어 준 사람들께 묻고 싶어요? 잘한다 잘한다 하시는지? 7 ..... 2013/12/22 1,421
334603 동치미 무우로 할 수 있는 거 없을까요? 3 살려줘..동.. 2013/12/22 1,187
334602 KBS기자 사칭 경찰 KBS사원에게 발각 됐다고 합니다 1 우리는 2013/12/22 1,754
334601 경찰, 민주노총 커피믹스 절도하다 적발.jpg 21 아놔~ㅎ 2013/12/22 4,441
334600 지금 예약해서 구정에 갈만한 해외여행지 어디있나요? 1 ... 2013/12/22 1,180
334599 원래 매운음식 먹으면 이빨이 아픈가요? 4 맵다매워 2013/12/22 1,970
334598 변호인 보고 왔어요 3 감동 2013/12/22 1,480
334597 이과 갈 아이가 외고에 갈 12 2013/12/22 2,766
334596 이지아 발음 원래 저랬나요 8 11 2013/12/22 4,069
334595 야권제안 특검법 ...으이구 바보들 4 .. 2013/12/22 970
334594 (펌)집회 다섯번째 다녀온 고등학생입니다. 부탁드릴 게 있습니다.. 9 ... 2013/12/22 2,089
334593 너무 외롭고 맘이 허해서 죽을 것 같아요 43 좋은날올까 2013/12/22 23,749
334592 자녀 결혼 상대 좀 봐주세요. 8 결혼 2013/12/22 2,458
334591 변호인 보고나면 돼지국밥 무쟈게 땡겨요 11 ㅡㅡ 2013/12/22 2,425
334590 꿈을 꾸면 자꾸 과거가 나타납니다. 8 해파리 2013/12/22 1,473
334589 진짜 신세계 차차기 후계자는 누가 될까요? 19 신세계 2013/12/22 6,866
334588 교원전집 미납으로 민사소송 들어간다는데... 2 막막 2013/12/22 4,215
334587 오늘 민노총 침탈도 경찰청장의 개인적 일탈이라고 할지도.. 1 민주노총 침.. 2013/12/22 891
334586 시민들에게 무차별 캡사이신 살포하는 폭력 경찰놈들(동영상) 1 ... 2013/12/22 9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