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차례상에 닭 대신 후라이드치킨 놓는거

ㅇㅇ 조회수 : 5,759
작성일 : 2013-09-09 14:58:03
안되겠지요?
닭 쪄서 놓는거 잘 안먹어 늘 추석 끊나고 닭계장 해먹었는데
올해 후라이드 치킨 놓으년 어떨까 생각했는데
아무래도 어른들이 뭐라하시겠지요 .. 아이들은 엄청 좋아
할듯한데요..
IP : 180.231.xxx.40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9.9 3:02 PM (223.62.xxx.67)

    그냥 찐닭을 제사 끝나고 튀겨먹으면 안돠나요? 통째로 튀기는 게 더 어려울 거 같은데...
    저희 큰엄마는 제사끝나면 닭찜 살 발라내고 산적이랑 전 남은 거 싹 긁어모아서 불고기양념해서 주세요. 잡탕같은데 맛있어요 ㅋㅋ 그렇게 먹으면 명절음식 쫑 나더라고요

  • 2. 꼭..
    '13.9.9 3:03 PM (211.114.xxx.169)

    보기에 안 좋을 것 같은데요.
    명절 분위기 나는
    다른 조리법을 생각해 보심 어떨까요.

  • 3. ^^
    '13.9.9 3:06 PM (210.94.xxx.89)

    예전에 닭 튀긴 것도 제사상에 올리기도 했는데요. 그러나 말거나..어차피 결론은..아무도 안 먹어요.

    찐 닭이 맛이 없으면, 어차피 튀긴 닭도 맛 없어요. 튀긴 닭이 맛있는 건 튀기고 금방 먹어서 인데, 명절에 차례 지내는 거면.. 금방 튀긴 닭 놓을 수도 없고.. 어차피 차례 지내고 나면 시간 지나는 거고.. 요즘 처럼 먹을게 넘쳐나는 세상에서 제삿상에 올라 갔다 내려온 튀긴 닭이 무슨 맛이 있어서 애들이 먹겠어요.

    애들은 맛 없어서 안 먹고 어른들은 이상하다 하고.. 그런 거지요.

  • 4. ---
    '13.9.9 3:07 PM (221.162.xxx.232)

    치킨집에 차례용 치킨 통마리로 팔아요
    차례상에 올린다면 머리까지 있는거 튀겨서 줍니다.
    배달도 해주던데요

  • 5. 나라냥
    '13.9.9 3:08 PM (121.179.xxx.30)

    참고로.. 삶은닭 다시 튀기면 엄청 맛없어요 ㅋㅋㅋ
    저희 시댁에서 한번 시도했다가 다들 외면했던.....
    그냥 닭개장이 젤 나은듯 해요.

  • 6. ㅇㅇㅇㅇ
    '13.9.9 3:10 PM (124.136.xxx.22)

    저희는 할머니 제사 때는 올려요.
    할머니가 치킨 정말 좋아하셨거든요...
    그리고 제사 끝나고도 다 같이 엄청 맛있게 먹어요....ㅋㅋ

  • 7. ^^
    '13.9.9 3:14 PM (210.94.xxx.89)

    아고..죄송합니다.

    제 기준..제사음식으로 올린 찐 닭이나 튀긴 닭이 어차피 맛이 없어서 이러나 저러나 상관없다는 뜻이었습니다.

    이상하게도 제삿상에 올라간 음식은 맛이 없더라구요. ㅠㅠ

    친정이나 시댁이나 모두 동일하네요. 따뜻한 음식이 식어서 다시 데워서 그런 건지..

    글타고..기독교나 천주교에서 조상신이 먹어서 맛 없다는 얘기도 좀 웃기고..

    (기독교라 하면서.. 기독교 아닌 몇 몇 분 들 때문에 제사 지내서 그런 건지..)

    하여간 그랬습니다.

  • 8. 행복한 집
    '13.9.9 3:17 PM (183.104.xxx.251)

    기름에 튀긴거 다시튀기면 기름 흠뻑 먹어서 못먹어요.
    그냥 전자레인지에 돌리세요.

  • 9. 저희 시댁
    '13.9.9 3:25 PM (121.147.xxx.151)

    돈 있을만큼 있고

    차례 음식 할만큼 하는 집안인데

    조카들이나 아이들이 많다보니

    후라이드 치킨도 해요.

    단 사지않고 집에서 만들어서

    음식도 옛음식들 상에 놓지만 않고 요즘 과일 음식 모두 거하게 차리는게 특색

  • 10. ㅇㅇㅇ
    '13.9.9 3:26 PM (124.136.xxx.22)

    치킨 데울 때는요.
    오븐에 데우면 기름도 쪽 빠지고 완전 바삭바삭!해져요..
    전 일부러 살짝 식은 거 이렇게 데워 먹기도 해요....ㅋㅋ

  • 11. ㅇㅇ
    '13.9.9 3:36 PM (222.107.xxx.79)

    저희 시댁은 조상님들 새로운 술도 좀 드셔보셔야 한다고
    해마다 복분자주, 와인, 막걸리, 맥주 등등 그날 꽂히는 술을 제삿상에 따라요 ㅋㅋㅋ
    닭 안올린지는 오래됐구요

  • 12. 상관없지 않나요?
    '13.9.9 3:42 PM (121.145.xxx.180)

    외가 친가 양쪽모두 몇대씩 장손이에요.

    음식할때도 손자들 먹는거니 상관없다고 맛있을때 먹으라고 먼저 주고요.
    자손들이 먹는거 화낼 조상이 어딨냐?고 하세요.

    음식도 별로 안따져요. 기본은 동일하지만, 그때그때 오히려 맛보라고 올리기도 하고요.

    아는집은 무지 부자인데 딱 과일만 올려요.
    밥도 안해요. 밥올리면 국과 나물 반찬같이 올려야 한다고요.
    과일에 술, 포 끝.
    그래도 자식들만 잘 되던데요. ^^;;;

    각자 사정에 맞춰해도 상관없다 봅니다.

  • 13. ................
    '13.9.9 3:47 PM (125.178.xxx.57)

    저희는 오븐에 굽습니다

    닭 손질한후.. 올리브오일 3Ts,후추1ts, 소금 1Ts, 양파 중간정도크기 한개를 갈아서
    안과 밖에 골고루 바르고... 배속에 작은 사과 한개 넣어서 구워요
    시간 잘 조절해서 상차림 마지막에 올립니다..
    겉은 바삭하고 닭살도 부드럽고 맛있어요..

    저희집 식구들은 제사나 차례상에 구어서 올린닭이 평소에 굽는것보다 더 맛있다고 합니다

  • 14. ..
    '13.9.9 3:50 PM (175.114.xxx.170)

    저희도 닭 자체를 아예 안 올려요.
    대신 쇠고기는 참 별거별거 많이 올라가네요 ^^;;;

  • 15. 원글
    '13.9.9 3:51 PM (180.231.xxx.40)

    후라이드는 조각낸 닭이니 좀그런가요
    많은분들이 통으로 된걸 말씀하시니...
    머리가 있는걸 올려야하는건가보죠?

  • 16. dma
    '13.9.9 3:54 PM (175.113.xxx.54)

    저희 친정은 처음부터 간장 양념에 담궈서 푹 쪄요.
    상에 올릴때는 닭만 건져서 올리고 졸아든 간장양념은 그릇에 담아둬요.
    제사 다 끝나면 먹기좋게 쭉쭉 찢어놓구 파, 마늘, 고춧가루, 간장양념으로 다시 볶습니다.
    볶을때보면 닭육수 때문인지 간장양념은 완전 푸딩처럼 굳어있어요.
    저희집은 이 닭고기가 애들 반찬 어른들 술안주로 너무 인기가 좋아서 엄마가 일부러 한마리 더 하실때도 있네요.
    큰 닭으로 하는데도 부들부들하고 양념도 맛있어서 닭은 남는적이 없네요.

  • 17. ..
    '13.9.9 4:12 PM (115.178.xxx.43)

    들어봤어요. 치킨 놓는다고..

    어머님이 그렇게 하시니 미리 서너마리 시켜서 제사상 올려둘거 빼고 아이들과 어른들 나눠먹는다고..
    저는 나쁘지 않은것 같은데 대부분은 싫어하시겠죠?

  • 18. ^^
    '13.9.9 4:55 PM (211.38.xxx.189) - 삭제된댓글

    원글님 귀여우세요~
    명절날에도 후라이드 가게는 안쉬나 보네요~
    그래도 전날 저녁때 시켜야 할텐데..
    아침되면 눅눅하니 맛도 없어질테고..
    어르신들도 눈초리 보내실듯한데..

    저도 아들없는 친정부모님 기일때는 당신들 좋아하시던 음식(예를 들어 원두커피나 회?)으로 차려볼까 생각중이라 꼭 전통을 따르자 주의는 아니지만요 ^^

  • 19. ,,,
    '13.9.9 5:07 PM (222.109.xxx.80)

    저희는 찐 닭을 제사사에서 내린후 살만 발라서 소금 후추 치고 프라치팬에
    볶아요. 그럼 먹을만 해요. 닭을 좋아하는 집안이라서요.

  • 20. ...
    '13.9.9 5:10 PM (119.148.xxx.181)

    오븐에 구운 닭, 전기구이 통닭 은 괜찮을거 같은데요?
    우린 친정이나 시댁이나 닭은 안놔서...그런 고민을 안해봤네요.

  • 21. 울집은 벌써~
    '13.9.9 5:12 PM (175.214.xxx.103)

    닭찐거 대신 후라이드 올려놔요.
    아무 상관없어요. 솔직히 제사지내고 다 먹을려는건데..
    저희는 후라이드 올리다가 어쩔땐 족발도 올립니다.
    꼭 이거야한다는 법은 없지않아요?
    바나나도 올리는 세상인데..

  • 22. 근데
    '13.9.9 5:25 PM (112.152.xxx.173)

    차례상은 상관없지 않나요
    제사상은 별개로 명절때 차례상은 그냥 부모님 생각에 상에 먼저 올리고 나중에 먹는개념이라
    좋아하시던거 또는 자식들이 좋아하는 음식 그냥 올려도 되지 않나 하고요

  • 23. 오잉
    '13.9.9 10:07 PM (1.127.xxx.166)

    저희집은 서울인데 닭 놓은 기억은 안나네요. 정갈하게 한 접시 올리면 괜찮을 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29219 ㅈㅂㄹ 이분 가공식품 판매 불법이네요. 17 불법 2013/12/08 7,939
329218 가족석,친지석 이런푯말 세워놓는거 2 누가알려주세.. 2013/12/08 1,260
329217 응사 작가가 유연석한테 잔인해요 9 ..... 2013/12/08 4,052
329216 이건 무슨 심리인건지 궁금해요. 9 궁금해요 2013/12/08 1,380
329215 빨리 집 빼기 위해서요.. 1 ... 2013/12/08 814
329214 '문재인이 이긴 것 같다' 메시지..대선 당일 무슨 일이 벌어졌.. 9 참맛 2013/12/08 3,416
329213 글 지우셨네요 3 .. 2013/12/08 1,314
329212 진짜 화풀이하는 인간도 있나요? 3 아휴 2013/12/08 1,288
329211 지진희 드라마에서 한혜진이요 6 2013/12/08 3,957
329210 갱년기 호르몬제 투여...질문있어요 7 답변부탁 2013/12/08 9,606
329209 나정이 남편은 칠봉이건만 여기 반응은 왜 -_- 31 답답해서 2013/12/08 9,051
329208 마이너스통장 이자 저렴한 은행 아세요? 2 fdhdhf.. 2013/12/08 1,593
329207 다시 힘든 길을 걷는 연아 20 프로토콜 2013/12/08 9,787
329206 연아 1위한 대회.. 시상식 안 하나요? -.-; 3 읭? 2013/12/08 2,334
329205 이세상에서 제일 쓸데 없는 걱정이 연아걱정이라지만 5 아무리 2013/12/08 2,096
329204 김장양념 아린맛 어찌할까요? 1 초보 2013/12/08 1,191
329203 108배하니 발등이 아파요. 9 108 2013/12/08 1,892
329202 연아선수 뒤에 하는 선수들 보면 4 연아최고 2013/12/08 2,880
329201 50대 대만사람 남자 선물 3 니만 2013/12/08 2,298
329200 연아 점수가.....이상하지 않나요? 8 점수가? 2013/12/08 4,237
329199 연아 프리 소감 13 우와 2013/12/08 7,897
329198 연아양 선이 넘아름다워요~!! 12 심장멈추는줄.. 2013/12/08 3,291
329197 특성화고등학교 진학하면 대학진학 포기각서 써야하는게 사실인가요?.. 16 질문 2013/12/08 5,626
329196 영문학 전공하신분들께 질문 5 +_+ 2013/12/08 1,339
329195 연아선수는 목소리도 예쁘고 노래도 잘해요. 2 yuna 2013/12/08 1,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