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쌩판 남의 장례식에 가서도 펑펑 우는 사람

..... 조회수 : 4,725
작성일 : 2013-09-09 19:05:42
회사동료분 이야기인데요..

보통 , 사회생활 하다보면 장례식에 자주 가게 되잖아요..

근데 보통 부주하고, 식사하고, 상주하고 이야기 나누다가 오는게 일반적이잖아요..사실 잘 모르는분들이니깐.

근데 저희회사 어떤분은, 정말 쌩판 남의 장례식에 가서도 그렇게 펑펑 우세요..

심지어 상주 가족분들도 안우는데 혼자서 펑펑 우신적도있고, 그래서 가끔 오해하는경우도 있어요. 상주 친척분들이, 이분보고

몇번째 딸이냐고 물어본경우도있고..

근데 사실 이 분이 평소에도 좀 우울한 느낌이 드는분이고, 그러신분이거든요. 말수도 별로 없으시고..늦은 나이인데 결혼도 하지 않으셨고...

그런 감정들이 장례식에 가면 북받쳐서 나오는 걸까요? ㅜ 솔직히 좀 걱정이 돼고 무섭기까지해요. 심성은 착하시고 일도 묵묵히 하시는분인데..
IP : 218.152.xxx.152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마도
    '13.9.9 7:09 PM (124.54.xxx.87)

    감정이입되서 그런게 아닐지..
    친한 분은 시도때도 없이 눈물이 나는데 이것도 우울증의 한 증상이라 약먹고 치료중이예요.

    감정이 풍부할수도 있고 정이 많은 분일수도 있죠

  • 2. 같은
    '13.9.9 7:12 PM (183.100.xxx.240)

    노래를 들어도 자기 감정에 따라
    제각각 다르게 느끼잖아요.
    사람의 죽음에 자기 사연을 이입시키는 거겠죠.
    어떤 사연이 있나보다 하세요.

  • 3. oops
    '13.9.9 7:13 PM (121.175.xxx.80)

    허구 그 자체인 드라마나 영화를 보고도 감정이입되어 펑펑 우는 경우도 많잖아요?^^

    지금이야 사라진 옛날 풍습이 되었지만,
    상주 가족들은 초상내내 곡을 해야하고 문상객도 함께 곡을 해주는 게 우리 전통이기도 했었죠.

  • 4. 어머나
    '13.9.9 7:15 PM (182.216.xxx.72)

    저도 아는 언니 친정엄마 장례식장가서 감정이입되서 울었었어요 시어머니가 편찮으셔서 걱정이 많았었거든요
    정작 시어머니 장례치를때는 생각만큼 눈물이 나오지않아 난처했어요 시아버지가 너무 통곡을 하셔서 그거 보고있느라 슬픔을 잊었네요

  • 5. 제가
    '13.9.9 7:15 PM (119.64.xxx.40)

    제가 그래요. 뉴스보다가 수해로 사망한분 유가족 나오면 펑펑울어요.
    감정이입이 심하게 잘돼요. 장례식장 가면 유가족들 있잖아요. 얼마나
    슬플까 생각하면 너무 안됐고 슬퍼지고 그래요. 우울한거는 아니고
    감정이입이 너무 잘되는 성격인거죠... 아이엠샘 같은 영화는 영화 소개
    영상만 보고도 울고 영화관에 두루마리 휴지 들고 들어가고.. 대충 줄거리
    아니까 영화 시작할때부터 미리 울고... 저도 피곤해 죽겠어요ㅠㅠ

  • 6.
    '13.9.9 7:15 PM (221.165.xxx.195)

    가족의 죽음을 아주 가까이에서 느낀 분일겁니다 남들보다더한 유착관계인 가족이 가서 많은 아픔과 고통을 겪고있고 이겨나가고 있는분일거에요
    저두그래서 잘안갈려고합니다 남들보단 좀많은 액수를 보내긴하지만요

  • 7. ,,,
    '13.9.9 7:19 PM (222.109.xxx.80)

    자기 설움에 더 슬프게 운다는 말이 있어요.
    사연이 있는 사람이고 마음속에 한이 있는 사람이예요.

  • 8. ㅇㄹ
    '13.9.9 7:21 PM (203.152.xxx.219)

    맞아요 자기연민에 더 우는거죠.

  • 9. ㅇㅇ
    '13.9.9 7:23 PM (218.238.xxx.159)

    울고싶었는데 기회를 잡은거.

  • 10. 저는
    '13.9.9 7:24 PM (221.138.xxx.143)

    그런 사람보면 교회다니는 사람인갑다........해요

  • 11. 000
    '13.9.9 7:40 PM (112.154.xxx.159)

    저희 아빠 돌아가시고, 한 몇년동안은 상가집에만 가면 아빠생각이 나서 그렇게 울었네요. 아마도 그분도 가까운분을 보낸지 얼마 되지않으신거 아닐까요?

  • 12. 저도
    '13.9.9 7:49 PM (118.46.xxx.65)

    평소에 완전 이성적인 축이고, 연애까지 합쳐 십오년 이상 본 남편도 저 우는 모습 자주 못봤을 정동인데.. 엄마돌아가시고, 돌아가시기 석달전쯤 많이 편찮으신 가운데서 급하게 결혼해서 인지..
    한동안 그냥 동료분 결혼식, 상가집 가서도 엄청 울었어요.
    평소 회사에서 업무상 별별일 다 있어도 절대 감정적으로 동요되지 않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사람들 다 당황.. 저는 더 당황..

    뭐.. 그럴수도 있다구요.

  • 13. 여린 사람이라 그럴수도
    '13.9.9 7:51 PM (180.65.xxx.29)

    저희 시어머니 보면 그렇더라구요 어머니의 시조카가 외국에서 교통사고로 입원해도 눈에 눈물이 그렁그렁(크게 다친건 아니고) 작은 어머니 얼마나 가슴 아플까 하면서 가슴아파 우시던데요

  • 14. ..
    '13.9.9 7:53 PM (110.70.xxx.186)

    그분은 심각할텐데
    글은 왠지 코믹하네요

  • 15. ,,
    '13.9.9 8:03 PM (116.126.xxx.142)

    박*림이 생각나네요

  • 16. 자기 설움에 우는거겠죠
    '13.9.9 8:14 PM (112.72.xxx.48)

    평소에 울지 못하다가,남의 장례식가서 펑펑우는거 자기 설움에 우는 경우도 많아요.

    가슴에 한이 맺힌게 있거나,뭔가 안좋은일이 있어서 울고 싶은데 참느라 못우는거,
    남의 장례식에서 펑펑 우는거죠.

  • 17. 존심
    '13.9.9 10:29 PM (175.210.xxx.133)

    장례식장에 모셔져 있는 망인이 아니라
    자신이 마음속에 갖고 있는 사람때문에 우는 거죠...

  • 18.
    '13.9.9 10:33 PM (182.213.xxx.128)

    저희 아버지가 몇해전에 돌아가셨거든요.
    그 뒤로 장례식장가면 그때 느낌이랑 감정이 확 되살아나 눈물이 그리 나와요.
    티비보다 영정사진에 검은띠 두른것만 봐도 눈물이 왈칵 쏟아지고...
    그렇다고 뭐 펑펑울고 그러지는 않는데 아무래도 상황이 상황이니 조절은 하지만
    집에 돌아가면서 아니면 집에와서 그 감정을 쏟아내기도 해요
    제 친한 언니한테 이런이야기 하니깐 그 언니도 근래에 아버지가 돌아가셔서 공감하더라구요.
    이런 경우도 있다고 그냥 말씀드리는거예요

  • 19. ..
    '13.9.9 10:56 PM (175.127.xxx.237) - 삭제된댓글

    제가 그래요
    저 스스로도 민망할때가 있어요
    그런데, 아빠가 교통사고로 갑자기 돌아가셨거든요.
    장례식장만 가면 그때의 막막함이 되살아나고,
    상당하신분도 그때 나의 감정과 똑같겠구나 하는 생각에 마음이 많이 아파요.

    드라마, 영화보다가도 잘 울구요

  • 20. 저도 민망
    '13.9.10 4:21 AM (184.148.xxx.145)

    저도 그러거든요
    하물며 병문안 가서 누가 아픈거만 봐도 그아픔이 제가 전해져 오면서
    갑자기 숨쉬기가 힘들어지고 앞이 아른거리다 결국은 제가 졸도를 해요

    저도 감정이입이 좀 안됐으면 좋겠어요ㅠ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98759 신혼집서 홀로 숨진 내 딸, 누가 책임지나 4 사법불륜커플.. 2013/09/20 4,909
298758 오늘은 실컷 쉬려고 했는데 4 늦잠도 못자.. 2013/09/20 2,259
298757 히트레시피에 나온 돼지 고추장 볶음 양념 궁금.. 1 비율 2013/09/20 1,856
298756 비슷하게 내성적이었던 성격인데 결혼하고 달라지네요 2 ... 2013/09/20 2,224
298755 저희는 명절 이렇게 보내요 3 맏며느리 2013/09/20 3,120
298754 단체로 각자 만들어 오는 김장. 있을까요? 1 김치 2013/09/20 766
298753 모기 정말 많네요. 9 .... 2013/09/20 4,033
298752 한관종치료 .. 2013/09/20 1,485
298751 날벼락 4 날벼락 2013/09/20 2,036
298750 아무것도 안하는 형님ㅜㅜ 2 꼬미맘 2013/09/20 4,166
298749 펌)불효하면 받은 재산 내놔야"…효도법안 도입되나 4 ,,, 2013/09/20 2,886
298748 40 넘어서 제가 이런 능력이 있다는 걸 알았어요 60 // 2013/09/20 20,594
298747 제가 많이 보수적이고 낯가리는것인지 5 ㄴㄴ 2013/09/20 1,985
298746 티백차 낼때 티백채로 아님 우려서 내야하나요? 2 손님차 2013/09/20 1,553
298745 아이가 아토피예요 공기청정기 추천해주세요 12 ... 2013/09/20 4,156
298744 가방 헌옷 신발 매입하는사람들 1 양파깍이 2013/09/20 2,568
298743 명절에 여자분들 고생이 많으신듯... 개냥이 2013/09/20 851
298742 나이차많이 나는사람과살면 8 ㄴㄴ 2013/09/20 4,238
298741 80-90년대 팝송 잘아시는분.. 13 ,,, 2013/09/20 2,470
298740 채광을 좋게 해서, 책상 앞에 앉고 싶어지는 사진이네요. 3 ........ 2013/09/20 2,548
298739 파파로티 초등생이랑 보기에 안좋은 장면 있나요 1 영화 2013/09/20 1,209
298738 시엄니가 이유없이 몸 이곳저곳에 멍이 드네요 14 좀다른ㅇ얘기.. 2013/09/20 6,967
298737 장남 자리라는 게 뭘까요? 16 맏며느리 2013/09/20 4,009
298736 해피 투게더 야간매점 역대 레시피 !!! 55 풍성한가을 2013/09/20 22,017
298735 부티 날려면 진짜 이런걸 들어줘야 3 우산 2013/09/20 4,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