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 왜이렇게 남은 음식이 좋을까요..?

재탕 조회수 : 3,451
작성일 : 2013-08-05 11:32:00

제목이 혹시 더럽게 느껴지셨나요?

숟가락 넣어 먹던채로 먹다 남은 음식이란 뜻이 아니구요.

일명 재탕이라고 하죠..ㅋㅋ

찌개같은거 처음 끓여 첫상에 먹었을땐 그냥 그래요.

근데 남겨놓고 두번이고 세번이고 끓여 먹음 완전 밥도둑이에요.

청국장이랑 김치찌개 국물이랑 건더기 아주 조금 남았을때 밥넣고 밑에 누룽지 바삭 생기게

볶아 먹으면 너무 맛나요..ㅋㅋ

방금도 애기 이유식 먹이고 저는 늦은 아침겸 이른 점심으로

어제 해먹고 남은 오징어 볶음 가위로 잘게 잘라서 후라이팬에 밥넣고 볶아 먹었는데

너무 맛있어서 야금야금 아껴먹었네요.

뿐만아니라 떡국, 만두국, 칼국수 같은거 끓여먹고 남아 팅팅 뿔은거...

이런것도 완전 좋아해요.

부러 다 안먹고 조금 남겨놓을 정도에요~~~

김치부침개도 처음 만들어 뜨거운거 별로구

부쳐놓고 남아 식탁위에서 차디차게 식어있는거 오며가며 집어 먹는게 더 맛있고

만두도 쪄놨다가 식혀서 그런식으로 먹는게 좋아요.

저만 이런가요?? ㅋㅋㅋ

IP : 125.177.xxx.38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3.8.5 11:34 AM (211.192.xxx.85)

    남이 대접하면 화내겠지만 제가 은근 좋아하는건 불은 떡국이요.. 차갑게 대충 떠서 먹으면 아 나는 언년이 입맛이로구나! 하게 맛있어요.

  • 2. ......
    '13.8.5 11:36 AM (218.159.xxx.129)

    제 친구중에 꿀꿀이죽 처럼 그런 음식좋아하는 애 있는데.

    전생에 거지였다고 놀렸죠. 그래도 걔는 그런음식이 좋데요. ㅎㅎ

  • 3. ...
    '13.8.5 11:39 AM (14.33.xxx.144)

    불은떡국 저도 환장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4. ..
    '13.8.5 11:43 AM (125.177.xxx.38)

    허걱 노비의 피 ㅋㅋㅋㅋ
    울 아부지 이 댓글 보심 속상하시겠네~
    그래도 맛난건 맛난거니까요..함 드셔보세요~ㅋㅋㅋ

  • 5. 온도
    '13.8.5 11:43 AM (211.192.xxx.85)

    온도가 낮아서 맛이 고루 느껴지지 않나요? 조화롭기도하고. 만화 심야식당에서 전날 만들어둔 카레처럼요.

  • 6. 그분이 생각남
    '13.8.5 11:44 AM (14.63.xxx.90)

    닭 백숙 끓여 맛있게 먹고 나면
    그 국물에 채소 넣어 국 끓여먹고
    채소 다 건져먹으면 면 넣고 국수 끓이고
    남은 국물에 죽 끓여 먹고 ㅎㅎ

  • 7. ???
    '13.8.5 11:45 AM (39.7.xxx.252)

    무조건 한번에 먹을양만 해서 두번은 절대 안먹어요

  • 8. :-)
    '13.8.5 11:50 AM (99.224.xxx.135)

    전 음식 아까운줄 아는 사람이라 ㅋ 해놓는 음식 절대 버리는 일 없이 다 먹지만, 뭐든 첫 상이 가장 맛있는거 같아요. 미역국도 감자탕도 김치도요. 쩝.

  • 9.
    '13.8.5 11:57 AM (221.148.xxx.106)

    미역국하고 감자 찐거요. 미역이 최대한 부드러워지고 국물도 진해져서 좋고 감자 찐거 하루 묵은 건 눅진하고 쫄깃해져서 맛있어요. 근데 댓글들 왜 이리 까칠하세요 어디서 반가 규수들이 단체로 원정 오셨나ㅋㅎ

  • 10. 덥다
    '13.8.5 12:00 PM (175.117.xxx.66)

    저도 불은 떡국 좋아해요.. 불은 떡볶이고 맛있구요.
    명절 지내고 남은 전으로 김치찌개 해 먹으면 또 별미네요.
    첫상이 맛있는것도 있고 재탕으로 먹는게 맛있는게 있거든요.
    위에 노비의 피라고 단언하는 분 많이 재수없네요.
    남이 먹던것도 아니고 내가 먹던건데 어때서요?

  • 11. ...
    '13.8.5 12:02 PM (175.214.xxx.70)

    카레랑 김치찌개는 확실히 둘째날 먹는게 맛있어요.
    불은 떡국도 좋아하신다니...이제야 엄마가 이해돼네요.

  • 12. 개인기호^^
    '13.8.5 12:02 PM (115.140.xxx.99)

    부침개는 다시 뎁혀먹는게 더 맛있어요.

    불은 떡국은 별로. 닭볶음.. 미역국 다시 끓이면 깊은맛.

  • 13. ㅡ,.ㅡ
    '13.8.5 12:04 PM (115.140.xxx.99)

    젓가락질하다 남긴음식도 아닌데 뭐가 어쩐다고들..참...

  • 14. 못난이
    '13.8.5 12:08 PM (175.117.xxx.66)

    양가집 규수는 뭐가 다른강...
    배고프면 다 시장이 반찬이거늘...

  • 15. 파란하늘보기
    '13.8.5 12:20 PM (211.211.xxx.59)

    ㅋㅋ떡만두국 취향은 똑같네요..
    칼국수( 집에서 직접 민) 도 그냥 먹어도 맛있구요
    퉁퉁 불면 뚝뚝 끊어져서 밥이랑 같이 말아먹음 맛있어요

    전 라면도 팅팅 불은거 좋아해요 우리 남편은 이해 안간다는데
    뭐 취향을 이해 하고 자시고 할게 있남요

    전 밥은 그냥 새로 갓 한 밥 좋아하는데

    조미김이랑 상추 쌈 싸먹을 때 밥은 무조건 식은밥으로 먹어야 해요
    뜨신밥이랑 못먹습니다.

  • 16. ........
    '13.8.5 12:36 PM (1.244.xxx.167)

    미역국, 된장찌개, 김치찌개 같은건 자꾸 끓일수록 진국이더라구요.
    그래서 울 신랑은 된장찌개도 첫번째보다 재탕한게 맛있다고 양 조금 남았을때 아쉬워해요.

  • 17. 동감
    '13.8.5 12:45 PM (203.152.xxx.95)

    이것이 바로 전설의 '어제 만든 ** ' 카테고리에 들어가는 음식입니다.

    대표적인 것으로,

    어제만든 김치찌개
    어제만든 된장찌개
    어제만든 카레 등이 있습니다.

  • 18. 이거
    '13.8.5 1:02 PM (220.76.xxx.244)

    좀 짠 음식을 좋아하는거 아닐까요?
    음식이 따뜻할땐 간을 잘 모르잖아요.
    그래서 칼국수도 염도가 엄청 높은 거라고.

  • 19. 음?
    '13.8.5 1:40 PM (126.70.xxx.142)

    원래 카레는 만든지 하루 지난게 맛있어요.
    일본 카레집에서는 하루전에 만들어둔다고도 들었는데....

    불은 떡국은 저도 완전 좋아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18453 신라 호텔 팔선 요리 추천 해주세요.. 3 .. 2013/11/09 1,916
318452 특목고 갈려면 선행은 필수인가요??? 2 .... 2013/11/09 1,954
318451 갑자기 카톡목록에서 사라진 경우는 왜 그런가요? 8 죄송 2013/11/08 23,456
318450 아기들 어릴때 책 많이 읽어주신 분들이요~ 질문 있습니다^^ 4 ... 2013/11/08 2,262
318449 대봉시 어떻게 숙성시키나요? 2 @@ 2013/11/08 2,230
318448 친구 자동차로 당일 여행을 가는데 교통비를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 7 친구차 2013/11/08 1,776
318447 목에 근육통이 생기기도 하나요? 4 ... 2013/11/08 1,693
318446 밥벌이에 나선 이탈리아 여성 1 베를루스코니.. 2013/11/08 1,571
318445 손석희 멘붕 50 wow 2013/11/08 13,799
318444 30대 여자가 스쿠터 타고 다니면 좀 그런가요? 14 ,, 2013/11/08 3,231
318443 단호박에서 애벌레가 나왔어요. 13 음.. 2013/11/08 5,801
318442 대검, 윤석열 정직 처분할 듯..조영곤은 안해 5 대검도 포크.. 2013/11/08 1,155
318441 슈퍼스타k 3 111 2013/11/08 1,739
318440 소소한 기쁨에 만족하라는것도 기득권들의 속셈이죠. 32 .. 2013/11/08 2,778
318439 강아지키우기 힘드네요. 10 강이 2013/11/08 2,711
318438 고등학교 몇시까지 등교 하교나요? 6 강박증 아이.. 2013/11/08 1,456
318437 고교선택 2 중3맘 2013/11/08 807
318436 영어공부하려고 하는데 1 egwg 2013/11/08 1,021
318435 지금 구글을 들어가보니 1 구글 2013/11/08 1,045
318434 스팀다리미 잘 다려지나요? 4 2013/11/08 2,501
318433 속보;선관위 朴득표는많게 文득표는적게 수검표 했다고인정 92 빅 뉴스 2013/11/08 15,167
318432 남한테 모진 짓하면 결국 돌 맞네요 6 남이 복수해.. 2013/11/08 3,694
318431 상속자들,,,원이와 탄이의 엄마는 누구인가요? 8 dma 2013/11/08 4,496
318430 노무현이 세상이 불공정함을 알게 한 사건이 부림사건이었는데 그 .. 1 // 2013/11/08 3,626
318429 jtbc 서상기 나온거 보셨어요?? 14 ㅇㅇㅇ 2013/11/08 2,604