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너무딱딱해진 멸치조림

밑반찬만드는날 조회수 : 2,719
작성일 : 2013-09-15 13:27:58

어떤 블로그를 보고 따라해보았는데요.

물 올리고당 설탕 간장 넣고 펄펄 끓으면

살짝 볶아놓은 멸치과 호두넣고 조려준다 

그렇게 했는데요.

너무 딱딱해졌어요.

뭘 조심해야 할까요

IP : 211.217.xxx.70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불세기가 답
    '13.9.15 1:31 PM (218.238.xxx.159)

    양념이 끓으면 불을 끄고 멸치를 뒤섞이듯 해줘야하는데 불세기가 실패한듯하네요

  • 2. ....
    '13.9.15 1:32 PM (116.41.xxx.57) - 삭제된댓글

    보통 올리고당보다 물엿 많이 쓰면 딱딱해지던데....
    올리고당 양을 좀 줄이고 설탕을 늘려보세요.
    그리고 저 같은 경우 기름을 아주 약간 넣어요.

  • 3. ...
    '13.9.15 3:20 PM (211.202.xxx.137)

    저도 항상 그게 어렵더라구요. 물을 약간 넣어주었네요...

  • 4. ...
    '13.9.15 4:02 PM (175.214.xxx.70)

    양념 끓으면 불끄고 재빨리 원재료를 섞어 버무린다.

    팬의 잔열로도 수분이 날아가기에 재빠르게 버무려야 딱딱해지지 않아요.
    그리고 냉장고에 들어갔다 나오면 한덩이가 되어 있을때도 있는데 전자렌지에서 아주 잠깐 15초 정도 돌려주면 부드러워지기도 합니다.

  • 5. 볶을때
    '13.9.15 5:25 PM (222.235.xxx.97)

    물도 다섯스푼정도 넣으셔요 부드러운 멸치볶음의 세계가 열립니다

  • 6. 음.
    '13.9.15 5:30 PM (1.177.xxx.116)

    물을 좀 써도 되지만요.
    멸치볶음을 촉촉하게 하는 진짜 비법은 의외로 기름이예요.
    우리가 보통 요즘은 기름을 덜 쓰려고 하잖아요. 그래서 저도 멸치 볶음도 그렇게 했더니 덜 촉촉했어요.
    물을 넣어도 되지만 특유의 질척임과 약간의 비릿함이 있는데 기름을 좀 넉넉히 둘러 하니 역시나. 좋더라구요.

    그렇다고 엄청 많이 쓴다는 건 아니고 기름 좀 넉넉히 둘러 양념을 끓이셔요.
    불끄고 잔열에 뒤섞고 난 후 마지막에 물엿 넣어 주시면 맛좋아요.

  • 7. 최고의 요리비결
    '13.9.15 7:18 PM (61.79.xxx.13)

    선생님들 멸치볶을때보면 기름 엄청 넣어요.
    기름이 많아야 멸치가 촉촉해지고 물엿이나 올리고당은 불 끄고
    맨 마지막에 넣어야 멸치가 윤기가 나고 딱딱해 지지 않는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35930 임대아파트 들어가려면 청약저축 있어야 하죠? 1 dd 2013/12/26 2,380
335929 자연스런 **브라** 추천바래요 (aa컵) 1 ㅇㅇㅇ 2013/12/26 1,513
335928 전기세가 더 나온 이유가 뭘까요? 30 전기세 2013/12/26 3,182
335927 경제와 민생안정을 위해 국민께 드리는 말씀 1 부총리 2013/12/26 545
335926 큰맘먹고 비싼 애들 블록을 사줬는데..짜증나네요.. 5 짜증나 2013/12/26 1,938
335925 요새 창문을 열면 타는 냄새 같은게 납니다. 6 공해 2013/12/26 2,360
335924 세네갈 갈치 사왔어요 12 구이 2013/12/26 4,182
335923 거실마루 결정 도와주세요... 1 결정장애 2013/12/26 1,199
335922 박태만-도법-최연혜 조계사에서 3자 면담 外 5 세우실 2013/12/26 1,084
335921 자기 실수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 그런사람들 진짜 있는것같.. 1 ... 2013/12/26 950
335920 너무 미끌거리는 사과 8 사과 2013/12/26 4,940
335919 고무 곰팡이제거제추천부탁드려요 1 크롱 2013/12/26 851
335918 한림대 어떤가요? 4 고3엄마 2013/12/26 2,787
335917 나라가 좋아지긴 힘들지만 나빠지는 건 순식간이네요 4 천만가자 2013/12/26 1,003
335916 알바 퇴직금 의견주세요 9 의견주세요 2013/12/26 1,536
335915 이 옷 어떤가요? 20 마흔둘 2013/12/26 2,845
335914 얼굴 꼬맨상처흉없애는법 아시면 부탁드려요 3 미소 2013/12/26 3,229
335913 혹시 이유식에 쓸 쌀가루(초기미음)는 어디에서 살까요 13 귤풍년 2013/12/26 1,364
335912 멀리서 출퇴근 하시는 분들 체력은 어떻게 챙기세요? 4 궁금해요. 2013/12/26 1,088
335911 철도노조의 파업을 어떻게 볼 것인가 38 길벗1 2013/12/26 2,974
335910 수서발 KTX 강행, 국민 속인 4대강 사업 빼닮았다 1 사기꾼 천지.. 2013/12/26 1,024
335909 도곡 렉슬, 래미안 그레이튼 사시는 분들께 여쭤봐요 (층간소음,.. 4 토코 2013/12/26 10,937
335908 초6 여자 조카 선물로 뭐가 좋은가요? 4 알려주세용 2013/12/26 1,342
335907 직장건강보험료 정산이 년초 아닌가요? 3 궁금 2013/12/26 1,039
335906 초1 책상없이 살아보신분 어떠신가요? 2 ... 2013/12/26 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