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정) 양지 미역국 통으로 끓이는데요, 미역은 안 볶나요?

대기 중! 조회수 : 5,475
작성일 : 2013-09-28 17:56:20

 아무리 검색을 해봐도 정답이 뭔지 모르겠어요!

 양지 미역국 지금 끓일 건데요.

 통으로 된 한우 양지인데 썰어서 볶아서 끓일까요,

 통으로 국물 내서 건져서 찢을까요? 어떤 게 더 맛있는 거예요?

---

알려주신대로 통으로 끓이고 있어요.

 근데;; 미역은 보통 고기 볶아서 할 때 미역도 볶던데요...

 이렇게 통으로 육수 내서 하면 미역은 안 볶고 하는 건가요?

82님들 덕에 오늘 맛있게 미역국 먹겠어요. 미리 감사드려요. ㅎㅎ

IP : 116.123.xxx.127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ㄹ
    '13.9.28 6:00 PM (203.152.xxx.219)

    시간은 좀 더 걸리지만 덩어리로 끓여서 푹 국물낸후 (압력솥으로 하면 짱임)
    찢어서 양념해서 다시 넣어 끓이는게 더 맛있어요.
    미역넣고 오래오래 푹 끓이면 보약이 따로 필요없어요.

  • 2. 군침
    '13.9.28 6:00 PM (1.75.xxx.52)

    썰어서 간장참기름 양념해서 볶으면 국물이 좀 탁하되 고기엔 맛이배고
    국물 내고 찢어끓이면 고기에 맛은 좀 덜배더라도 고기가 연해지고 국물이 맑은것같아요.
    둘다 맛있을것같아서 군침넘어가네요~

  • 3. 원글
    '13.9.28 6:03 PM (116.123.xxx.132)

    와, 양도 좀 되고 시간도 많으니까 통으로 해서 찢어넣을게요. 감사합니다.

  • 4. ***
    '13.9.28 6:03 PM (175.120.xxx.96)

    양지머리는 질겨요. 썰어서 하되 오래 끓여야 연해지는데 보통 썰어서 그렇게 한시간씩 국물내지는 않죠.
    썬고기라서 대강 끓이다보면 질겨지는 경우가 많죠.
    통으로 삶아서 하는게 좋을겁니다.
    보통 썬 국거리로 파는 부위는 전각이나 등심이나 그래요.

  • 5. 쐬주반병
    '13.9.28 6:04 PM (115.86.xxx.54)

    저는 통으로 끓여요.
    양지 덩어리랑 손바닥만한 다시마 한장 같이 넣고 끓이다가, 떠오르는 거품?? 같은 것은 자주 걷어주면서,
    30분 정도 끓이다가, 다사마는 건져 내고, 바락 바락 주물러 씻은 미역, 다진마늘, 후추, 집간장 넣고
    팔팔 끓이다가, 약불에서 은근하게 끓여요.
    다 끓인후, 양지를 찢어서 넣고 다시 한번 끓이면, 완성잉ㅅ.

  • 6. 쐬주반병
    '13.9.28 6:06 PM (115.86.xxx.54)

    마지막 부분 잘 읽어주세요. 완성입니다..라구요.
    손가락에 붕대 감아서, 자꾸 오타나네요.

  • 7. ㅇㅇ
    '13.9.28 6:14 PM (218.38.xxx.235)

    저는 통으로 끓여서 기름 걷은 후 국 끓이고 양지는 얇게 썰어서 파 듬뿍 넣은 초양념장에 찍어 먹어요.

  • 8. 원글
    '13.9.28 6:18 PM (116.123.xxx.132)

    앗! 한가지만 더 요.
    통으로 국물 내면 미역은 안 볶나요?
    보통 같이 볶아서 끓이던데;; 통으로 끓이면 어떡하나요?;;;

  • 9. ㅇㅇ
    '13.9.28 6:23 PM (218.38.xxx.235)

    볶으면 더 고소하지만 지방의 함유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탁하고 열량이 높아서 싫어하는 사람들이 있어요.
    님 댁의 취향대로 하시면 됩니다.

  • 10. 군침
    '13.9.28 6:27 PM (1.75.xxx.3)

    고기는 볶아서 끓여도 미역은 따로 볶아끓인 적이 없어요.
    안볶아도 괜찮으니 그냥 넣으시면 될듯~

  • 11. ,,,
    '13.9.28 6:28 PM (222.109.xxx.80)

    고기국이라 기름이 뜨는데 참기름으로 볶으면 국물이 탁하고
    기름이 더 많이 국위로 떠요.
    담백하고 개운하게 끓이시려면 다른 냄비에 먹기 좋게 다듬은 미역과 고기 건져서 찢거나
    썰어서 국갖장(조선)두세스푼 넣고 손으로 주물러서 간이 배게 한후 고기 국물 반국자
    붓고 기름 넣지 말고 볶으세요. 물기 거의 없어질때까지요.
    그런 다음에 끓여 놓은 국물에 부어 주세요.
    처음엔 센불로 끓이다가 끓으면 중간불로 끓이다가 다음엔 약불로 끓이세요.
    총 1시간정도 끓인다음 간 보시고 미역 건더기 거져서 먹어보고 부드러우면 불 끄세요.

  • 12. ,,,
    '13.9.28 6:29 PM (222.109.xxx.80)

    거져서,,,건져서

  • 13. ..
    '13.9.28 6:29 PM (218.52.xxx.214)

    통으로 국물 내서 건져서 찢을때는 미역 안볶고 그냥 넣어요.
    전 여기에 마늘도 안넣고 국간장으로 간만 맞춰요.

  • 14. ..
    '13.9.28 6:30 PM (218.52.xxx.214)

    제 위의 점세개 222 님이 설명을 잘하셨네요.,
    저렇게 하세요.

  • 15. ㅇㅇ
    '13.9.28 6:31 PM (218.38.xxx.235)

    채썰은 다시마를 파는데 미역국 끓일 때 약간씩 넣으면 더 맛있어져요.

  • 16. 원글
    '13.9.28 6:34 PM (116.123.xxx.132)

    와!!! 글 올리기 잘했어요. 감사합니다. 국물로 볶아서 해볼게요! 감사합니다. ㅎㅎㅎ

  • 17. 반평생
    '13.9.28 6:41 PM (125.131.xxx.52)

    살았는데 미역국도 제대로 못 끓였는데
    원글님 댓글님들 감사합니다 내일 아침은 배운데로 미역국
    끓여 먹어야겠네요

  • 18. 저는 항상 쇠고기 통으로
    '13.9.28 6:54 PM (211.202.xxx.240)

    익히는데 미역은 참기름 조금 넣고 프라이팬에 달달 볶은 후(미역 불리고 있다가 고기가 익을 때쯤 건져서 볶음)
    통으로 넣은 고기가 다 익으면(정종도 넣고 통마늘 넣었다 건져냄)건져낸 후 그 때 건져낸 고기는 안 볶아요.
    고기는 적당한 크기로 썰거나 찢은 후 볶은 미역과 함께 푹 끓입니다.
    국간장 등으로 간 마추고 끝.

  • 19. 저는 항상 쇠고기 통으로
    '13.9.28 6:56 PM (211.202.xxx.240)

    아참 미역 불린 후에 찬물로 박박 여러번 반복해서 씻으세요
    그럼 특유의 미역 비린내 안남.

  • 20. 감솨.
    '13.9.28 7:06 PM (178.115.xxx.180)

    덕분에 맛있는 미역국.

  • 21. dlfjs
    '13.9.28 7:37 PM (118.221.xxx.32)

    미역 여러번. 주물러 씻으세요

  • 22. 아메리카노
    '13.9.28 7:46 PM (59.26.xxx.63)

    전 참기름으로 절대 안볶아요
    들기름은 오래 끓여도 되지만 참기름은 오래 끊이는거 아니거든요 금방 먹는 무침 같은데만 쓰지ᆞ
    참기름으로 고기나 미역 볶으면 나중엔 아린맛이 나더라구요
    그냥 뭉근히 푹~~~우러난 맛 이 좋던데요

  • 23. 미미미
    '13.9.28 7:54 PM (211.199.xxx.15)

    간은 국간장으로!
    미역국에는 반드시요.

  • 24. ..
    '13.9.28 10:45 PM (1.224.xxx.197)

    미역은 들기름이듬 참기름이든 조금 넣고
    들들 한번 볶아주면
    훨씬 부들부들하더라구요

  • 25. 미역국
    '13.9.29 6:45 AM (184.66.xxx.178)

    미역 불리러 갑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4769 42세아줌마, 다들 운전 하시나요?ㅜ ㅜ 24 22년 장롱.. 2013/10/07 4,437
304768 작은 교회에 다니고 있는데 서서히 괴롭습니다 38 믿는분들께 .. 2013/10/07 13,959
304767 전세사는데 너무 맘이 불안해요. 3 전세 2013/10/07 2,084
304766 요즘 날씨. 식혜 만들어서 택배 보내기 괜찮을까요? 7 식혜 2013/10/07 815
304765 우동이 참 따뜻하네요 7 웃지요 2013/10/07 1,088
304764 찬밥 이렇게 하면 아이들이 먹을까요? 3 송이송이 2013/10/07 791
304763 쌍커플수술해요..조언해주세요 5 아짐 2013/10/07 1,728
304762 김포공항역에서ㅡ 4 . . . 2013/10/07 699
304761 아까 아픈데 밥 해서 차려내야 해서 서글프다고 쓴 원글인데요 11 참담 2013/10/07 2,084
304760 신생아 동생에게 시샘하는 첫째. 어떻게 해야할까요? 11 이런 2013/10/07 2,549
304759 40대 중반 이상 주부님들 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이 어떻게 되세요?.. 22 궁금 2013/10/07 4,417
304758 그간 너무 외부평가에 맞춰산 느낌이에요 2 .. 2013/10/07 730
304757 재래시장 CCTV에 훔치다 걸린사람 하루16명내외... 1 서울남자사람.. 2013/10/07 842
304756 실직 과 은퇴 차이 3 정정 2013/10/07 1,379
304755 어저께 국내산 생고등어 두마리 사와서 먹었는데요-부산 2 아이고 2013/10/07 1,004
304754 정화조 청소한다고 50만원을 보내달래요. 9 시댁에서.... 2013/10/07 3,576
304753 작년보졸레누보와인이많아요 4 .... 2013/10/07 595
304752 심상정 "日, 수산물 금수 WTO제소? 불량국가 전락&.. 4 샬랄라 2013/10/07 595
304751 예금 이율 높은 곳 공유해요..plz 2 굽신굽신 2013/10/07 1,549
304750 누름 김치통 1 피오나 2013/10/07 890
304749 새로 시작하는 드라마..상속자들... 10 fun 2013/10/07 3,382
304748 염색약 창포엔 2 55555 2013/10/07 1,358
304747 꽃게 살만한 쇼핑몰 또는 직거래 사이트 추천 부탁드려요 3 창원댁 2013/10/07 767
304746 숯 놔 두면 정말 가습 효과 있을까요? 3 안개꽃 2013/10/07 1,085
304745 상대에게 마음이 떠난 경우... 7 가을하늘 2013/10/07 2,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