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신랑이 강직성척추염 진단을 받았어요..

강직성척추염 조회수 : 3,924
작성일 : 2013-08-05 16:22:35

 

    저도 중증환자라서 제 몸만 챙기느라 신랑이 허리쪽이 아프다고 할때 신경쓰지 못해서 많이 미안하네요..

    너무 답답하고 ..어떻게 이럴수가 있는건지 모르겠어요..

    찾아보니까 척추쪽에 염증이 생겨서 서서히 굳어가는 병이라고 하는데....

    더 기가막힌건 2년전에 뇌씨티 찍어보고 이상해서 정밀검사 했었는데 비파혈성 대뇌동맥류 진단도 받았거든요

    수술을 했는데 실패했어요.....지금은 2년마다 검사하고 조심하는 방법 밖에 없다고 해서..

    머리만 신경썼는데 ......ㅠㅠ..제가 넘 무지하네요..

    전 항암중이고 .....정기적으로 치료중인데요....휴..머리가 넘 복잡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네요..

    정신차려야하는데.....너무 원망스러워요...

    고통은 다 내가 받았으면 했는데......ㅠㅠ..

    신랑말이...장애인수첩?이 나온다고 하면서 중증등록과 별개로 동사무소나 이런곳에 등록을 해야한다고 들었어요

    현재는 계속 일을 하고 있습니다.....정형내과에 진단서를 발급 받아서 접수해야하는건가요..??
    알고 계신분이나 치료중이신분들 계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IP : 222.104.xxx.89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3.8.5 4:26 PM (147.46.xxx.122)

    찾아보니까 이런 말이 있네요. 한번 참고해 보세요.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6&dirId=6100102&docId=168284544&qb=6...
    진단서 첨부하셔서 가셔야 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자주 몸을 움직여 주셔야 한대요. 힘내세요..

  • 2. ..
    '13.8.5 4:39 PM (124.5.xxx.140)

    강직성 척추염 환자들은 좋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척추와 관절이 원하지 않는 자세로 굳는 것을 예방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고정기나 코르셋은 도움이 되지 않으므로 쓰지 않도록 한다. 잠은 딱딱한 바닥 위에서 몸을 곧게 펴고 자는 것이 좋으며, 낮은 베개를 사용하고, 엎드려 자는 것도 도움이 된다.
    강직성 척추염은 등뼈와 흉곽을 침범하여 폐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는데, 이때 흡연이 이러한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 3.
    '13.8.5 4:48 PM (203.249.xxx.10)

    댓글썼다 지워져서 다시 쓰는데요..ㅠㅠ
    통증이 심하고 뼈와 뼈 사이가 굳어져 활동이 제한적이거나 불편할 수 는 있으나
    침대에 누워 꼼짝못하다가 몸굳는 병은 아니니 안심하시고 긍정적으로 치료받으시길 바래요.
    제가 환자인데 멀쩡히 일상생활합니다. 물론 회사도 다니고 야근도 하고 운동도 합니다.
    수영, 요가, 몸풀기 체조 등 꾸준히 하시고 바른자세 유지하시는게 도움이 되구요.
    염증이 활발할 경우 통증이 극심할 수 있으나...대부분 먹는약과 주사약으로 통제가 가능한 경우도 많아요.
    고혈압이나 당뇨처럼 조금 조심하고 본인을 챙기면서 산다고 생각하심 될겁니다.
    그러니 너무 걱정마시고 원글님도 원글님 몸 잘 챙기세요~ 긍정적으로 스트레스 안받는게 중요해요^^

  • 4.
    '13.8.5 4:53 PM (203.249.xxx.10)

    이 병이 류마티스계열이니 류마티스 병원 찾아서 진료받으셔야 해요.
    한양대학병원 추천드리구요, 일부러 장애인등록 하실 필요없어요.
    이 병으로 인해 실제 보행이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면 모를까요...아직 아니시잖아요?
    멀쩡히 사회생활 가능한 경우 많으니 나중에 하세요. 자기사업이라면 모를까
    취직되어서 다니는 중이라면 아무래도 좀 그렇겠지요?^^;;
    사내검진으로는 안나오는 소견이니 걱정마시구요.
    다들 디스크 정도로 말하고 다니더라구요.
    단지 병원에 희귀병 등록하시면(조건이 좀 많습니다. 염증수치, 발병기간 등) 주사비용등이
    현저히 싸집니다. 이건 병원에서 환자에 맞다 싶으면 권해줍니다.
    희귀병이라는데.........주변에 심심찮게 환자가 많아서 이젠 진짜 희귀병맞아? 의심이 드네요..ㅎ

  • 5. 저희 남편도,,
    '13.8.5 5:00 PM (124.50.xxx.133)

    고관절이 아프다고 하더라구요. 처음엔 척추가 아픈 줄 알고 정형외과 다녔는데, 저희 같은 경우 을지병원갔더니 강직성척추염이라고 하더라구요. 그 당시엔 정말 놀랬는데, 이게 나이 들수록 좋아지는 사례가 많대요.
    진단받고 6~7년 지났는데 점점 더 좋아지고 있어요. 저희 남편 요즘은 3달 먹으라고 준 약을 5~6개월에 걸쳐 먹어요.(덜 아프단 얘기,,의사도 조절해도 된다고 했대요)
    약값 3개월치가 몇천원 밖에 안하구요(희귀병이라 보험적용되나봐요..), 약 안 받으면 주사로 치료해야 하는데 요건 비용이 좀 더 든다더라구요.
    암튼 중요한 건 나이먹을수록 좋아질 수 있다는거,,희망을 가지세요~!!

  • 6. 딩딩동
    '13.8.5 5:35 PM (203.253.xxx.144)

    강직성척추염으로 유명한 분이 강동경희대학교 병원 이상훈 교수입니다.
    이상훈 교수는 본인이 강직성척추염 환자라서 진단의 정확성이 높다고 하네요.
    한양대가 류마티스 질환에서 유명하긴 하지만 오래 기다리셔야 하니까요.

    에공, 이상훈 교수 검색해 보니 해외 연수중이네요.
    아무쪼록 잘 극복하시길 바랍니다.

  • 7. 오늘
    '13.8.5 8:06 PM (114.206.xxx.124)

    제 직장동료도 진단받으셨어요 한양대병원에 다니시더라구요 다음까페인거같은데 거기서 정보많이 얻으시는것같아요 검색에 보셔요

  • 8. 러블리뱅
    '13.8.5 8:49 PM (122.32.xxx.173)

    강직성 척추염이라 해도 척추 마디가 다 굳고 심해지는 경우는 몇 프로 안되는 걸로 알아요.
    대부분 약물로 통증 조절 되고 윗분들 말씀대로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좋아지는 케이스도 많아요.
    위에 강동경희대병원 이상훈 교수님 얘기 나왔네요.
    저도 몇년 전에 강척인줄 알고 진료 받으러 갔다가 아니라고 진단 받았어요.
    이상훈 교수님 본인이 강척 환자이신데 아주 건강하게 의사생활 잘 하고 계시더군요.
    관리,치료 잘 받으면 그렇게 무섭기만 한 병은 아니라고 하셨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2244 요요 올라그러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3 2013/10/23 983
312243 7~8년만에 연락온 지인 혹은 친구? 7 ... 2013/10/23 2,650
312242 루이비통 파우치가방과 같은 그런 가방 없을까요? 1 2013/10/23 1,175
312241 50살 넘어도 왜 외모때문에 좌절감 느껴야하나요? ㅠ.ㅠ 6 저만 그런건.. 2013/10/23 3,838
312240 결국 양약은 치료개념은 아닌가봅니다 4 김흥임 2013/10/23 2,021
312239 노르웨이 경치 정말 끝내주네요. 2 ,,, 2013/10/23 1,967
312238 옆에 온라인창고개방에 물건중에요. 까사 알레그레 텀블러요. 3 2013/10/23 1,086
312237 요즘 우리집 밥상..사먹는 반찬위주네요.. 45 직장맘 2013/10/23 14,562
312236 상견례 몇달전 상을 당한 경우라면 문상 가는건가요? 1 ... 2013/10/23 847
312235 김주하 관련 무서운여자들 17 ㄴㄴ 2013/10/23 15,446
312234 불닭볶음면.. 맛이 왜 이런지..ㅜ.ㅜ 22 ... 2013/10/23 3,176
312233 하루키 먼북소리에 버금가는 기행문 있을까요 8 미도리 2013/10/23 1,047
312232 카톡내용 캡쳐 어떻게 해요? 4 질문 2013/10/23 3,348
312231 초등고학년 여자아이 친구문제 4 지혜를.. 2013/10/23 4,730
312230 사귀던 사람하고 헤어 졌는데..가슴이 많이 아프네요 8 ... 2013/10/23 2,002
312229 첫출근 했는데... 16 2013/10/23 3,105
312228 오늘 벌레들 지령받은 키워드가 뭔가요? 8 ㅇㅇ 2013/10/23 881
312227 돈과 명예 중에서 어떤 것을 택하실 건가요? 12 // 2013/10/23 2,424
312226 지난 대선의 최대 미스테리... 66 2013/10/23 5,626
312225 연두부 씻어먹나요..?? 4 ..? 2013/10/23 2,502
312224 휘슬러 냄비뚜껑ㅠㅠ 3 2013/10/23 1,843
312223 그것이알고싶다 교통사고 범인 추리하신분?? 7 궁금 2013/10/23 2,611
312222 네이비색 코트도 좋을까요? 9 색깔고민 2013/10/23 1,992
312221 불고기용 고기 피 닦아야하나요? 3 무식무식 2013/10/23 1,542
312220 아직도 신승훈이 탈세라고? 1 빅4 2013/10/23 1,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