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직이 너무 잦은 남편

바다랑비 조회수 : 7,490
작성일 : 2013-09-29 01:01:11

월급 제때 제대로 가져다 준다면

아무리 이직을 해도 와이프는 이해해야 하는걸까요?

사실 와이프 입장에서 거주의 안정을 느끼고 싶고..

남편 직장이 한 곳으로 정착되어서 아이 학교라든지 여러가지 주거문제에 대해 계획적으로 실현하고 싶은거..

그것이 잘못은 아니지 않나요?

 

제 남편 30대 중반인데..3번 사표내고 회사를 4번이나 옮겼어요.

그런데 또 사표를 내려고 합니다.

제가 이해해야 하는걸까요?

돈 적게 벌어도 좋으니 안정적인 회사면 그냥 한 곳에 좀 머무르다가.. 나중에 옮겼으면 좋겠어요.

그런데 남편은 월급 제때 가져다 줄테니 자신이 옮겨다니는 거에 대해선 뭐라하지 말라 하네요.

어떻게야 할까요?

요즘 남편에게 자꾸 실망스러워요.

이사람이랑 결혼하면 안정적으로 살수 있다 생각했는데..아니 본인 능력이  충분히 안정적으로 살수 있는데..

일부러 자꾸 이직합니다. 이해 되시나요?

 

 

자세한 이야기 드릴께요.

저랑 결혼당시 남편은 국내 3대 대기업중 한 곳에서 대리로 근무중이이었습니다.

그런데 결혼하자마자..유학준비 들어가더군요.

인정받고 잘다니던 회사를 관두고 어드미션 받자마자 유학을 가기 위해 사직했고 학교레벨은 전공별 랭킹 1위인 곳이었습니다. 이때문에 저도 직장입사 3년차인 한참 일할 때인데.. 제가 휴직을 해야했어요.

저도 일욕심이 있어서 휴직하고 싶지 않았지만

남편은 본인의 미래를 위해 저보고 양보해 달라 했어요. 다행히 복직이 가능한 직업이라  일단 오케이 했습니다.

 

 

남편 유학 마치고 2009외환위기가 와서 취업시장이 상당히 안좋은 때에..

전에 다니던 회사에서 다시 오라고 연락을 받습니다.

안간다고 하니.. 조건을 최상으로 주더라구요.

유학기간 경력인정, 패스트트랙이라고 임원까지 승진 보장하는 사장 싸인, 1년 먼저 진급 등등..

실제로 특진을 2번이나 했습니다.

 

 

어쨌든 한국에 돌아와서 저는 출산 임신으로 또 휴직을 했고

남편은 그 회사에서 능력 인정받으며 잘다녔습니다. (일적인 능력은 있는것 같아요.)

그러다가 갑자기 1년만에.. 관두고 외국계로 전향했습니다.

제가 몇 년만 더 버텨보라고 설득했으나 바로 윗 상사와의 마찰로 그냥 사표 던지고 이직했어요.

전에 받던 기본급과 성과급만큼 몸값을 올려서 이직은 했지만

복지같은것이 확실히 외국계라 대기업만 못했습니다.

그래도 업무로드도 적당하고 퇴근도 빠르고.. 저는 아무 불만이 없었어요.

 

 

그런데.. 또 1년만에 대기업으로 이직했어요.

이유는 아이가 커나는데 다니고 있던 외국계가 불안하다..안전한 곳으로 가야겠다..(지금 그 외국계 회사 안망하고 잘 굴러가고 있어요) 그래서 3대 대기업은 아니지만 기본급이 높은 곳으로 이직했습니다. 다니던 회사에서는 이 사람을 꽤나 좋아했고 윗분도 잘 챙겨주셨어요. 무척 잡은것 같은데.. 좋게 마무리하고 나오긴 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회사는 대기업이긴 해도 특성상 안정적이지 않아..제가 많이 말렸습니다.

이상태도 괜찮으니..그냥 다니라고 너무 자주 옮겨도 좋지 않을것 같다고..

30대 중반 연봉 7천 초반 성과급 별도(적어도 천만원 예상)

네..적다면 적고 많다면 많은 연봉입니다.

저는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맞벌이하면 못해도 1억은 벌테니까요..

돈욕심 많은 여자 아니예요.

저희 자가 집도 있고.. 돈이 막 있어야하는 상황도 아닙니다.

 

남편은 제 반대에도 불구하고 끝내 그 회사로 옮겼고

저희는 또 이사를 했습니다.

대기업이기에 야근이 예전보다 많고 해외출장도 많긴 했지만 아이 어린이집도 있고 확실히 대기업 베네핏도 있고..

남편이 옮기는데 이유가 있다보다..하고 좋게만 생각하자 했어요.

 

솔찍히 좋기보다..속으론 슬슬 짜증이 나기도 했습니다.

직장을 이곳 저곳 옮기면서 이사도 여러번 다녀야했고

그럴때 마다 아이 어린이집 문제가 걸려서 복잡했거든요.

남편 직장을 자주 옮기니 적응해야하고 그 와중에 둘째 생기고 저는 직장 계속 휴직중..

제 직장 복직은 안드로메다로...ㅠ.ㅠ

 

 

그런데.. 작년에 남편 회사에 문제가 터지면서  계약시 주겠다던 성과급이 나오질 않았어요.

즉 작년에 받던 페이보다 전체 페이가 줄어든 상황이 된거예요. 또 남편이 서서히 이직을 준비하더라구요.

그러는중에 회사 동료들은 경력직이라 경계하고 일은 많은데 데리고 일할 직원은 낙하산들 뿐이고..

남편도 그런 회사분위기에 적응 못하고 아닌건 아니다 윗사람한테 직언하고.. -.-  윗사람에게 찍히고

그러다 일이 커진 듯 싶습니다. 회사에서 좋게 안보였겠지요.

그러면서 회사 나갈듯 행동했고.. 실제로 헤드헌터 많이 만났습니다.

 

 

그런데..문제는 기본급이 높아서 최종 면접까지 가고도 임금때문에 이직이 몇번 틀어졌어요.

다른 대기업들도 서너군데 다 최종가지 갔는데..

나이에 비해 직급이 남편이 높고 기본급이 쎄서..다 틀어지더라구요.

 

그러니 남편이 이젠 작은 회사 팀장급으로 간다고 합니다.

전 아이도 어린데..이제 큰애 4살

조금더 대기업에 있다가 작은회사든 아니든 회사를 옮겼음 좋겠는데..

남편은 또 기본급에 성과급이 지금 받는거 보다 더 준다면 옮긴다고 하네요.

이번엔 이직이유가,,, 대기업에서 정치를 하기 싫어서라네요. 라인타고 술마시고 아부하고..

ㅠ.ㅠ

네 .. 이해 합니다. 근데..전 참 답답해요.

 

 

전 지금 남편한테 조목 조목 따지고 싶어요.

남편  당신 인생 스타일 대로 사는거 이해하려고 하고..

그 돈 벌어 우리 가족위해 쓰려고 하느거 다 아는데.

난 좀 적게 벌어도 좋고하니

제발 한 곳에 정착해서 정리해고를 당하더라도..정착의 안정감을 나에게 달라고..

 

회사에서 나가라고 한 것이거나..피치못할 사정으로 이직을 해야한다면 백프로 이해하지만..

본인욕심에 자꾸 이직하는거..저한테는 서서히 스트레스로 다가와요.

이제 아이 유치원도 가고 초등학교도 가고 좀..제발 정착하고 싶은데..

다녔던 회사와 면접징행 중인 회사가  삼성동 서울역 양재동 안산 인천 청라 여의도 판교 장충동 명동...이니

저는 또 어디로 이사를 가야하며 이런거 고민하는게 너무 싫어져요.

 

 

제가 남편에게 정착의 안정을 요구하는거..님들 보시기에 어떤가요?

남편은 돈은 제때 벌어다 줄테니 걱정말라는데..

정말 그냥 그래라...하고 다 받아 주어야할까요?

 

 

IP : 1.232.xxx.26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9.29 1:10 AM (59.152.xxx.10) - 삭제된댓글

    저는 남편분이 참 용기있는 분인 것 같습니다.
    물론 상사한테 비비고 엉기는 것을 못하는걸 뭐 가족을 위한 끈기가 없다고 하실 분들도 계실지 모르지만
    직장생활 해보신 분은 알겠지만
    그거 정말 드러운꼴이잖아요.
    물론 다 알면서도 먹고살려니 하지만 뒤에서나 욕하지 앞에서 그리 직언하는 사람 많지 않고요

    다만 문제는 지금이야 남편분이 능력도 되고 나이도 젊으니 이직이 가능하지만
    40대 넘어가 보세요
    과연 어디서 이런 잦은 이직자를 받아줄까요?


    이부분에 관해서 남편분께 말해보세요
    언제까지 이직이 가능 하다고 생각하는지 만약 불가능한 상황이 되면 그땐 어떻게 할 것인지
    대책이 있는지 ...

    구체적 답변을 내어달라고하세요

    나는 괜찮지만 우리아이들 길바닥에서 키우게 할 수 없지 않느냐고요..

  • 2. 남편분 정의파인데
    '13.9.29 1:34 AM (124.5.xxx.140)

    어느 회사고 꼴갑떠는 부류들 있기마련 적당히 보아
    넘기고 살아남는 의지가 필요해요.
    너무 맑은 물에는 고기가 살 수 없다면서요.
    인재는 찾아봄 또 대신할 사람 있기 마련이고 남편분
    자리 잡아야하는 절박함 느껴집니다. 진짜 40넘음 판도가 달라져요.

  • 3. ㅇㅇ
    '13.9.29 8:38 AM (39.115.xxx.141)

    일단 원글님은 꼭 직장 잡고 계시구요.
    이런 경우 정말 갈수록 만족하는 직장구할 확률음 뚝뚝떨어지고.
    남의집이지만 걱정이네요. 정말 진심어린 충고해줄 선배나 어른이 있었음 좋겄어요. 부인말은 안들을테니.

    여기서 더옮기면 안되는데. 적당히 어울려서 살아가야지 이번에 옮기면 안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4029 미주로 이민가고 싶은데..취직 정보는 어디서 얻나요? 14 우당탕 2013/10/02 2,313
304028 미국여행가는데 연방정부 폐쇄 영향은.. 10 걱정 2013/10/02 959
304027 임신중인데요..김치 무르게 푹 익힌게 먹고싶어요..도와주세요~ 12 예비맘 2013/10/02 1,897
304026 일본만화 제목좀 알려주세요. 3 만화 2013/10/02 744
304025 세계 석학 57명.. 박근혜 부정선거 규탄 성명!!| 11 시국이 어수.. 2013/10/02 1,409
304024 지금이라도 소금 사놔야할까요? 6 방사능 2013/10/02 1,389
304023 朴, 백선엽에 ‘함빡 미소’ 사진 “친일파를 공식일정으로 만나 8 혐오감 드는.. 2013/10/02 1,179
304022 [장도리]2013년 10월 2일 털 뽑히는 .. 2013/10/02 433
304021 스마트폰 훔쳐간 사람 어떻게 잡죠? 6 ... 2013/10/02 983
304020 엄만 무슨 대화든 자기 아픈걸로 종결 6 2013/10/02 1,099
304019 셧다운, 미국 정치 실종 현상 대표적 사례 1 이플 2013/10/02 723
304018 루이보스티 - 피부염/아토피에 효과 있나요? 6 ㄷㄷ 2013/10/02 2,796
304017 어제 jtbc뉴스에 나온 한전 귀태들 보셨나요? 1 한전비리 2013/10/02 1,046
304016 필리핀홈스데이비용얼마정도인가요 1 홈스테이 2013/10/02 804
304015 오미자 4 오미자 2013/10/02 971
304014 스탠드에 전구말이에요 4 30와트 2013/10/02 1,020
304013 화장품 구입시 면세점과 방판중 어떤게 좋을까요? 3 까이유 2013/10/02 1,133
304012 뾰루지 가라앉히는 법 도와주세요 ㅠㅠ 10 sos 2013/10/02 6,331
304011 좋은 칫솧 추천해주세요 칫솔 2013/10/02 736
304010 머루포도와 켐벨포도중 더 대중적으로 좋아하는게 30 선물하려는데.. 2013/10/02 7,096
304009 요즘은 대학생들도 성형 9 2013/10/02 1,662
304008 멸치육수 포기하려고요 10 멸치 2013/10/02 2,918
304007 포도가 살 엄청찌게하나봐요. 23 배랑허리가두.. 2013/10/02 5,976
304006 "아비"라는 표현 6 궁금 2013/10/02 745
304005 여성 19%만 "다시 태어나도 꼭 지금 남편과 결혼&q.. 7 나루터 2013/10/02 1,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