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촌수가 어떻게 되지?

스윗길 조회수 : 2,962
작성일 : 2013-08-19 00:14:00

촌수가 어떻게 되지?

 

어려워도 너~무 어려운 촌수 따지기

 

언젠가 결혼해서 아들을 낳았다고 생각해보자. 외삼촌의 딸이 내가 낳은 아들에게 뭐라고 불러야 하며 내 아들은 외삼촌의 딸, 다시 말해 나의 외사촌을 어떻게 불러야 할까. 쉬울 것 같지만 아리송하고 어려운 것이 바로 ‘촌수’관계다. 이번 시간에는 알쏭달쏭 촌수관계에 대해 알아보자.

 

‘먼 친척보다 가까운 이웃이 낫다.’라는 말이 있다.

좋은 이웃이 있다는 것으로 해석하면 세상은 아직 살만할 것 같다가도,

그래도 친척인데 이웃이 외려 낫다고 하니 착잡하기도 하다.

여기서 금상첨화는 ‘먼 친척도 좋고 가까운 이웃도 좋다’는 것 아니겠는가.

자! 지금부터 먼 친척이라도 ‘좋은’사이가 되기 위한 기초다지기에 들어가 보자.

 

 

촌수란 무엇인가

촌수란 친족 사이에서 믿고 가까운 친소관계의 마디를 계산한 숫자를 말한다. 촌이란 척도법의 한자이며 우리말로는 ‘마디’를 뜻한다. 촌수가 적을수록 가까운 사이다. 한 세대가 1촌이므로 부모님과 자식 간의 촌수는 1촌이 된다.

“여기는 내 사촌이야” “우리는 사촌지간이야”라고 말하는 것처럼 촌수로써 친족호칭을 대신하기도 한다. 또한 우리나라의 촌수는 어느 친척이 나와 어떤 거리에 있는지를 명확하게 말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어느 문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함과 고유성을 갖는다. 이런 촌수로 따지면 논리적으로 아무리 먼 친족이라도 그 친소의 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친족은 어디까지?

친족은 혼인과 혈연을 기초로 해 상호 간에 관계를 가지는 사람을 지칭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친척’이라고 한다. 법률상으로 친족의 범위는 ① 8촌 이내의 혈족 ⓶ 4촌 이내의 인척 ⓷ 배우자로 되어 있다(민법 777조)

 

여기서 인척이란, 혼인관계로 맺어진 가족이란 뜻으로 외척·처가·사가를 종합한 인아척당의 준말로 자기와 성이 다른 모든 당내간을 뜻한다. 외척은 외가(아버지의 처가)·진외가(할아버지의 처가)등 8촌이내의 모든 외가 일가 사람들이 포함되며, 처가는 장인·장모·장조부모·처백숙부모·처남·처형·처제·처질 등 아내의 8촌 이내 일가가 해당된다.

 

이렇게 법률적으로 따지면 ‘친적’의 개념이 너무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진다. 촌수를 따지는 것도 헷갈릴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친척과 촌수의 개념을 무시하거나 제대로 알고 있지 않으면 중요한 자라에서 실수할 수도 있고,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을 할 수가 있다.

 

조금은 복잡하게 느껴지겠지만 촌수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촌수박사’ ‘예의바른 사람’이 될 수 있음을 기억하자.

 

 

이모도 삼촌이 될 수 있다고?

앞에 잠시 언급했듯이 한 세대가 1촌이므로 부모와 자식 간의 촌수는 1촌이다. 엄마와 아빠는 혈연으로 맺어진 관계가 아닌 혼인으로 맺어진 관계이므로 무촌이다. 자, 엄마·아빠와 나와의 관계가 1촌이라면, 나와 언니처럼 형제와의 관계는 몇 촌일까?

 

바로 2촌이다. 그렇다면 3촌은? 우리가 흔히 아버지의 손아래 형제나 어머니의 남자 형제를 ‘삼촌’이라고 부르는데 엄밀하게 말하자면 이는 잘못된 표현이다.

 

촌수는 혈연관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삼촌’은 호칭이 아니라 ‘관계’를 뜻하는 말이 된다. 촌수로 따지자면 고모도 이모도 모두 ‘삼촌’이 된다. 따라서 정확한 호칭은 아버지의 손위 형제이면 ‘큰아버지’나 ‘백부’, 손아래 형제면 ‘작은 아버지’나 ‘숙부’라 불러야 한다. 엄마의 남자 형제는 ‘외숙부’라고 부르는 것이 옳다. 다만 ‘삼촌’이라는 호칭이 자주 불리면서 굳어졌기 때문에 ‘아버지의 미혼 형제’나 어머니의 남자 형제(외삼촌)를 부를 때는 관습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지금은 꼭 혈연관계가 아니더라도 입양 등을 통해 가족으로 맺어지는 가정이 많아졌다. 비록 가족 구성원의 형태가 방법이 달라졌다 하더라도 전통적인 친척의 범위는 변함이 없기에 이번 시간을 통해 다시 한 번 촌수와 호칭에 대해 새겨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출처: 역사와 문화를 깨우는 글마루 8월호

IP : 122.128.xxx.239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09595 대학동창들 연락처 어떻게 아나요? 1 12 2013/10/17 671
    309594 카페나 미용실에서 사용하는 이젤? 글씨 써서 홍보하는것 어디.. 6 메리 2013/10/17 927
    309593 무기력감 극복법 2 조언구함 2013/10/17 1,718
    309592 밀싹주스 집에서 만드신 분들 5 밀싹 2013/10/17 3,343
    309591 어느 우울한 자의 휘갈김 6 Melani.. 2013/10/17 1,933
    309590 아이 얼굴에 흉터가 남았어요 9 속상맘 2013/10/17 4,517
    309589 창조적 병역기피? 아들 군대 안보내는 한국 고위공직자들...알자.. 1 light7.. 2013/10/17 787
    309588 성시경이 부른 '만약에' 라는 노래 들어보셨나요? 19 홍길동 2013/10/17 3,333
    309587 술 땡겨요.ㅠㅠ 2 바보 2013/10/17 610
    309586 책제목좀 맞춰주세요 2 2013/10/17 553
    309585 여의사분이 쓴글중에 2 베타 2013/10/17 1,335
    309584 이런 남편 있으신분...? 3 ..... 2013/10/17 1,094
    309583 에스 보드 어디 제품이 좋은가요 2 ... 2013/10/17 1,007
    309582 연옌들은 왜 교포들과 3 그럼 2013/10/17 2,985
    309581 저 밑에 인하공전과 지방대글... 3 어의가없다 2013/10/17 2,503
    309580 아이 성장 관련... 검사 낼 해요~~ 어쩌면 좋아요 2 ㅇㅇ 2013/10/17 1,135
    309579 눈한쪽이 계속 빨개요. 두달째인데 큰병원가야하나요 1 다른과 2013/10/17 1,106
    309578 과외샘이 보충수업비를 요구하는데... 25 어떻게할까요.. 2013/10/17 5,312
    309577 남편 카톡이나 문자 보는거요.. 22 카톡,,문자.. 2013/10/17 8,220
    309576 설레이지 않는 남자와 결혼한분 계세요? 20 똑똑! 2013/10/17 6,225
    309575 쌍둥이 낳는건 유전인가요? 8 둥이 2013/10/17 2,933
    309574 요즘은 MS office 어떻게 사용하나요? 체험기간도 끝나고... 3 삐리빠빠 2013/10/17 864
    309573 초등저학년 동시 추천해주세요 1 ... 2013/10/17 4,842
    309572 마음에 드는 패브릭을 샀는데, 쿠션 만들어주는 곳이 있나요? 4 패브릭 2013/10/17 1,075
    309571 공업전문대가 나을까요. 지방대가 나을까요 16 그래도 2013/10/17 4,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