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칠순준비 하실때 자식들이 의논하지 않나요?

며느리 조회수 : 3,163
작성일 : 2013-09-22 13:27:13
시아버님 칠순이 올해에요.
저는 시댁 경조사에 제가 먼저 의견을 내놓고 싶지 않아서 그냥 참아요.
시댁일에 이런저런 얘기 하고 싶지 않고..

저희 친정 같은 경우는 부모님 환갑이든 칠순이든 미리 의논도 하고
회비도 모으면서 대비하고 그랬는데

시댁은 그런것도 전혀 없이 ..
처음에 한번 저희가 주도해서 회비 모으자고 했다가 몇달 내고 안내는
시누이,시동생 때문에 그냥 없어졌어요.


이번 명절에 칠순에 대한 의논이나 어떤 얘기가 나올 줄 알았더니
자식들은 부모 칠순이 올해인지 잘 모르는 거 같아요.
얘기들이 전혀 없었거든요.


서로 근거리에 사는 것도 아니고 해서
명절때 만나면 이런 것들은 미리 의논하고 그래야 할 것 같았는데
정작 자식들이 아무 생각이 없는 듯 싶어서..


위에 말했듯이 저는 시댁 일에 저혼자 나서서 이렇게 저렇게 하고 싶지 않아요.
이런저런 사정도 있고..


그래서 명절 전날 저녁에 다 같이 모였을때 자식들 중 하나라도 말이 나오지 않을까 하다
아무말없이 그냥 넘기는 거 보고 저도 그런가보다 하고 말았어요.


이런 경우 다른 분들은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해요.
하긴 먼저 나서서 말씀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저는 그러고 싶지 않다 했으니...

그냥

알아서 뭐 하자고 할때까지 가만 있어야 하나
남편에게 말을 해줘야 하나.


정말 이조차도 싫으네요.  자기부모 경조사 계획도 전혀 없는 남편도. 남편 동생들도..
IP : 58.78.xxx.62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맏며느리신가요
    '13.9.22 1:29 PM (118.221.xxx.32)

    남자들 자기 부모 생신도 알려주지 않으면 몰라요
    올해 칠순이다 정도만 남편에게만 얘기 하세요 그 뒤야 알아서 하게 둬 보고요
    시부모님 본인은 아실텐데....

  • 2. 맏며느리
    '13.9.22 1:31 PM (220.76.xxx.244)

    남자들은 잘 모를수가 있어요.
    어떻게 할지, 요즘은 이렇다더라 사례를 여러가지 알려드리세요.
    어디다 물어볼 줄도 모르는게 남자더라구요

  • 3. ㅁㅁㅁ
    '13.9.22 1:33 PM (223.62.xxx.35)

    님남편이 장남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님부부 먼저 얘기해서 어느 선으로 할지 대략 선은 정해놓고 다른 형제들에게 님남편이 말하는게 ...
    의논 안하다가 닥쳐서 갑자기 목돈 혼자 부담하라든지 하면 정말 싫은데 아무래도 그런 형제들인가보네요.
    만약 맏이 아니라면 누군가 말 꺼낼 때까지 기다리셔야겠지요.
    어느 수준으로 할지 가계 상황에 맞게 얘기하더라도
    자기 부모 아니라 저런다고 오해하기 쉬운 일이더라고요.

  • 4.
    '13.9.22 1:34 PM (39.118.xxx.210)

    맏며느리면 얘기를 원글님 부부가 꺼내고 주도해야죠 아니라면 전 좀 기다려보겠어요

  • 5. 자식들이
    '13.9.22 1:39 PM (124.50.xxx.60)

    알아서 하게하는데 나몰라라 방관했다가 그화살이 며늘한테 갈까두려워요 잘되면 자식이고 안되면 며늘

  • 6. 원글
    '13.9.22 2:00 PM (58.78.xxx.62)

    남자들은 잘 모른다는 것도 일반화하긴 그렇고 성격 문제고 꼼꼼함 차이같아요.
    저희 친정은 남자 형제들도 부모님 경조사는 특별히 더 잘 챙겨서 관리하고 그래요.
    미리 표시도 해놓고.. 그렇다보니 꼭 장남 아니더라도 누구라도 먼저 얘기 꺼낼 수 있고 그렇지요.

    네. 맏며느리는 맞는데 뭐 그것에 대해서 말하고 싶진 않고.^^;
    그나마 결혼하고 몇년간 제가 참 이러저러 노력도 하고 이런 경조사에 대비해서 회비도 모으자고
    했었는데 시작하고 몇달 지나서 시누이나 시동생은 내지도 않고 말해도 또 넘기고 그래서
    없어졌어요.

    장남이다, 맏며느리라고 차별 받은 거 전혀 없고 오히려 역차별 받은 경우라고 보시면 되고
    전혀 지원받은 거 없어요 (아..이건 또 큰아들이라고 뭐 받아서 어쩌고 저쩌고 하면서 이런거는
    나몰라라 한다...하실까봐요)

    그리고 뭘 받고 안받고의 문제가 아니라 저는 시댁에서 좀 당한게 많아서 감정이 좋지 않아요.
    또 저희가 잘 사는 것도 아니고 형편도 좋지 않기 때문에 장남이라고 더 하고 말고 할 수도 없고
    전 똑같이 다 나눠서 할 거고요.


    하긴...저희 남편 자기 부모님 나이도 잘 모르긴 하더군요. 다른 시누이도, 시동생도 마찬가지..
    장남이라고 오빠, 형이라고 어려워하거나 그런 대우를 하는 건 아니고 좀 서로 다 만만하게 보는
    성격들이 강한 그런 모습이에요. 특히 시누이.
    무슨 일 있으면 나서서 이렇네 저렇네 하는 시누이조차 아무 말 없는 거 보니 시누이도 몰라서
    가만 있는 듯 싶고요.


    남편에게 말해주고 알아서 의논하게끔 해야겠네요. 남편 통해서 의논되어지는 거 보고
    제가 할 수 있는 한도내에서만 할 것이고요.

  • 7. .............
    '13.9.22 2:07 PM (182.208.xxx.100)

    70?? 71?? 어느 나이 신가요?/

  • 8. 원글
    '13.9.22 2:09 PM (58.78.xxx.62)

    칠순은 딱 70에 하는 걸로 아는데요.

    만으로 하는 건 환갑이고요

  • 9. 원글님
    '13.9.22 2:14 PM (220.76.xxx.244)

    일반화가 어렵다는거 저도 압니다.
    님 친정은 그런 문제에 형제간에 의논이 잘 되는 반면에
    님 남편분이 장남이시고 주위에 이런 문제 먼저 경험한 바가 없으면
    이럴수 있으니 이해하세요.
    저희는 친정이 잘 모르는 편이고 시댁은 어른들이 만세력펴놓고
    사돈 생년월일까정 표시해두고 해마다 카운팅하시네요.
    이런 분위기에서 살아온 아들 딸하고
    자식 생일 언제인지 모르는 부모 아래서 자란 아들 딸하고 천지차이입니다

  • 10. 원글
    '13.9.22 2:56 PM (58.78.xxx.62)

    위에 원글님 맞아요. 일반화 어렵지요. 다 다르고요.
    그저 저는 친정에서 그나마 서로 회비걷고 같이 하던 문화라서 익숙하고
    그런 이야기나 분위기를 저희 남편도 알긴 해요. 벌써 결혼 몇년이니.

    반대로 시댁은 좀 다르기도 하고 형제들도 서로 따로 노느식이라.
    이런 경조사에 제가 나서서 뭘 하고 싶지 않다는 것이 큰 것이긴 한데
    이게 제가 시댁에서 받은 상처가 많아서 더 그렇고요.

    어찌됐든 남편에게는 말해서 뭘 하든 미리 준비할 수 있게 해야겠습니다.
    사실 자기 부모 경조사에 대한 걸 제가 이렇게 얘기해줘야 한다는 것도 전 참 싫으네요.

  • 11. 같은 입장
    '13.9.22 3:36 PM (125.177.xxx.190)

    친정은 비용문제며 소소한 이야기가 오갔는데요
    시모 칠순 아직 아무 얘기가 없네요.
    근데 닥치면 아들딸 의논할거 같아 저는 신경 안쓰고 있어요.

  • 12. 시댁일은
    '13.9.23 12:14 AM (119.64.xxx.153)

    나서지 않는게 편하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2652 외국인들과 우리나라사람들의 차이점.txt 7 zz 2013/09/28 2,316
302651 내가 한 음식 중 식구들이 사먹는 것보다 더 맛있다고 하는 것 .. 72 레서피추가 2013/09/28 8,838
302650 오래된 식기세척기 세척력 줄어든거 같지 않나요? 2 000 2013/09/28 1,274
302649 임신을 했는데 원래 이런가요? 3 노산 2013/09/28 1,124
302648 토요일 농협 atm기 공과금 수납 되나요? 2 농협 2013/09/28 4,801
302647 요즘 모기의 공습으로 잠못자는사람 많은거 같던데 2 ... 2013/09/28 1,190
302646 돋보기?다초점안경?수술 2 40후반 노.. 2013/09/28 1,190
302645 조국 교수가 공개한 버클리대 제소의견 발췌문 일부 번역본 9 희재고마해 2013/09/28 1,406
302644 아이가 없으니 주변에 아는 사람도 없고... 20 외롭다 2013/09/28 3,944
302643 영양사의 식단비 얼마나 줘야 하나요? 3 하로동선 2013/09/28 1,368
302642 카드 명세서 두장 꽉차 와요...ㅡㅜ 5 2013/09/28 1,649
302641 의혹 부풀리기·망신주기로 끝난 '채동욱 감찰' 10 썩은 감찰 2013/09/28 1,320
302640 공부는 집에서 하도록 습관드는게 도서관보다 6 중학생엄마 2013/09/28 2,966
302639 교보생명 토요일도 업무하나요? 1 영업시간 2013/09/28 1,255
302638 '그사람 사랑하지마' 노래 들어보셨나요? 노래 2013/09/28 657
302637 강릉펜션 젤마나 2013/09/28 776
302636 당뇨환자에게 보리와 찰보리중 어느게 좋을까요? 3 어리수리 2013/09/28 10,695
302635 알밤줍기체험, 괜찮은 곳 좀 알려주시와요~^^ 2 알밤줍기체험.. 2013/09/28 865
302634 암 환자이신데요 4 궁금맘 2013/09/28 1,792
302633 동해안 백골뱅이 4 ㅎㅎ 2013/09/28 1,894
302632 종편이지만 이방송 보셨나요? 밤샘토론 2013/09/28 784
302631 이성친구 많은 남자 어때요? 10 궁금 2013/09/28 4,897
302630 영화 타이타닉 ("Titanic") 기억하세요.. 1 노래감상 2013/09/28 790
302629 환절기만 되면 목이 말라요 2 화초엄니 2013/09/28 1,257
302628 아빠 사랑을 듬뿍받고 자란 여자들은 51 결핍 2013/09/28 29,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