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저희 아파트 이번 주에 7천 회복했습니다.

참고하세요. 조회수 : 3,697
작성일 : 2013-10-02 15:38:44

재건축 아파트고 실거래가 기준입니다.

바닥이다 아니다 말들도 많고...실제 경기가 어떤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저희 집은 그렇습니다.

하지만 떨어진 가격이 최고가 대비 1억5천이나 됐었기 때문에 회복하려면 아직 좀 걸릴거라고 생각됩니다.

 

정말 바닥일때 옆동에 큰 평수가 시세보다 정말 싸게 나왔는데 남편이 극구 말려서 못샀습니다.

잡지에 나오는 유명 스타일리스트 불러서 싹 공사까지 한 정말 좋은 집이였고

그 집도 다른 집을 사고 안 팔려서 거의 던지는 거였는데...지금 생각해도 너무 속상합니다.

 

빚지는거 싫어하는 사람이라 경기도 없는데 막상 사고 나서 우리 집 안팔리면 어쩔거냐고.

일년 정도는 버틸거 각오하고 사야한다고 우겼지만...난리가 났었네요.

남편이 재테크의 걸림돌입니다.

 

집 안 사실분들은 이런글 올라온다고 꿋꿋하게 안 사시겠지만, 사시려는 분들은 혜택을 확인하셔서 투기가 아닌 가족이 살 집이면 세금이나 금리우대 반영해서 최소한의 가격으로 매입하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금리는 지금이 다시 안 올 초저금리라 앞으로는 오를 일 밖에는 없으니 고정금리로 받으시기 바랍니다.

은행에서는 무조건 코픽스 같은걸 미는데 꼭 고정으로 하세요.

 

저도 미국 생활 해봤지만, 미국사람들도 월세로 렌트비 내느라 저금을 못합니다. 점점 올라서 나중엔 소득의 절반까지 육박하게 되거든요. 거기에 유틸리티랑 보험료 차량유지비만 해도 혼자 벌어서는 못삽니다. 소득수준에 맞는 작은 집 하나는 있으면 마음이 편한건 사실입니다.

IP : 221.146.xxx.211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큰언니야
    '13.10.2 3:40 PM (58.6.xxx.60)

    맞아요... 월세로 살아서 저금을 못 하죠...

    그렇지만.... 집 값과 세금 내느냐 저금을 못 하는 것도 아시죠 ^^

  • 2. ...
    '13.10.2 3:51 PM (1.238.xxx.75)

    근데 전세살이도 나름 장단점은 있겠지만..내집이 주는 안정감 이외에..층간소음이나 오래 오래
    내집이거니 하고 살고 싶을만한 잘 지어진 집 자체가 별로 없다는 것 도 감안 해야 될 듯.
    내집이라고 들어갔는데 이웃 잘못 걸린다거나 부실공사 하자 투성이 걸리면 안정감이고 뭐고
    골치 아프기도 하니까요.선시공후분양은 왜 안하는지;;감가상각도 현실이구요.

  • 3. ㅇㄹ
    '13.10.2 3:51 PM (112.161.xxx.208)

    저는 눈여겨본곳있었는데 작년 겨울보다 올해 전체적으로 몇천 올랐더라구요. 지금 거래도 되고요.
    배는 아프지만 그때 집도 안팔린 상태라 꾸준히 지켜보기만 했지요.

  • 4. 그런 취지가 아니라
    '13.10.2 3:54 PM (221.146.xxx.211)

    의외로 부동산에 대한 정보는 집을 살 예정인 분들보다 현재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더 민감하고 더 열심히 알아봅니다. 사고 파는 과정에서 손해도 보고 이익도 봤었기 때문에 늘 안테나를 세우고 있어요. 특히 사업을 하는게 아니라서 큰 돈이 들어오고 나갈 일 없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가장 큰 투자 수단이기 때문이예요.

    제 주위에서도 충분한 자금을 들고도 사면 떨어질지 모른다고 불안해 하다가 오르기 시작하면 내가 얼마까지 봤었는데 그 가격에는 억울해서 못산다...하다가 나중엔 너무 올라버려서 사지 못하는 분들이 많아요. 하지만 지금 금리가 바닥인데 곧 오를거라고 하고 집 값도 많이 떨어져서 기다려온 분들에게는 좋은 시기가 아닌가 싶어서 욕 먹을 줄 알면서도 써봤습니다. 이사할때마다 발생하는 기회비용도 적은 건 아니잖아요.

  • 5. 거시경제
    '13.10.2 4:00 PM (1.229.xxx.168)

    제가 살던 아파트 27평 최고가 5억6천이었습니다.
    팔때 3억 9천이었습니다.(2009년 2월)
    3개월후 4억8천까지 올랐습니다.
    현재 3억3천합니다.

    최고가에 구매한 사람들 과연 실소유자였을까?
    언제나 그 가격 회복될까?
    제 생각에 그 가격에 구입할 젊은 세대 인구는 점점 줄고
    소득도 불안정하고 소비할곳은 많고...
    엄청난 경제성장으로 소득이 왕창 오르지 않는한
    주택 구매력이 약해서 오랫동안 상승하기 힘들것 같습니다.
    물론 지역적으로 상승 요소가 있긴 하겠지만
    큰그림을 보면 앞으로 상승은 거의 없을듯 생각합니다.

  • 6. .........
    '13.10.2 4:02 PM (112.150.xxx.207)

    맞습니다.
    지금이 완전 바닥은 아니지만 발목이상은 되는듯 합니다.
    바닥은 작년 12에서 올해 초였던것 같습니다.
    혹자는 더 떨어질것이란 이야기도 합니다만 월천이상의 소득이 있는 사람이 10%를 넘겼다는 기사가 있더군요.
    전월세가 상승하면서 실수요가 밀어 올리고 있지요. 혹시나 경기가 조금이라도 좋아지거나 혹은 외부경기가 안좋아서 정부에서 내수진작에 힘을 쓴다면 유동성 장세로 밀어올리기가 되겠지요.
    하지만 전국의 모든 아파트가 그럴것 같진 않구요. 2000년대 초반처럼 급등장세가 되진 않을꺼구요.그냥 안정적 아주 완만한 우상향 그래프가 되겠지요... > 경제논리상 이게 가장 이상적이니 현정부나 차기정부도 이런걸 바라겠지요.
    실수요자들은 매의 눈으로 잘 고르셔야 겠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5905 크리스티나 남편도 노래를 너무 못하더군요. 12 ... 2013/10/03 8,083
305904 대금아시는분 3 .... 2013/10/03 735
305903 왜 나이 들면서 알러지가 심해지는 걸까요 5 ..... 2013/10/03 1,738
305902 셧다운이라는 흔치 않은 기회를 즐기는 분위기도 있따고요 15조 2013/10/03 1,171
305901 20중반부터 갈궈줘야 결혼하는거 같아요 14 ........ 2013/10/03 2,858
305900 동양계열사 법정관리신청 비도덕적 행위 굼긍 2013/10/03 651
305899 안경비싸도너무비싸지않나요? 24 금테도아닌것.. 2013/10/03 14,564
305898 삭제본, 회담 끝나고 급히 올린 초벌구이 1 sa 2013/10/03 627
305897 70년대로 간 새마을모자 쓴 朴대통령’ 제작중 3 이하 2013/10/03 1,273
305896 다이어트 문의요.. 3 아이허브 2013/10/03 724
305895 백화점 옷 교환 진상손님 8 호호 2013/10/03 6,475
305894 일베 활동한 장교들, 관계 부처와 함께 조사 진행 3 김진태 2013/10/03 829
305893 마담 밥에 매일 침뱉은 동남아 가정부. 1 ... 2013/10/03 2,459
305892 선호하는 와이셔츠 브랜드 4 깔끔이 2013/10/03 1,897
305891 거제 대명 리조트로 여행가는데요... 3 여행 2013/10/03 5,113
305890 아파트 엘리베이터랑 닿아 있는 벽쪽에서 소음 들리는 경우가 있나.. 8 .. 2013/10/03 6,198
305889 친노들이 북한에 굽신거리는 이유가 조작기록된 회의록때문이 아니라.. 15 회담녹음화일.. 2013/10/03 725
305888 남색 트렌치코트 5 .. 2013/10/03 2,116
305887 황마마 막내누나 노래 넘 못하네요 7 2013/10/03 2,451
305886 산업은행 다이렉트 계좌 이자요... 5 산업은행 2013/10/03 4,100
305885 국민 68.9% “전시작전권, 우리 군이 갖는게 맞다 5 반환시기 2013/10/03 637
305884 고추장물 좋아하시는 분들께... 4 고추장물 2013/10/03 3,128
305883 MB-김윤옥, 뉴라이트 대부 절친 행사 참석 김문수도참석.. 2013/10/03 707
305882 김한길 “사초 실종? 김무성 유세장서 낭독했던 건 뭐냐 5 불법유출’ .. 2013/10/03 1,123
305881 몇 살부터 아이 따로 재우셨나요? 4 ... 2013/10/03 2,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