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잔반 남은거 먹어치우는 습관... 어떻게 고치죠 ㅠㅠ

음쓰 조회수 : 2,520
작성일 : 2013-09-28 12:37:46
애들이 먹다 남긴거 먹는건 차라리 괜찮아요...
양도 적고 영양적으로도 균형이 있으니까요.
첨엔 거부감이 있었는데 첫애가 남겨서 버리는게 너무 많다보니 양심에 가책도 생기고
둘째까지 생겨서 제 밥 따로 챙겨서 먹을 시간이 없다보니
요즘엔 별 생각없이 애기가 남긴거 싹싹 먹어치우곤 해요.

근데 문제는 이것보다. .
밥솥 안에서 좀 오래된 1.5~2 인분 쯤되는 밥이라던가..
냉장고에 묵은 반찬이라던가. .. 그런 잔반들을요..
언제부턴가 버리면 죄라는 생각으로 자꾸 먹어치우게 되요.. ㅠㅠ

지금 시댁 가는 차 안인데...
아까도 아침으로 밥솥에 남은.. 어제 아침에 한 밥 거의 두 그릇을...
버터, 간장 넣고 비벼서 김치랑 먹어치우고 나왔어요.. ㅠㅠ
냉장고에 들어가긴 머하고 시댁 다녀오면 넘 묵어서 버리게 될테니까 꾸역꾸역. . ㅠㅠ

IP : 110.70.xxx.54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T
    '13.9.28 12:42 PM (59.6.xxx.174) - 삭제된댓글

    손이 엄청 작아서 모자르면 모자르지.. 남게는 안하는 편이에요.
    그래도 가끔 남으면...
    농사 지으시는 분들께는 죄송한 얘기지만..
    전 버려요. ㅠㅠ
    사실 먹어치운다는 그 표현을 너무 싫어해요.
    먹으면 먹는거지.. 먹어 치워버린다니..
    내가 무슨 음식물쓰레기통도 아니고.. ㅠㅠ
    일단 음식을 좀 적게 하시고..
    남으면 내 자신도 소중하니까... 그냥 눈감고 버리세요.

  • 2. 저도
    '13.9.28 12:44 PM (58.142.xxx.45)

    그냥 버려요.
    그리고 음식 할때 좀 적게 해요. 그래서 부족할때도 있구요...
    입이 짧기도 하고...

  • 3. 정말
    '13.9.28 12:49 PM (175.213.xxx.179)

    배가 고프시거나, 식사때가 되어서 드시는거면 몰라도
    그렇지 않다면 드시지마셔요.
    저도 그 죄책감.. 그 기분 잘 아는데요.
    남편이 제가 그러고 있으면 니 몸이 쓰레기통이냐.. 그래요.

    엊그젠가 어떤 프로그램에서 장수하시는 할아버님 할머님, 그리고 각종 분야의
    의학박사, 한의사가 나온적이 있었는데요.
    그분들이 장수하시는 이유가 무엇보다 가장 큰 이유가 채식도 아니요.
    금주, 금연도 아닌 다름아닌 바로 소식이었어요.
    그분들중에는 밤에 자기전에 라면을 드시는분도 계셨는데, 라면을 반개만 드신대요.
    그만큼 몸에 좋은 음식을 먹어야 장수하는게 아닌 소식울 해야 우리몸에 과부화가 걸리지 않아 장기들이 편안한 상태를 유지한다.. 머 그런 결론을 내리더라고요.

    저도 고친다고 그러고 노력하고 있는데, 원글님도 내몸은 쓰레기통이 아니야.
    이 음식이 들어가서 내 몸을 건강하게 해주는지, 아님 살만 찌우게 하는 탄수화물인지 생각해보시는 습관을 하시면 조금이라도 도움되지 않을까.. 싶어요.

  • 4. .....
    '13.9.28 12:51 PM (121.190.xxx.84)

    묵은반찬은 버리고,
    남은밥은 전부 냉동해뒀다가 나중에 누룽지 만드세요

    그런데
    원글님 글읽다보니..맛있겠네요

  • 5. @_@
    '13.9.28 12:55 PM (39.119.xxx.105)

    전 가져가요

    친정이든 시댁이든. 사람 많을때 먹어 없애요

  • 6. ㅁㅁ
    '13.9.28 1:02 PM (175.252.xxx.245)

    일단 예상치보다 밥을 적게 하세요 이만큼이면되겠지 하면 거기서 반 움큼쌀을빼세요

  • 7. 볶음밥해서
    '13.9.28 1:08 PM (211.234.xxx.54)

    냉동실뒀다 애들데워주세요
    찌개류나 조금남은반찬은 버리시구요

  • 8. --
    '13.9.28 1:12 PM (218.238.xxx.159)

    밥은 냉동실에 얼려뒀다가 렌지에 데워먹음 그대로에요
    얼린밥 해동해서 김치볶음밥해먹어도 되구요

  • 9. 저는
    '13.9.28 1:53 PM (118.42.xxx.151)

    음식할때 조금 넉넉하게 하는 편인데
    처음 해서 먹을때는 실온에 뒀다가
    두번째 끼니부터는 다 냉장고나 냉동실에 넣어요
    배고플때 꺼내서 적당량만 먹고
    그래도 계속 안먹게 되는 반찬
    오래되서 묵은 반찬만 버려요
    밥은 거의 냉동실에 얼려놔서 버리진 않구요
    억지로 밥 없앤다고 두그릇씩 드시지 말고
    냉동실에 애초에 얼려두세요 소분해서..

  • 10. 잔반이란없다
    '13.9.28 2:28 PM (119.203.xxx.233)

    내가 먹을 수 있으면 다른 식구들도 먹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잔반이란 생각을 아예 안합니다.
    다 먹을 때까지 식탁에 차려 놓아요. 그거 다 먹을 때까지 다른 반찬은 조금만 만들어요.
    단, 전날 먹던 그대로 내놓기 보다는 볶음밥을 한다든지, 김밥을 한다든지, 아침에 먹을 주먹밥에 다져 넣는다든지, 이렇게 활용을 합니다.
    제일 좋은 것은 반찬을 한번에 많이 하지 않는거고요.

  • 11. ...
    '13.9.28 3:16 PM (119.148.xxx.181)

    밥 남은건 조금이라도 그때 그때 모아서 한 끼분만큼 모아지면 볶음밥 한번 해요.
    볶음밥도 남으면 냉동실에 뒀다가 급할 때 요긴하게 먹어요.
    새 반찬도 하루에 한 가지씩만 하고 오늘 새반찬+어제 남은 반찬 이렇게 상 차리세요.
    찌개나 국 종류 카레도 어중띠게 남을때가 있는데 그냥 얼려요.
    그럼 혼자 한끼 먹을때, 급할때 요긴하게 씌여요.

  • 12. ..
    '13.9.28 3:39 PM (1.224.xxx.197)

    저두 벌받는다고 어릴때부터 교육받아서
    싹싹 먹어치우다보니
    살만찌고
    소화불량되고...
    살빼고 약 사먹고하는게
    돈 더 많이 들거 같아서
    왠만하면 그냥 버려요
    식구들도 묵은반찬 먹기싫어하면
    저두 마찬가지 먹기싫더라구요
    억지로 먹는거 정말 싫어요

  • 13. 1029
    '13.9.28 5:43 PM (175.125.xxx.11)

    물 부어 버리세요.
    배부르다면서도 습관적으로 먹는 후배에게 쓴 방법인데 한달정도 되니까 버릇이 없어지더라고요.
    정리하면서 물 부어버리세요

  • 14. ..
    '13.9.28 11:09 PM (1.235.xxx.201)

    밥은 냉동실에 두었다 날잡아서 누룽지로 만들어서 냉동실에 보관하고 아침에 누룽지끓여드시면 좋아요.

  • 15. ㅁㅁ
    '13.9.29 2:47 AM (116.40.xxx.4)

    쓰레기통으로 가야 할 것을 님의 뱃속으로 위치이동시키지 마세요

  • 16. 원글
    '13.9.29 11:32 PM (1.238.xxx.98)

    댓글 달아주신 분들 고맙습니다.

    저는 금방 한 밥이 아니면 냉동실에 넣으면 맛이 없을줄 알았거든요.
    복음밥을 해서 넣어놓는 방법도 있었군요~~
    갠적으론 누룽지 만드는게 제일 맘에 드네요.
    누룽지밥 사랑하는데 전기밥솥에 밥 해서 집에선 못 먹거든요. ^^

    82쿡 사랑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1013 일산인데 하늘이 샛누렇네요 9 ㅇㅇ 2013/12/12 1,896
331012 꾹꾹 참고.. 직장 다니면 언젠가는 더 좋은날 오겠죠? 6 워킹맘 2013/12/12 1,230
331011 저희도 아직 난방 안해요. (전기장판도 안켜고 있음) 19 겨울 2013/12/12 4,163
331010 이마트 마누카꿀 괜찮을까요 2 2013/12/12 2,108
331009 '두개의 냉전, 박근혜정부가 끝내야' 美허핑턴포스트 세우실 2013/12/12 717
331008 지노베타딘 효과 좋은가요? 5 으앙 2013/12/12 5,268
331007 방학동안 공부할 수학문제집 추천해주세요 초1 2013/12/12 588
331006 몇년전 (국가지원전) 유치원 원비가 궁금해요 2 유치원원비궁.. 2013/12/12 747
331005 알레르기성비염약 관련 문의입니다. 9 비염 2013/12/12 2,877
331004 12월말까지 정치자금 기부하시려는 분들 그네 2013/12/12 613
331003 진부령 두번째 글 35 진실 2013/12/12 12,118
331002 오늘 내린 눈, 안 좋은 눈인가요? 1 2013/12/12 946
331001 쇼파 질문 2013/12/12 746
331000 오리알이 생겼어요ㅠ 6 오리 2013/12/12 1,039
330999 노인들은 암보다 골절이 더 무섭다--신발추천해주세요.. 5 오늘도 넘어.. 2013/12/12 1,981
330998 가죽롱부츠 얼마에 구입하셨나요? 8 28만원 2013/12/12 1,683
330997 남편의 폭언문제 상담드려요.. 16 ... 2013/12/12 5,154
330996 닭가슴살로 스테이크 할때요 소스는 뭐가 맛있을까요. 초딩입맛에.. 4 2013/12/12 1,085
330995 선풍기 높이가 낮은것하고 높은것하고 어떤게 낫나요? 2 1m20cm.. 2013/12/12 917
330994 겨울에 미국 유타주 여행갈만한가요? 5 조언 좀 주.. 2013/12/12 3,329
330993 배추 한포기..엄청짜게 절여졌는데..양념좀.. 4 ,,, 2013/12/12 691
330992 산업공학과 어때요? 5 정시맘 2013/12/12 1,919
330991 아이가 어린이집을 1년마다 옮겨야할것 같은데 적응할수 있을까요?.. 8 슬픈 엄마 2013/12/12 1,486
330990 오늘자 다음웹툰 뽀짜툰 2 좋다 2013/12/12 749
330989 스테이크 집에서 궈먹을때 어느 부위 주로 사세요? 7 ... 2013/12/12 1,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