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장내시경 후 회복(?) 시간?

대장내시경 조회수 : 44,159
작성일 : 2013-09-25 16:09:57

 

아침 10시에 종합병원에서 대장내시경과 위내시경을 받고

 

저녁 비행기로 뉴욕 출장을 가야하는데

 

너무 무리가 되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수면내시경을 할거예요.

 

대학병원이라  환자가 많아서 그런지 날짜를 변경하기도 어렵네요.

검사 날짜를 한 달 뒤로 미뤄야한다고...

 

출장이 갑자기 잡히는 바람에 난감하네요.

 

 

대장내시경은 하고 나서 힘들 것 같은데,

 

오후에 집에 와서 세시간 정도 쉬고 비행기 타러 가는거 무리 없을지...

 

대장내시경 후에 식사 바로 평소와 같이 해도 되나요?

 

아니면 소화잘되는 음식이나 죽으로 식사해야하는지...

 

원래 체력도 약한데, 아이고...

 

대장내시경 경험해보신 분.... 한 말씀 부탁드려요.

IP : 121.167.xxx.206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한달전
    '13.9.25 4:12 PM (125.177.xxx.135) - 삭제된댓글

    대장,위 내시경 수면으로 했어요. 오후 3시에 하고 4시30에 병원 나와서 7시30분 기차탔어요. 배는고픈데 밥이 안먹혀요. 물많이마시다가 저녁에 본죽 사먹었어요.
    검사전이 힘들었지 하고나서는 기억도 없네요. 세시간집에서 쉬시면 충분할듯~

  • 2. 제제
    '13.9.25 4:14 PM (119.71.xxx.20)

    무리는 없을 듯..
    하고 나서도 픽픽~~설사기가 조금 있지요^^
    완전히 비워서 인지 속이 생각보다 쓰려 점심 죽먹고 위장약을 먹었어요.
    점심,저녁정도는 죽으로.. 맵지 않은 음식 먹는게 좋아요.

  • 3. 아...
    '13.9.25 4:14 PM (59.187.xxx.13)

    대장내시경은 일단 속을 다 비워내게 해요. 마지막 한 방울까지 다 짜내는 느낌?
    검사 후에 부드러운 식사가 필수..
    더군다나 속도 안 좋으시다니.
    검사 전에 흰 물약을 엄청나게 마시게 하는데 맛이 좀 그래요.
    예약한 병원에 전화해서 문의해 보시는게 좋을듯.
    님 건강상태를 정확히 모르니까요.

  • 4. ...
    '13.9.25 4:15 PM (58.120.xxx.232)

    아침 8시반에 대장 내시경 받고 점심에 남편이랑 국밥 사먹었어요.
    남편은 출근하고 전 집에서 집안일 했는데 설사기가 조금 있는 거 빼곤 괜찮았어요.
    처음 했을 땐 저 혼자 운전하고 집에 갔어요.

  • 5. 저는
    '13.9.25 4:27 PM (180.224.xxx.207)

    수면내시경 안했는데도 진통제로 놔주는 주사만으로도 검사 끝나고 한참 어지럽고 미슥거려서 병원에서 한참 누워있다 왔어요.
    검사 이후로도 하루정도 설사도 몇 번 하고요. 저는 하고나서 이삼일 기운없다 느낄 정도였어요.
    개인차가 커서 뭐라 말을 못하겠네요.

  • 6. 울남편
    '13.9.25 4:29 PM (220.76.xxx.244)

    대장내시경 위 모두 수면내시경으로 하고 집에는 대리 불러서 왔다가 차끌고 한시간 걸리는 회사로 출근했어요 저는 아무것도 안나와서 죽먹었고 남편은 대장위 모두 용종제거해서 4시간 뒤엔가 죽먹었어요 저는 수면내시경해서 그런지 좀 어지럽던데 남편은 아무렇지도않다고, 수면내시경후 주의사항이 운전을 안하는거랍니다

  • 7. 원글
    '13.9.25 4:38 PM (121.167.xxx.206)

    댓글 주신분들 감사드려요.

    뉴욕까지 2박 4일로 다녀오는 출장이라 평소에 멀쩡할 때 가도 녹초가 되어서 오는데
    검사후에 가면 어떨까 걱정이네요. 스트레스 엄청 받을 텐데...
    용종있으면 내시경하면서 제거하고 검사할거란 얘기 듣기는 했는데...
    일단 검사날짜 변경 안하고 그냥 하는 걸로 해야겠네요.
    제발 하고 나서 멀쩡 했으면 좋겠네요...^^

  • 8. 굿라이프
    '13.9.25 4:39 PM (121.139.xxx.161)

    한참전에 30초반에 위,장내시경(수면내시경 아님)을 오전에 끝내고 엄마랑 점심 외식하고
    집에 왔는데 피곤해서 누워잤어요.
    생각보다 많이 힘들었어요. 저도 며칠 기운없었던거 같아요. 참고하세요.

  • 9. 간단한걸까요
    '13.9.25 4:41 PM (175.117.xxx.31)

    예전에 대장 내시경 받고 반신마비 된 분 이야기가 갑자기 떠오르네요..헐...대장내시경 받다가도 그렇게 돼? 그러면서 방송 봤던 기억이 있어요..당시 병원과 소송중이라 했는데 지금은 어찌 되었는지 궁금하네요.
    대장내시경 부작용도 검색 통해 알아 보시기 바랍니다.

  • 10. 푸른잎새
    '13.9.25 4:46 PM (1.236.xxx.89)

    국내 출장도 아니고 외국인데 왠만하면 한달 뒤로 검사를 미루시죠.
    그렇게 급하게 검진 받아야 하나요?
    제 친구라면 말리고 싶어요.

  • 11. .....
    '13.9.25 4:52 PM (125.133.xxx.209)

    수면 내시경 하면 일단 그 날 운전은 못하게 해요.
    행여 졸려서 사고날까봐서요.
    그외에는, 대장에 공기를 좀 넣어가면서 보는 경우, 다 끝내고 나서도 그것 때문에 좀 * 마려운 느낌이 날 수 있어요.
    더러운 얘기지만 ㅠ 화장실 가셔서 *귀 많이 뀌시기 바랍니다. ㅠ
    끝나고 나서 설사처럼 조금 나올 수도 있구요.
    내시경 후 한동안 식사를 너무 거북한 것, 거한 것은 잘 안 먹힐 수도 있어요.

    시술 후 한 시간 정도 회복용으로 누워 있으라고 할 수도 있어요.
    비행기 시간 늦지 않을 지, 시간 계산 해 보세요.

    저는 회복실에 누눠있다가 집에 가라고 하면 화장실 좀 들렀다가 집에 가면 전혀 문제 없을 듯 싶어요.
    지하철 1시간반 타고 집에 오는 데에도 전혀 문제 없었어요.

    다만, 아주 드물게, 내시경에서 용종이나 기타 검체 절제한 후, 피가 잘 안 멈춘다든가,
    장천공이 되었다든가 하는 경우는,
    응급으로 내시경이나 수술 등이 필요한 경우가 아주 드물게 있을 수도 있어요.
    이런 경우까지 감안하면 내시경을 미루는 게 낫겠지만,
    이런 거는 워낙 드물기 때문에..

  • 12. 저는
    '13.9.25 7:38 PM (108.162.xxx.102)

    한달반 전에 했는데요. 검사전에 그러더라구요. 용종 제거후 2주내에 비행기 탈 수 없다구요. 혹시 모르는거니깐 대장내시경을 출장갔다와서 하세요. 작은 용종이라도 내시경하면서 제거하는 편이 낫죠.

  • 13. 대장 작은 용종 제거 후
    '13.9.25 9:16 PM (124.111.xxx.236)

    전 아주 작은 용종 제거하고 하도 엄포를 해서 1박 입원 했다 퇴원했어요.
    용종 떼어낸 부위에 혹시 출혈이 있을지도 모르니 병원에서 관찰해야 한다는게 이유였어요.

    그 담날 아침에 엑스레이 찍고 아무 이상 없다는 것 확인한 후 퇴원 했어요.

    만에 하나 있을지 모를 용종 떼어낸 부위의 출혈을 염려한 처치였는데
    암튼 저를 위한 판단이었으니 뭐라 할 수도 없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9077 210L 딤채 쓰시는 분 좀 봐주세요. 3 김장이문제 2013/11/11 1,140
319076 김장값 1 김장 2013/11/11 1,549
319075 8년전 일자목이 다시 온걸까요 1 .. 2013/11/11 944
319074 제주도 여행 ..날씨 4 50대 후반.. 2013/11/11 1,079
319073 요즘 슈퍼맨이 돌아왔다 정말 잼있게 보고 있어요 ㅎ 6 기분좋은 하.. 2013/11/11 2,280
319072 남아선호사상이 성비불균형 보다 오히려 다산이나 심지어 여초현상을.. 11 진자바라기 2013/11/11 1,993
319071 동남아나 인도 남자들이 피부 하얀 여자들을 좋아한다는게 사실인가.. 6 .... 2013/11/11 10,179
319070 대전에 사시는 분들 대전대 이미지는 어떤가요? 18 miss M.. 2013/11/11 10,454
319069 숄카라 코트 어디꺼가 이쁜가요? 앙이뽕 2013/11/11 727
319068 빙그레와 같은 심정이에요. 7 지금 2013/11/11 1,765
319067 집에서 애들이 간식으로 먹기 좋은 떡요 1 소년 2013/11/11 1,107
319066 토요타 캠리 타시는 분 계세요? 2 궁금한 아줌.. 2013/11/11 1,979
319065 대학 교수가 쓴 과도한 대통령 비판을 경계한다는 글 6 서민 2013/11/11 1,194
319064 뭐이런 남자가 있죠? 웃긴당 2013/11/11 1,258
319063 잠실.신천인근 7 치과 2013/11/11 1,359
319062 제사전 저녁밥 대신 떡이나 김밥 어떨까요? 22 제사날 2013/11/11 2,906
319061 말 못하고 산만한 18개월 아이 발달치료 필요할까요? 7 평온 2013/11/11 3,382
319060 스텐 20cm냄비에 라면몇개까지 넣고 끊일 수 있을까요? 4 냄비 2013/11/11 976
319059 맛있는 시판 돈가스 소스 알려주세요 7 돈가스소스 2013/11/11 2,729
319058 나정이 남편 칠봉이였으면 좋겠어요. 23 .. 2013/11/11 2,573
319057 신용카드 결제 취소하는 건 문자로 안오나요? 9 궁금해요 2013/11/11 18,700
319056 겨울에 한라산 많이 힘든가요? 2 갈수있을까?.. 2013/11/11 1,066
319055 대학졸업예정자 과외비 질문.. 2 과쇠 2013/11/11 1,010
319054 에일리 누드가 왜 문제가 되는지 39 손님 2013/11/11 15,613
319053 삼실 일하시는분들,,,,차가운발..시린발...어찌해요?ㅠㅠ 18 아롱 2013/11/11 2,8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