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김장김치 간을 짜게와 싱겁게-두가지로 하시는분 계신가요?

김치반찬 조회수 : 1,980
작성일 : 2013-09-23 12:14:57

오늘 절인배추 신청하고 어떡게 김장을 할까 검색중입니다.

저는 엄마가 다른음식은 잘하시는데 김치에 유독 약하셔서

어릴적부터 맛있는 김치를 못먹고 자라왔어요.ㅎㅎ

찌개나 김치전 김치볶음밥등 엄마 김치를 이용 다른 음식으로 환생시키면 먹을만한데

통에서 바로 꺼내 썰어서 반찬으로 한접시 내놓으면 아무도 안먹었지요.ㅜ

바로 먹을수 없게 짜기도 했고..김치는 그냥 그렇게 김치찌개나 이런걸 만들어 먹는 음식이다 뭐 그러고 살았는데...

중학교때 반찬으로 싸온 친구네 엄마 김치맛..와 정말 충격이었어요.

어쩜 그리 아삭 상큼, 정말 밥에 김치만 있어도 먹겠더라고요.

그래서 엄마한테 우리도 그렇게 해달라 졸랐는데

엄마가 결국 못해주셨어요. 먹어보라고 해놓으시면 똑같고..ㅎㅎㅎ

지금 생각하면 그때 우리 엄마, 얼마나 속상하셨을까..나도 맛있는 김치 하고 싶다고~~~!!!! 하셨을것 같아요.

그런데 제가 결혼하고 이제 김장을 담아먹고보니

흑흑흑...

제 김치가 그래요.

유명한님들 레서피 따라해보고 그랬는데, 심지어 저울까지 가져다놓고 양념양을 재서 하기도 했는데

별 재미를 못보았어요.

산들바람님것은 처음엔 맛있는데 오래 보관이 안되더라구요.

무우를 갈아 넣으라는 어떤 레서피도 별로....

작년 김장은 50키로라는 많은 양에 부담을 느껴

오래 보관할수있어야된다 생각에만 집중, 심지어 너무 짜게 되었어요.

결국 요리물음표에 올려 중간중간 무우를 심어보라는 말씀도 얻어듣고 그랬지요.

어느님 말씀이 짠 김치는 다음해 추석지나 먹으면 오히려 맛있다 하셔서 안심하기도 했었구요.

그러나 제 로망처럼 한접시 썰어서 밥반찬으로 먹는 호사는 역시나 누릴수가 없었어요.

정말 여러가지로 고민고민해보다가

"내 김치의 문제는..너무 짜서 그래. 싱겁게 하면 예전 민정이엄마의 김치맛이 날수도 있어" 

하고 일단 결론을 내렸어요.

그래서 이번에는 김장김치 양념을 두가지로 해볼까 하는데 이 방법은 어떤것 같으세요?

한통은 조금 슴슴하게 담궈 제 소망인 맨밥에 맨김치 반찬으로

한통은 짭잘하게 담궈 묵은지 보관용으로..

이것 괜찮을까요?

바로 먹어도 맛있고 조금 있다 먹어도 맛있고 묵혔다 먹어도 골마지나 곰팡이가 끼지않는

쨍쨍한 김치로 먹을수있는 그런 레서피가 있을까요?

고수님들 답변 주시면 감사한 마음으로 참고하겠습니다.

그럼 안녕히 계세요.

IP : 1.241.xxx.124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9.23 12:27 PM (119.148.xxx.181)

    우리 시댁 김치가 조금 슴슴해요.
    김장 익었을때 먹으면 정말 시원하고 맛있고요.
    나중에 몇달 지나서 묵은지 되면 아삭한 맛은 많이 사라져요.
    그래도 겨울동안은 먹을만해요.
    일년 두고 먹어도 곰팡이나 골마지는 잘 안끼어요.
    슴슴해도 배추가 공기와 접촉하지 않으면 되는걸로 알고 있어요.
    위에 우거지 덮어주면 될거 같아요.
    레시피는 울 어머니도 감으로 하셔서 ..저도 모르고요..

  • 2. 원글
    '13.9.23 12:29 PM (1.241.xxx.124)

    아, 공기와의 접촉만 막으면 괜찮은 것이군요.
    굳이 간을 두가지로 할필요가 없다는 말씀이시지요?
    댓글 감사드립니다. 참고할게요.^^

  • 3. ..
    '13.9.23 12:38 PM (119.148.xxx.181)

    네 저희는 그 김치로 일년 내내 먹고요..
    그런데 감이 슴슴하면 나중에 익으면서 국물이 많이 나와서 김치통 넘치는 일이 종종 생겨요.
    김치통에 80% 정도만 채우세요.
    저희는 사실 우거지 안 덮어도 그 국물 때문에 김치가 잠겨서 골마지 안 생기더라구요.
    김치냉장고 사고 김장 일년씩 먹은게 10년째거든요.

  • 4. 원글
    '13.9.23 12:53 PM (1.241.xxx.124)

    아..국물속에 잠기니 그럴수 있겠군요.
    슴슴하면 80%만 채워넣기, 또 하나 배웁니다.
    제 김치는 주로 짤때가 많아서 넘치진 않았었거든요.
    항상 국물이 아쉬웠어요. 접시에 담아 놓으면 국물이 없어 금새 말라버리고..ㅎㅎ
    119님 말씀 참고해서 맛있는 김치 담궈보겠습니다.
    맛있는 점심 드세요.^^

  • 5. ...
    '13.9.23 1:01 PM (58.120.xxx.232)

    원글님 맛있는 김치 비결이 따로 없어요.
    김치가 국물에 푹 잠겨 있거나 공기와 닿지 않으면 됩니다.
    그리고 그상태로 오래 오래 자연숙성되면 정말 맛있어요.
    저희 엄마 김치는 전형적인 전라도 김치로 맛이 진하고
    시어머니 김치는 서울 김치로 엄청 시원하고 아삭 거리거든요.
    근데 두분 다 비결은 공기와 닿지 않게 하고 국물에 김치가 잠겨있게 하는 거에요.
    요새 누름돌 김치통 같은 거 하나 사서 한번 해보세요.

  • 6. 원글
    '13.9.23 1:09 PM (1.241.xxx.124)

    58님, 공기와 닿지 않게 하는게 참 중요한 것이었군요.
    누름돌 김치통 해보겠습니다.
    올해는 김장 맛있게 할수있을것 같아요. 아이 벅차라..ㅎㅎ
    성의있는 댓글 감사드립니다.^^

  • 7. ..
    '13.9.23 1:28 PM (118.221.xxx.32)

    한번에 너무 많이 하지마시고 두번으로 나눠 해보세요 11월에 한번 2월에 한번
    아무래도 시간지나면 그 맛이 달라지죠
    묵은지도 나름 맛있지만요
    간도 자꾸 먹다보면 .. 엉망 되서 한두번에 끝내요
    그리고 위에 비닐이나 우거지 덮어두고요

  • 8. 지나가다
    '13.9.23 1:29 PM (211.182.xxx.2)

    엉뚱하게 들릴지 모르겠는데요
    원글님 글투가 넘 이뻐요^^
    맘씨도 따뜻하실 것 같아요~

  • 9. 원글
    '13.9.23 2:32 PM (1.241.xxx.124)

    118님, 간을 자꾸 보면 엉망이 된다는 말씀..깊이깊이 공감입니다.
    뭣 좀 아는듯이 먹어보고 먹어보고 갸우뚱갸우뚱 나중엔 다 뭔가 뭔지..ㅎㅎ
    2월쯤에 새김치 조금만 담궈 신선하게 새로 먹는것도 좋은 방법인것 같네요. 감사드려요.^^

    211님, 정성댓글 달아주시니 저도 모르게 친절하게 답글을 달게되서 그런것같아요.
    엉뚱하게 답글 주셔서 몸둘바를 모르겠고 기분도 좋아져서
    학교갔다 돌아온 아이에게 과잉친절한 엄마 되었어요.ㅎㅎ
    좋은 하루 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3349 미라지 가구는 원목인가요? ... 2013/11/22 1,282
323348 간만에 맘에 드는 패딩 발견했는데 같이 봐주실래요..^^; 16 패딩고민 2013/11/22 5,492
323347 패딩글은 어째 맨날 올라오네요 17 ㅡㅡ 2013/11/22 2,230
323346 지금 밍크입으면 오버일까용??^^ 7 11월 2013/11/22 1,444
323345 절임 배추 어디서 구입 하시나요?! 2 .. 2013/11/22 1,398
323344 옷태나는 동생보니.. 61 음... 2013/11/22 17,058
323343 중고차로 뉴세라토 어떤가요? 2 풀잎처럼 2013/11/22 1,517
323342 아동 내복 사이즈 질문 좀 드릴께요..ㅠㅜ 1 애엄마 2013/11/22 3,043
323341 전 왜 이영애가 남편을 위한 만찬이라는 생각이 들까요? 8 ㅈㅊㅎㅅㅍ 2013/11/22 5,126
323340 방콕에 사시는 교민분 응답하라 2013 10 띵이 2013/11/22 1,896
323339 중국 패키지에서 본 모녀 이야기(현시스템에 맹종하는 사람들 심리.. 17 무슨 심리?.. 2013/11/22 3,594
323338 박신혜 키가 168이나 되는거 아셨나요? 39 놀람 2013/11/22 51,660
323337 도를 닦고 싶은 분은 안계신가요? 8 지랴 2013/11/22 1,396
323336 제스트항공 출국확인할라니까 필리핀으로 연락해야된다네요 제스트항공 2013/11/22 1,088
323335 폰에있는사진을 컴퓨터로 옮기는방법 아시는분~~ 7 님들 도움좀.. 2013/11/22 1,641
323334 주운 지갑 주인 찾아주고 파출소서 공부하는 초등생에 네티즌 극찬.. 14 무명씨 2013/11/22 2,963
323333 부산에서 고기 시킬때 3인분이 기본인가요, 17 좋은날 2013/11/22 2,713
323332 저 어제 김장 다 했어요~~~~^^ 3 김장끝~~~.. 2013/11/22 1,323
323331 국정원 트윗 121만건…특검 정국에 '뇌관' 4 세우실 2013/11/22 2,079
323330 대만 다녀오신 분 .. 11월말 날씨 아세요?| 3 프라푸치노 2013/11/22 11,535
323329 중국어전공 29 진로 2013/11/22 2,498
323328 6학년 딸 수학 과외? 학원? 어느게 나을까요 2 예비중 2013/11/22 1,186
323327 wenckebach 발음 6 의학용어 2013/11/22 1,260
323326 돈크라이마미 끔찍하네요 9 중3딸맘 2013/11/22 2,333
323325 가스렌지 위에 렌지후드 직접 청소해 보신 분 계신가요? 6 fdhdhf.. 2013/11/22 1,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