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결혼하고 돌아보니 좋았던 점 (혼수 관련)

굿이예요 조회수 : 3,134
작성일 : 2013-09-28 23:32:02
잘한 점
1. 가구 많이 안 산 것
 침대랑 협탁, 책장 책상 화장대 소파만 사왔어요. 아 옷장도 입본장만 들였어요. 심지어 침대 프레임도 안사고 매트리스만 샀어요. 
 이 중 돈 들인 아이템은 침실에 들어가는 아이템이예요. 화장대 겸 서랍장, 협탁은 오크로 들였구요. 매트리스도 메모리폼으로 들였어요. 소파도 괜찮은 아이템으로 했어요. 나뚜찌...싸게 사느라 온 백화점을 다 순례... 이상의 아이템은 다 백화점에서 들인 거예요. 가구거리 한번 당하고 이제 안갑니다.
책상과 의자 책장은 인터넷으로 들였는데 나쁘지 않아요. 완전 초저렴이로 했거든요. 책장 책상 합쳐서 15만원 정도? 걍 지마켓에서 샀어요. 책상 좋은 거 사고 싶었는데 나중에 좀더 넓은집으로 이사가면 그때 들이려구요.
심지어 책장은 튼튼하고 예쁘네요. 완전 하얀색 단순한 디자인이예요.

2. 주방용품 많이 안 산 것
 한국도자기 파인 본차이나 그릇 한 세트, 다이소에서 락앤락 몇개, 수저 세트, 덴비 접시 3장 머그컵 2개가 구입한 전부네요.
 냄비 등등은 전부 다 사은품이예요. 제가 전자제품을 모두 엘지 것으로 구입했거든요. 스텐 냄비세트, 후라이팬 세트, 다리미, 무선 포트 받았어요. 믹서기도 보내준다고 하고요. ㅡ구입한 지 5달이 넘었는대 아직도 안 왔어요 -_-
 나머지 자잘하게 남편이 자취하며 쓰던 것 그대로 쓰고 있어요. 제가 시어머니께 부탁드려서 남편 자취할때 쓰던 것들 거의 다 들고왔거든요. 후라이팬, 세숫대야 이런것두요. 근데 결혼하고 이제 네달째 된 시점에서 보니 잘한 것 같아요.
 싱크대 위가 단촐하니 참 좋네요. 접시 쓰고 닦아서 개수대 올려놓고 또 쓰고. 사실 한국도자기 세트로 들인 것은 약간은 후회되요. 그냥 딱 쓰는 아이템만 들일것 그랬나. 

그리고 감사... 제가 혼수 준비를 혼자 했어요. 엄마가 편찮으시고 언니도 없어서요. 
혼수 준비하면서 82분들한테 계속 이거저거 여쭤봤는데 자상하게 대답해주셔서 넘 감사했어요.
한참 준비할 때는 스트레스 많이 받고 예민하고 그랬는데 이건 좋다 써보니 저건 이래서 별로다, 언니같이 이모같이 말씀해주셔서 괜히 힘이 나고 그러더라구요. 주방용품 안 사들이고 실패 안한건 다 82덕분이예요. 
나중에 시간 더 여유로울 때 결혼 준비 관련 제 경험 정리해보려구요. ^^ 이건 안해도 됐겠다 싶은게 꽤 많더라구요. 

IP : 112.187.xxx.158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9.29 12:00 AM (175.209.xxx.55)

    1. 한복 안해서 좋았어요.
    (친구가 체격이 저와 비슷한데 200만원 주고 맞춘 한복을 빌려 줬어요. )

    2. 예물도 여러가지 하는대신 차라리 실용적으로 자주 착용할 수 있는걸로
    가격을 좀 올려서 고급스러운 것으로 구입했어요. (루비, 사파이어 이런거 빼고 금 위주로~)

    저는 이거저것 한거번에 구입하는거 보다
    적게 사는대신 꼭 필요한 것으로 퀄러티를 올려서 구입했던게 만족스러워요.

  • 2. 이휴...이렇게나 알뜰하니 넘 이쁘요..
    '13.9.29 12:18 AM (125.182.xxx.63)

    나중에 아가물건들도 그렇게 초간단 싼걸로 사세요. 그리고 저축했다가 나중에 커가면 그때 아이방에 가구를 아주 좋은것으로 시집장가갈 때 까지 쓰도록, 아니면 혼수품으로 가져갈수있는 좋은걸로 넣어주세요.
    저는 대를 물릴 작정하고 아이 가구를 넣어주고있어요. 개당 백만원짜리들이요. 좋은게 좋더라구요...

    아이유모차 그거 몇년 못쓰는거 중고로 판다해도 그렇고 아기옷들 비싼거 사 입힐필요도 없구요...이런돈 묶어두었다가 평생 쓸 물건이나, 아니면 아이 치아교정비용,으로 쟁여두세요.

    저도 혼수품 원글님처럼 초간단하게 아주 간단하고 싼걸로 샀지만 가구만은 비싼걸로 백화점에서 샀어요. 지금도 15년 지났지만 그때 그 혼수가구들 그대로 쓰고 있어요.
    가구만은 좋은것으로...사셈. 이게돈 남는거임.
    커다란 평수 이사갈때는 그닥 내놓는 가구들 없어요. 자잘한것들 내놓거나 그런데요. 작은 20평대들 나갈때보면 정말 싼 가구들 내놓고 나가는데요. 장롱부터시작해서 거실가구들까지 큰것들 다 버리고 나가요. 한집도 빠짐없이 이럽니다...아무리 싸구려 가구라지만 그 돈이 얼만가요. 나중에 새집가서 또 사겠지요...또 싼걸로 사겠지요...
    돈없다고 싼가구 사는건 아니라는거....

  • 3. 어머
    '13.9.29 12:23 AM (211.196.xxx.20)

    윗분 저랑 생각 똑같으세요! 저보다 더 선배신거 같은데^^; 그럼 저 잘 하고 있는 건가요~~ ^^

    원글님 이뻐요 맞아요 최소한이 진리

  • 4. ...
    '13.9.29 12:25 AM (61.72.xxx.1)

    나중에 냄비는 좋은걸로 하나씩 장만해보세요..^^
    저는 실라간 냄비랑 스타우브 냄비는 후회 안해요...

  • 5. 원글
    '13.9.29 12:32 AM (112.187.xxx.158)

    댓글 감사해요 ^^ 이제부터 뭐 안사들이고 열심히 저축 하려구요. 그리고 정말 유모차 같은 거 돈 안들이는 거 맞는거죠? 나중에 엄마되면 아가 옷도 저렴한 것 깨끗하게 입히려구요. 그 돈 모아서 나중에 아이들 클 때 여행다니고 하면 좋을 것 같아요 ^^

  • 6. 원글
    '13.9.29 12:33 AM (112.187.xxx.158)

    그리고 아이들 가구 좋은 것으로 들이라는 말씀은 명심했다가 나중에 꼭 그렇게 하겠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3631 나는..풀... 갱스브르 2013/10/01 309
303630 한양대가 고대, 연대보다 확 높아졌어요. 비리 대응 수준이 다르.. 11 어느새 2013/10/01 3,656
303629 감기기운 퇴치하는(?)법 좀 알려주세요 15 감기퇴치 2013/10/01 1,701
303628 요즘 우리나라 정녕 미친나라인 것 같아요 5 피로 2013/10/01 1,830
303627 스마트폰 안경이 효과있나요? 눈피곤 2013/10/01 300
303626 여자분들중에 1종보통 운전면허 따신분 계세요? 31 1종 2013/10/01 13,841
303625 요즘 82에 첫댓글 전문 분란꾼들이 상주하는듯. 3 2013/10/01 550
303624 레인도우 설치하신분 2013/10/01 3,644
303623 식신너부리님... 2 ㅠㅠㅠ 2013/10/01 388
303622 통영 (혹은 경남 다른 곳) 대하집 괜찮은 곳 아시나요? .. 2013/10/01 598
303621 한지혜가 성유리보다 어리네요. 13 힐링보다가 2013/10/01 4,441
303620 "**이 뭔가요?"에서 "뭔가요&qu.. 1 표준말? 2013/10/01 452
303619 같은상품 여러 인터넷 쇼핑몰에 올려져있다가 갑자기 품절이라고 나.. 3 궁금 2013/10/01 577
303618 대학 논술고사에서 답안 작성할때 연필이나 볼펜 2 논술 2013/10/01 1,098
303617 연애는 아니고..남자들이 하는 착각을 알려주세요. 11 연애 접근 2013/10/01 4,737
303616 MBN 벌써 김미화를 내쳤나요?? 2 ... 2013/10/01 1,623
303615 집 살때 조심해야할게 뭐있나요? 4 2013/10/01 1,285
303614 4대강 '설거지' 비용만 5년간 21조원 2 샬랄라 2013/10/01 552
303613 장롱면허 탈출기 1 ... 2013/10/01 833
303612 성유리 어제 보니 정말 예쁘네요. 8 힐링캠프 2013/10/01 3,113
303611 10월 1일 [신동호의 시선집중] “말과 말“ 세우실 2013/10/01 413
303610 중학생유금결석일수 계산이요 1 유급 2013/10/01 1,114
303609 담백하고 세련된 감성 공유할 수 있는 여자커뮤니티 어디 없을까요.. 16 갈증 2013/10/01 4,162
303608 아침에 육계장 끓여놓고.저녁7시에 냉장고에 넣어도 안상할까요? 8 점심시간때갔.. 2013/10/01 916
303607 사태로 육개장을 끓였는데 너무 질겨요 7 tee 2013/10/01 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